세종병원, 기준 위반 과밀병실 운영…참사 키웠다
입력 2018.01.29 (09:30)
수정 2018.01.29 (09: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밀양 세종병원 화재는 189명이라는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참사인데요.
KBS 취재진이 불이 난 세종병원의 건축도면을 분석한 결과, 일부 병실은 과밀 병실로 시설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손원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환자 9명이 숨진 3층 중환자실 면적은 약 100㎡.
허가 당시 법에는 중환자실 한 명당 면적을 최소 10㎡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10병상을 둘 수 있는 규모지만 세종병원은 지난 2015년 병상 3개를 늘리는 등 현재 2배인 20병상을 운영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중환자실이 아닌 일반병실 기준을 적용한 탓입니다.
그런데 밀양보건소는 세종병원에 중환자실이 없다고 말합니다.
[밀양보건소 관계자/음성변조 : "중환자실이 없습니다. 거기에는. 의료법상에 시설기준이 있거든요. 중환자실은 없습니다."]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2층 병실도 과밀상태였습니다.
도면에는 수술실과 물리치료실인 공간을 병실로 바꿔 모두 39병상을 운영했는데 강화된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14병상이나 더 많습니다.
지금은 허용되지 않는 5인 이상 병실도 전체 9곳이나 됩니다.
[양중간/2층 입원환자 : "((입원하셨던) 207호가 어딘가요?) (물리치료실 자리) 여깁니다. 밑에 응급실이고요. 불난 자리. 2층인데 왜 이렇게 돼 있지?"]
병원이 과밀로 운영되면서 사망자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처럼 세종병원이 응급실과 병실의 위치와 규모를 수시로 바꿔왔지만 관계 당국은 14년 전 도면을 갖고 화재에 대응해야 했습니다.
과밀 병실 운영에다 제멋대로 용도 변경이 참사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밀양 세종병원 화재는 189명이라는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참사인데요.
KBS 취재진이 불이 난 세종병원의 건축도면을 분석한 결과, 일부 병실은 과밀 병실로 시설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손원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환자 9명이 숨진 3층 중환자실 면적은 약 100㎡.
허가 당시 법에는 중환자실 한 명당 면적을 최소 10㎡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10병상을 둘 수 있는 규모지만 세종병원은 지난 2015년 병상 3개를 늘리는 등 현재 2배인 20병상을 운영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중환자실이 아닌 일반병실 기준을 적용한 탓입니다.
그런데 밀양보건소는 세종병원에 중환자실이 없다고 말합니다.
[밀양보건소 관계자/음성변조 : "중환자실이 없습니다. 거기에는. 의료법상에 시설기준이 있거든요. 중환자실은 없습니다."]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2층 병실도 과밀상태였습니다.
도면에는 수술실과 물리치료실인 공간을 병실로 바꿔 모두 39병상을 운영했는데 강화된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14병상이나 더 많습니다.
지금은 허용되지 않는 5인 이상 병실도 전체 9곳이나 됩니다.
[양중간/2층 입원환자 : "((입원하셨던) 207호가 어딘가요?) (물리치료실 자리) 여깁니다. 밑에 응급실이고요. 불난 자리. 2층인데 왜 이렇게 돼 있지?"]
병원이 과밀로 운영되면서 사망자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처럼 세종병원이 응급실과 병실의 위치와 규모를 수시로 바꿔왔지만 관계 당국은 14년 전 도면을 갖고 화재에 대응해야 했습니다.
과밀 병실 운영에다 제멋대로 용도 변경이 참사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종병원, 기준 위반 과밀병실 운영…참사 키웠다
-
- 입력 2018-01-29 09:32:06
- 수정2018-01-29 09:39:53
[앵커]
밀양 세종병원 화재는 189명이라는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참사인데요.
KBS 취재진이 불이 난 세종병원의 건축도면을 분석한 결과, 일부 병실은 과밀 병실로 시설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손원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환자 9명이 숨진 3층 중환자실 면적은 약 100㎡.
허가 당시 법에는 중환자실 한 명당 면적을 최소 10㎡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10병상을 둘 수 있는 규모지만 세종병원은 지난 2015년 병상 3개를 늘리는 등 현재 2배인 20병상을 운영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중환자실이 아닌 일반병실 기준을 적용한 탓입니다.
그런데 밀양보건소는 세종병원에 중환자실이 없다고 말합니다.
[밀양보건소 관계자/음성변조 : "중환자실이 없습니다. 거기에는. 의료법상에 시설기준이 있거든요. 중환자실은 없습니다."]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2층 병실도 과밀상태였습니다.
도면에는 수술실과 물리치료실인 공간을 병실로 바꿔 모두 39병상을 운영했는데 강화된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14병상이나 더 많습니다.
지금은 허용되지 않는 5인 이상 병실도 전체 9곳이나 됩니다.
[양중간/2층 입원환자 : "((입원하셨던) 207호가 어딘가요?) (물리치료실 자리) 여깁니다. 밑에 응급실이고요. 불난 자리. 2층인데 왜 이렇게 돼 있지?"]
병원이 과밀로 운영되면서 사망자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처럼 세종병원이 응급실과 병실의 위치와 규모를 수시로 바꿔왔지만 관계 당국은 14년 전 도면을 갖고 화재에 대응해야 했습니다.
과밀 병실 운영에다 제멋대로 용도 변경이 참사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밀양 세종병원 화재는 189명이라는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참사인데요.
KBS 취재진이 불이 난 세종병원의 건축도면을 분석한 결과, 일부 병실은 과밀 병실로 시설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확인했습니다.
손원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환자 9명이 숨진 3층 중환자실 면적은 약 100㎡.
허가 당시 법에는 중환자실 한 명당 면적을 최소 10㎡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10병상을 둘 수 있는 규모지만 세종병원은 지난 2015년 병상 3개를 늘리는 등 현재 2배인 20병상을 운영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중환자실이 아닌 일반병실 기준을 적용한 탓입니다.
그런데 밀양보건소는 세종병원에 중환자실이 없다고 말합니다.
[밀양보건소 관계자/음성변조 : "중환자실이 없습니다. 거기에는. 의료법상에 시설기준이 있거든요. 중환자실은 없습니다."]
사망자가 가장 많았던 2층 병실도 과밀상태였습니다.
도면에는 수술실과 물리치료실인 공간을 병실로 바꿔 모두 39병상을 운영했는데 강화된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14병상이나 더 많습니다.
지금은 허용되지 않는 5인 이상 병실도 전체 9곳이나 됩니다.
[양중간/2층 입원환자 : "((입원하셨던) 207호가 어딘가요?) (물리치료실 자리) 여깁니다. 밑에 응급실이고요. 불난 자리. 2층인데 왜 이렇게 돼 있지?"]
병원이 과밀로 운영되면서 사망자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이처럼 세종병원이 응급실과 병실의 위치와 규모를 수시로 바꿔왔지만 관계 당국은 14년 전 도면을 갖고 화재에 대응해야 했습니다.
과밀 병실 운영에다 제멋대로 용도 변경이 참사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
-
손원혁 기자 wh_son@kbs.co.kr
손원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