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출입문 막히고 쇠창살까지…요양시설 화재 무방비
입력 2018.01.31 (09:38) 수정 2018.01.31 (10:12) 930뉴스
[앵커]
화재에 무방비로 노출된 노인요양시설은 단지 세종병원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출입문이 닫혀 있고 비상 통로에 쇠창살까지 설치된 요양시설의 실태를,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노인요양시설.
비상구 쪽으로 가봤습니다.
["여기 나가는 문이에요? (예)"]
굳게 잠겨 있습니다.
[요양시설 관계자/음성변조 : "어르신들 여기 계셔서 열어놓을 수가 없어요. 저희가 열쇠를 항상 들고 다니거든요. 항상 열 수 있도록 하라고."]
열쇠로 열고 나오자 마주치는 또 다른 출입문.
역시 닫혀 있는 데다 자동개폐장치가 없어 방화문으로서의 기능도 잃었습니다.
피난통로 상에 어깨높이의 쇠창살을 설치해 불이 났을 때 사실상 대피가 불가능한 곳도 있습니다.
[소방 점검반 : "체대생도 아니고 어르신들 몸 불편하신 분들인데 이걸 넘어서 대피할 수 있겠어요? 이거 지금 못 나가게 일부러 잠가두신 거죠? (근데 저희가 대외사고 때문에 이렇게….)"]
화재 시 미끄럼틀처럼 사용하는 피난구조대는 좁은 틈에 끼어있어 비상시 펼칠 수가 없습니다.
서울시 소방본부가 시내 노인요양시설과 병원 290여 곳을 조사한 결과 130여 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됐습니다.
피난·소화 설비 불량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박성윤/서울소방재난본부 검사지도팀 : "일반의료시설 360여 개소에 대해서도 2월 내로 모두 전수점검을 실시할 예정이고…."]
소방당국은 밀양 참사를 계기로 화재 시 환자용 매트리스를 들 것으로 사용하는 방안 등 특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화재에 무방비로 노출된 노인요양시설은 단지 세종병원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출입문이 닫혀 있고 비상 통로에 쇠창살까지 설치된 요양시설의 실태를,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노인요양시설.
비상구 쪽으로 가봤습니다.
["여기 나가는 문이에요? (예)"]
굳게 잠겨 있습니다.
[요양시설 관계자/음성변조 : "어르신들 여기 계셔서 열어놓을 수가 없어요. 저희가 열쇠를 항상 들고 다니거든요. 항상 열 수 있도록 하라고."]
열쇠로 열고 나오자 마주치는 또 다른 출입문.
역시 닫혀 있는 데다 자동개폐장치가 없어 방화문으로서의 기능도 잃었습니다.
피난통로 상에 어깨높이의 쇠창살을 설치해 불이 났을 때 사실상 대피가 불가능한 곳도 있습니다.
[소방 점검반 : "체대생도 아니고 어르신들 몸 불편하신 분들인데 이걸 넘어서 대피할 수 있겠어요? 이거 지금 못 나가게 일부러 잠가두신 거죠? (근데 저희가 대외사고 때문에 이렇게….)"]
화재 시 미끄럼틀처럼 사용하는 피난구조대는 좁은 틈에 끼어있어 비상시 펼칠 수가 없습니다.
서울시 소방본부가 시내 노인요양시설과 병원 290여 곳을 조사한 결과 130여 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됐습니다.
피난·소화 설비 불량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박성윤/서울소방재난본부 검사지도팀 : "일반의료시설 360여 개소에 대해서도 2월 내로 모두 전수점검을 실시할 예정이고…."]
소방당국은 밀양 참사를 계기로 화재 시 환자용 매트리스를 들 것으로 사용하는 방안 등 특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출입문 막히고 쇠창살까지…요양시설 화재 무방비
-
- 입력 2018-01-31 09:43:40
- 수정2018-01-31 10:12:04

[앵커]
화재에 무방비로 노출된 노인요양시설은 단지 세종병원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출입문이 닫혀 있고 비상 통로에 쇠창살까지 설치된 요양시설의 실태를,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노인요양시설.
비상구 쪽으로 가봤습니다.
["여기 나가는 문이에요? (예)"]
굳게 잠겨 있습니다.
[요양시설 관계자/음성변조 : "어르신들 여기 계셔서 열어놓을 수가 없어요. 저희가 열쇠를 항상 들고 다니거든요. 항상 열 수 있도록 하라고."]
열쇠로 열고 나오자 마주치는 또 다른 출입문.
역시 닫혀 있는 데다 자동개폐장치가 없어 방화문으로서의 기능도 잃었습니다.
피난통로 상에 어깨높이의 쇠창살을 설치해 불이 났을 때 사실상 대피가 불가능한 곳도 있습니다.
[소방 점검반 : "체대생도 아니고 어르신들 몸 불편하신 분들인데 이걸 넘어서 대피할 수 있겠어요? 이거 지금 못 나가게 일부러 잠가두신 거죠? (근데 저희가 대외사고 때문에 이렇게….)"]
화재 시 미끄럼틀처럼 사용하는 피난구조대는 좁은 틈에 끼어있어 비상시 펼칠 수가 없습니다.
서울시 소방본부가 시내 노인요양시설과 병원 290여 곳을 조사한 결과 130여 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됐습니다.
피난·소화 설비 불량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박성윤/서울소방재난본부 검사지도팀 : "일반의료시설 360여 개소에 대해서도 2월 내로 모두 전수점검을 실시할 예정이고…."]
소방당국은 밀양 참사를 계기로 화재 시 환자용 매트리스를 들 것으로 사용하는 방안 등 특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화재에 무방비로 노출된 노인요양시설은 단지 세종병원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출입문이 닫혀 있고 비상 통로에 쇠창살까지 설치된 요양시설의 실태를,
박진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노인요양시설.
비상구 쪽으로 가봤습니다.
["여기 나가는 문이에요? (예)"]
굳게 잠겨 있습니다.
[요양시설 관계자/음성변조 : "어르신들 여기 계셔서 열어놓을 수가 없어요. 저희가 열쇠를 항상 들고 다니거든요. 항상 열 수 있도록 하라고."]
열쇠로 열고 나오자 마주치는 또 다른 출입문.
역시 닫혀 있는 데다 자동개폐장치가 없어 방화문으로서의 기능도 잃었습니다.
피난통로 상에 어깨높이의 쇠창살을 설치해 불이 났을 때 사실상 대피가 불가능한 곳도 있습니다.
[소방 점검반 : "체대생도 아니고 어르신들 몸 불편하신 분들인데 이걸 넘어서 대피할 수 있겠어요? 이거 지금 못 나가게 일부러 잠가두신 거죠? (근데 저희가 대외사고 때문에 이렇게….)"]
화재 시 미끄럼틀처럼 사용하는 피난구조대는 좁은 틈에 끼어있어 비상시 펼칠 수가 없습니다.
서울시 소방본부가 시내 노인요양시설과 병원 290여 곳을 조사한 결과 130여 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됐습니다.
피난·소화 설비 불량이 대부분이었습니다.
[박성윤/서울소방재난본부 검사지도팀 : "일반의료시설 360여 개소에 대해서도 2월 내로 모두 전수점검을 실시할 예정이고…."]
소방당국은 밀양 참사를 계기로 화재 시 환자용 매트리스를 들 것으로 사용하는 방안 등 특별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930뉴스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박진영 기자 parkjy@kbs.co.kr
박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