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한국 올해와 내년 3%대 경제 성장 전망
입력 2018.03.13 (19:28)
수정 2018.03.13 (19: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세계 교역 회복 등에 힘입어 우리 경제가 3%대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OECD는 오늘(13일)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0%, 내년 전망치도 3.0%로 예상한 지난해 11월 전망치를 유지했다.
지난해(2017년) 경제성장률은 3.1%로 집계해, 지난해 11월에 내놓은 전망치보다 0.1%포인트(p) 낮췄다.
OECD는 세계 교역의 회복에 힘입어 수출이 증가하면서 우리 경제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최저임금 인상과 복지 지출 확대로 가계 소득이 늘어나면서 우리나라가 3%대 경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그러면서 "통화 정책은 점진적으로 정상화해 나가되, 성장과 물가, 금융시장 여건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재정 정책은 생산성 향상과 투자 촉진, 포용적 성장 확대라는 중기적 관점에서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OECD는 세계 경제가 올해 3.9%, 내년에도 3.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해 지난해 11월 발표 때보다 각각 0.2%포인트, 0.3%포인트씩 전망치를 높였다.
OECD는 투자 확대와 교역 증가, 고용 호조로 세계 경제의 성장 흐름이 지난해 전망보다 더 강화됐다고 분석했다. OECD는 특히 미국과 독일 등 선진국들의 세제 개혁과 정부 지출 확대가 세계 경제 성장률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했다.
OECD는 다만 보호무역주의와 통화 정책의 정상화, 인구구조의 변화 등은 리스크 요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경제 전망과 관련해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대미통상 문제와 가계부채 문제, 일부 산업 구조조정 문제를 관리해 국제경제 흐름을 함께 타면서 시너지(효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OECD는 오늘(13일)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0%, 내년 전망치도 3.0%로 예상한 지난해 11월 전망치를 유지했다.
지난해(2017년) 경제성장률은 3.1%로 집계해, 지난해 11월에 내놓은 전망치보다 0.1%포인트(p) 낮췄다.
OECD는 세계 교역의 회복에 힘입어 수출이 증가하면서 우리 경제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최저임금 인상과 복지 지출 확대로 가계 소득이 늘어나면서 우리나라가 3%대 경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그러면서 "통화 정책은 점진적으로 정상화해 나가되, 성장과 물가, 금융시장 여건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재정 정책은 생산성 향상과 투자 촉진, 포용적 성장 확대라는 중기적 관점에서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OECD는 세계 경제가 올해 3.9%, 내년에도 3.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해 지난해 11월 발표 때보다 각각 0.2%포인트, 0.3%포인트씩 전망치를 높였다.
OECD는 투자 확대와 교역 증가, 고용 호조로 세계 경제의 성장 흐름이 지난해 전망보다 더 강화됐다고 분석했다. OECD는 특히 미국과 독일 등 선진국들의 세제 개혁과 정부 지출 확대가 세계 경제 성장률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했다.
OECD는 다만 보호무역주의와 통화 정책의 정상화, 인구구조의 변화 등은 리스크 요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경제 전망과 관련해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대미통상 문제와 가계부채 문제, 일부 산업 구조조정 문제를 관리해 국제경제 흐름을 함께 타면서 시너지(효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OECD, 한국 올해와 내년 3%대 경제 성장 전망
-
- 입력 2018-03-13 19:28:39
- 수정2018-03-13 19:29:0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세계 교역 회복 등에 힘입어 우리 경제가 3%대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OECD는 오늘(13일)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0%, 내년 전망치도 3.0%로 예상한 지난해 11월 전망치를 유지했다.
지난해(2017년) 경제성장률은 3.1%로 집계해, 지난해 11월에 내놓은 전망치보다 0.1%포인트(p) 낮췄다.
OECD는 세계 교역의 회복에 힘입어 수출이 증가하면서 우리 경제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최저임금 인상과 복지 지출 확대로 가계 소득이 늘어나면서 우리나라가 3%대 경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그러면서 "통화 정책은 점진적으로 정상화해 나가되, 성장과 물가, 금융시장 여건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재정 정책은 생산성 향상과 투자 촉진, 포용적 성장 확대라는 중기적 관점에서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OECD는 세계 경제가 올해 3.9%, 내년에도 3.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해 지난해 11월 발표 때보다 각각 0.2%포인트, 0.3%포인트씩 전망치를 높였다.
OECD는 투자 확대와 교역 증가, 고용 호조로 세계 경제의 성장 흐름이 지난해 전망보다 더 강화됐다고 분석했다. OECD는 특히 미국과 독일 등 선진국들의 세제 개혁과 정부 지출 확대가 세계 경제 성장률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했다.
OECD는 다만 보호무역주의와 통화 정책의 정상화, 인구구조의 변화 등은 리스크 요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경제 전망과 관련해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대미통상 문제와 가계부채 문제, 일부 산업 구조조정 문제를 관리해 국제경제 흐름을 함께 타면서 시너지(효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OECD는 오늘(13일)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3.0%, 내년 전망치도 3.0%로 예상한 지난해 11월 전망치를 유지했다.
지난해(2017년) 경제성장률은 3.1%로 집계해, 지난해 11월에 내놓은 전망치보다 0.1%포인트(p) 낮췄다.
OECD는 세계 교역의 회복에 힘입어 수출이 증가하면서 우리 경제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분석했다. 또 최저임금 인상과 복지 지출 확대로 가계 소득이 늘어나면서 우리나라가 3%대 경제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그러면서 "통화 정책은 점진적으로 정상화해 나가되, 성장과 물가, 금융시장 여건 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재정 정책은 생산성 향상과 투자 촉진, 포용적 성장 확대라는 중기적 관점에서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OECD는 세계 경제가 올해 3.9%, 내년에도 3.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해 지난해 11월 발표 때보다 각각 0.2%포인트, 0.3%포인트씩 전망치를 높였다.
OECD는 투자 확대와 교역 증가, 고용 호조로 세계 경제의 성장 흐름이 지난해 전망보다 더 강화됐다고 분석했다. OECD는 특히 미국과 독일 등 선진국들의 세제 개혁과 정부 지출 확대가 세계 경제 성장률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했다.
OECD는 다만 보호무역주의와 통화 정책의 정상화, 인구구조의 변화 등은 리스크 요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경제 전망과 관련해 김동연 경제부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대미통상 문제와 가계부채 문제, 일부 산업 구조조정 문제를 관리해 국제경제 흐름을 함께 타면서 시너지(효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김경진 기자 kjkim@kbs.co.kr
김경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