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개헌안 협상 돌입…‘권력구조 개편’ 쟁점
입력 2018.03.28 (07:26)
수정 2018.03.28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회가 본격적으로 개헌안 협상에 착수했습니다.
여야는 첫 회동에서 4가지 의제에 대한 입장을 각자 정리한 후 비공개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는데, 권력구조 개편 문제가 가장 뜨거운 쟁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문종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여야 교섭단체들의 국회 개헌안 협상은 신경전과 함께 시작됐습니다.
특히 대통령 권력을 나누는 문제에 대한 입장차가 뚜렷해 치열한 논쟁이 오갈 것임을 예고했습니다.
여당은 대통령 개헌안이 국민소환제와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는 등 국민 권한을 확대하고, 협치 구조를 만드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우원식/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정부와 민주당의 핵심은 촛불 혁명의 정신을 담아 분권형 개헌안을 마련했습니다."]
야당들은 정부·여당이 대통령 4년 연임제로 제왕적 대통령 권한을 오히려 강화하려 한다면서, 대통령 권한 분산 문제는 양보할 수 없다고 맞받았습니다.
[김성태/자유한국당 원내대표 : "분권 대통령, 책임총리제를 구현하는 그런 개헌안이 반드시 이번 국회에서 합의되어져야..."]
개헌 국민투표 시점과 관련해선 민주당과 바른미래당이 똑같이 6.13 지방선거일을, 한국당은 지방선거 이후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첫 만남에서 협상 진행 방식과 일정 등을 논의한 여야 3당은 권력구조와 개헌투표 시기 등 4가지 의제에 대한 입장을 각자 문서로 정리한 후, 이를 토대로 비공개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문종입니다.
국회가 본격적으로 개헌안 협상에 착수했습니다.
여야는 첫 회동에서 4가지 의제에 대한 입장을 각자 정리한 후 비공개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는데, 권력구조 개편 문제가 가장 뜨거운 쟁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문종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여야 교섭단체들의 국회 개헌안 협상은 신경전과 함께 시작됐습니다.
특히 대통령 권력을 나누는 문제에 대한 입장차가 뚜렷해 치열한 논쟁이 오갈 것임을 예고했습니다.
여당은 대통령 개헌안이 국민소환제와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는 등 국민 권한을 확대하고, 협치 구조를 만드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우원식/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정부와 민주당의 핵심은 촛불 혁명의 정신을 담아 분권형 개헌안을 마련했습니다."]
야당들은 정부·여당이 대통령 4년 연임제로 제왕적 대통령 권한을 오히려 강화하려 한다면서, 대통령 권한 분산 문제는 양보할 수 없다고 맞받았습니다.
[김성태/자유한국당 원내대표 : "분권 대통령, 책임총리제를 구현하는 그런 개헌안이 반드시 이번 국회에서 합의되어져야..."]
개헌 국민투표 시점과 관련해선 민주당과 바른미래당이 똑같이 6.13 지방선거일을, 한국당은 지방선거 이후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첫 만남에서 협상 진행 방식과 일정 등을 논의한 여야 3당은 권력구조와 개헌투표 시기 등 4가지 의제에 대한 입장을 각자 문서로 정리한 후, 이를 토대로 비공개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문종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회 개헌안 협상 돌입…‘권력구조 개편’ 쟁점
-
- 입력 2018-03-28 07:29:05
- 수정2018-03-28 07:54:48

[앵커]
국회가 본격적으로 개헌안 협상에 착수했습니다.
여야는 첫 회동에서 4가지 의제에 대한 입장을 각자 정리한 후 비공개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는데, 권력구조 개편 문제가 가장 뜨거운 쟁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문종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여야 교섭단체들의 국회 개헌안 협상은 신경전과 함께 시작됐습니다.
특히 대통령 권력을 나누는 문제에 대한 입장차가 뚜렷해 치열한 논쟁이 오갈 것임을 예고했습니다.
여당은 대통령 개헌안이 국민소환제와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는 등 국민 권한을 확대하고, 협치 구조를 만드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우원식/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정부와 민주당의 핵심은 촛불 혁명의 정신을 담아 분권형 개헌안을 마련했습니다."]
야당들은 정부·여당이 대통령 4년 연임제로 제왕적 대통령 권한을 오히려 강화하려 한다면서, 대통령 권한 분산 문제는 양보할 수 없다고 맞받았습니다.
[김성태/자유한국당 원내대표 : "분권 대통령, 책임총리제를 구현하는 그런 개헌안이 반드시 이번 국회에서 합의되어져야..."]
개헌 국민투표 시점과 관련해선 민주당과 바른미래당이 똑같이 6.13 지방선거일을, 한국당은 지방선거 이후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첫 만남에서 협상 진행 방식과 일정 등을 논의한 여야 3당은 권력구조와 개헌투표 시기 등 4가지 의제에 대한 입장을 각자 문서로 정리한 후, 이를 토대로 비공개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문종입니다.
국회가 본격적으로 개헌안 협상에 착수했습니다.
여야는 첫 회동에서 4가지 의제에 대한 입장을 각자 정리한 후 비공개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는데, 권력구조 개편 문제가 가장 뜨거운 쟁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최문종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여야 교섭단체들의 국회 개헌안 협상은 신경전과 함께 시작됐습니다.
특히 대통령 권력을 나누는 문제에 대한 입장차가 뚜렷해 치열한 논쟁이 오갈 것임을 예고했습니다.
여당은 대통령 개헌안이 국민소환제와 결선투표제를 도입하는 등 국민 권한을 확대하고, 협치 구조를 만드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우원식/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정부와 민주당의 핵심은 촛불 혁명의 정신을 담아 분권형 개헌안을 마련했습니다."]
야당들은 정부·여당이 대통령 4년 연임제로 제왕적 대통령 권한을 오히려 강화하려 한다면서, 대통령 권한 분산 문제는 양보할 수 없다고 맞받았습니다.
[김성태/자유한국당 원내대표 : "분권 대통령, 책임총리제를 구현하는 그런 개헌안이 반드시 이번 국회에서 합의되어져야..."]
개헌 국민투표 시점과 관련해선 민주당과 바른미래당이 똑같이 6.13 지방선거일을, 한국당은 지방선거 이후를 주장하고 있습니다.
첫 만남에서 협상 진행 방식과 일정 등을 논의한 여야 3당은 권력구조와 개헌투표 시기 등 4가지 의제에 대한 입장을 각자 문서로 정리한 후, 이를 토대로 비공개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최문종입니다.
-
-
최문종 기자 mjchoi@kbs.co.kr
최문종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