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저감조치에 민간 사업장 39곳 참여…공식 협약
입력 2018.04.11 (14:22)
수정 2018.04.11 (14: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민간 대기배출사업장 39곳이 환경부와 공식 협약을 맺고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에 동참하기로 했다.
환경부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내일(12일)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민간 사업장 39곳과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참여 자발적 협약식'을 연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전기가스증기업, 제철제강업, 비금속광물제조업 등 굴뚝 자동측정장비(TMS)가 구축된 수도권 1∼3종 대기배출사업장이 참여한다.
대기배출사업장은 연간 배출량에 따라 80t 이상은 1종, 80∼20t은 2종, 20∼10t은 3종, 10∼2t은 4종, 2t 미만은 5종으로 구분한다.
지자체별로는 서울 1곳, 인천 15곳, 경기 23곳의 민간 사업장이 다음 시행 때부터 곧바로 비상저감조치에 참여하기로 했다.
참여 사업장에서는 사업장별 특성을 고려해 미리 환경부와 지자체에 제출한 미세먼지 배출 저감 관리카드에 따라 자체적으로 비상저감조치에 참여한다.
이들 사업장의 미세먼지 배출량은 향후 지자체의 지도·점검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환경부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앞으로 굴뚝 자동측정장비가 구축된 수도권 전체 대형사업장 193곳을 대상으로 비상저감조치 참여 대상 업체를 늘릴 예정이다.
이들 대형사업장 193곳은 2016년 말 기준으로 수도권 전체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초미세먼지(PM-2.5)의 80%를 배출한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환경부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내일(12일)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민간 사업장 39곳과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참여 자발적 협약식'을 연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전기가스증기업, 제철제강업, 비금속광물제조업 등 굴뚝 자동측정장비(TMS)가 구축된 수도권 1∼3종 대기배출사업장이 참여한다.
대기배출사업장은 연간 배출량에 따라 80t 이상은 1종, 80∼20t은 2종, 20∼10t은 3종, 10∼2t은 4종, 2t 미만은 5종으로 구분한다.
지자체별로는 서울 1곳, 인천 15곳, 경기 23곳의 민간 사업장이 다음 시행 때부터 곧바로 비상저감조치에 참여하기로 했다.
참여 사업장에서는 사업장별 특성을 고려해 미리 환경부와 지자체에 제출한 미세먼지 배출 저감 관리카드에 따라 자체적으로 비상저감조치에 참여한다.
이들 사업장의 미세먼지 배출량은 향후 지자체의 지도·점검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환경부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앞으로 굴뚝 자동측정장비가 구축된 수도권 전체 대형사업장 193곳을 대상으로 비상저감조치 참여 대상 업체를 늘릴 예정이다.
이들 대형사업장 193곳은 2016년 말 기준으로 수도권 전체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초미세먼지(PM-2.5)의 80%를 배출한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세먼지 저감조치에 민간 사업장 39곳 참여…공식 협약
-
- 입력 2018-04-11 14:22:06
- 수정2018-04-11 14:25:49
수도권 민간 대기배출사업장 39곳이 환경부와 공식 협약을 맺고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에 동참하기로 했다.
환경부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내일(12일)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민간 사업장 39곳과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참여 자발적 협약식'을 연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전기가스증기업, 제철제강업, 비금속광물제조업 등 굴뚝 자동측정장비(TMS)가 구축된 수도권 1∼3종 대기배출사업장이 참여한다.
대기배출사업장은 연간 배출량에 따라 80t 이상은 1종, 80∼20t은 2종, 20∼10t은 3종, 10∼2t은 4종, 2t 미만은 5종으로 구분한다.
지자체별로는 서울 1곳, 인천 15곳, 경기 23곳의 민간 사업장이 다음 시행 때부터 곧바로 비상저감조치에 참여하기로 했다.
참여 사업장에서는 사업장별 특성을 고려해 미리 환경부와 지자체에 제출한 미세먼지 배출 저감 관리카드에 따라 자체적으로 비상저감조치에 참여한다.
이들 사업장의 미세먼지 배출량은 향후 지자체의 지도·점검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환경부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앞으로 굴뚝 자동측정장비가 구축된 수도권 전체 대형사업장 193곳을 대상으로 비상저감조치 참여 대상 업체를 늘릴 예정이다.
이들 대형사업장 193곳은 2016년 말 기준으로 수도권 전체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초미세먼지(PM-2.5)의 80%를 배출한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환경부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내일(12일) 서울 영등포구 켄싱턴호텔에서 민간 사업장 39곳과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참여 자발적 협약식'을 연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전기가스증기업, 제철제강업, 비금속광물제조업 등 굴뚝 자동측정장비(TMS)가 구축된 수도권 1∼3종 대기배출사업장이 참여한다.
대기배출사업장은 연간 배출량에 따라 80t 이상은 1종, 80∼20t은 2종, 20∼10t은 3종, 10∼2t은 4종, 2t 미만은 5종으로 구분한다.
지자체별로는 서울 1곳, 인천 15곳, 경기 23곳의 민간 사업장이 다음 시행 때부터 곧바로 비상저감조치에 참여하기로 했다.
참여 사업장에서는 사업장별 특성을 고려해 미리 환경부와 지자체에 제출한 미세먼지 배출 저감 관리카드에 따라 자체적으로 비상저감조치에 참여한다.
이들 사업장의 미세먼지 배출량은 향후 지자체의 지도·점검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환경부와 수도권대기환경청은 앞으로 굴뚝 자동측정장비가 구축된 수도권 전체 대형사업장 193곳을 대상으로 비상저감조치 참여 대상 업체를 늘릴 예정이다.
이들 대형사업장 193곳은 2016년 말 기준으로 수도권 전체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초미세먼지(PM-2.5)의 80%를 배출한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
모은희 기자 monnie@kbs.co.kr
모은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