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 여자농구 통역의 슬픈 메아리
입력 2018.04.19 (13:53)
수정 2018.04.20 (15: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투] 여자농구 통역의 슬픈 메아리](/data/layer/602/2018/04/KWGlamxY2JHjx.jpg)
[미투] 여자농구 통역의 슬픈 메아리

여자농구 통역을 담당했던 A 씨의 고백은 충격적이었다. 지난 2013년부터 외국인 선수의 국내 에이전트를 담당하는 김 모 씨로부터 세 차례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선수와 관련된 얘기를 하자며 만남을 요구한 김 모 씨는 "감독님들한테 내가 지금 돈을 들인 게 얼만데 잘 보이고 싶으면 나한테 잘해야 해. 술접대를 한 게 감독, 국장들, WKBL 고위임원인 ***까지 다야. 윗사람들도 다 내 손 거쳐 갔으니까 잘해야 해"라며 A 씨를 압박했다. 자신이 여자 농구 최고 스타와도 키스하고 가슴을 만지기도 했다며 자랑삼아 말하기도 했다. A 씨는 지금까지 자신이 쌓아온 경력이 다 망가질까 두려워 김 모 씨의 요구를 따를 수밖에 없다고 했다. 두 번의 성폭행 뒤에 A씨가 김 모 씨의 연락을 계속 피하자 김 모 씨는 구단 숙소 앞까지 찾아와 기다리는 끈질김을 보였다고 한다.
더 큰 문제는 그다음이다. 성폭행을 당한 이후에도 현장에서 김 모 씨를 계속해서 봐야 했던 A 씨는 공항에 김 모 씨와 함께 선수를 데려오라는 구단 국장의 지시에 근무하는 동안 처음으로 "싫어요."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에이전트 김 모 씨가 억지로 모텔 앞까지 갔다. 그래서 싫다"고 어렵사리 얘기를 꺼냈다. 그런데 그 얘기를 듣던 국장은 "아 안됐네. 그럼 다른 사람을 보낼게."라고 하고 아무 말이 없었다고 한다. A 씨는 "감독님들이나 국장들 모두 자기한테 조심한대요. 그걸 믿고 계속 그러는 건데 더 의상 말할 의지가 생기지 않았어요."라고 덧붙였다.
A 씨 말에 따르면 김 모 씨의 이런 횡포는 여자농구판에서 유명하다고 한다. 실제로 피해자 A 씨 외에도 에이전트 김 모 씨의 성폭력에 당했다는 또 다른 피해자 B 씨도 존재했다.
B 씨도 이 에이전트 김 모 씨의 접근 방식이 비슷하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선수 얘기를 하자며 만나자고 요구해 밥을 한번 먹었는데, 그 이후에도 줄기차게 괴롭힘을 당했다고 한다. 연락을 안 받고 피하자 전화로 "한번 **하려고 했는데 되게 비싸게 구네!"라며 자신을 희롱했다는 것이다.
B 씨는 이 사실을 프로농구연맹(WKBL)의 한 팀장에게 알렸지만 별다른 조치가 없었다고 한다. 그 이후에도 경기장에서 에이전트 김 모 씨를 계속해서 만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B 씨의 설명이다. WKBL에 이런 내용을 전달받은 적이 있는지 확인했다. WKBL은 "담당 팀장이 경기장에서 통역에게 질이 안 좋다. 술자리에 불러냈다는 얘기만 들은 걸로 기억한다. 그러나 공식 신고 절차가 없었다."라고 대답했다. 성폭력 사건을 듣고도 신고 접수조차 하지 않았다는 것을 본인들의 입으로 시인한 셈이다.

피해자 A 씨는 성폭행 충격으로 현재 회사를 그만둔 상황이지만, 가해자로 지목된 김 모 씨는 여전히 농구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처음에는 "아무것도 구체적이지 않다"며 "나를 싫어하는 사람들의 음모"라던 에이전트 김 모 씨는 "그렇다면 전 여자농구 통역 A 씨와 세 차례 모텔에 간 것도 사실이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에 "변호사를 통해 상황을 설명하겠다."라는 대답만 남겼다.
이 상황에서 한가지 확신할 수 있는 것은 구단과 WKBL의 미온적인 대처이다. 피해자가 힘겹게 꺼낸 성폭력 관련 내용을 피해자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면서 넘어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않고 손을 놔버리는 구단과 WKBL의 행태가 계속되는 한, 스포츠계의 성폭력 사건을 예방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연관 기사] [뉴스9] 여자 농구도 ‘미투’ 폭로…구단·연맹은 ‘나 몰라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투] 여자농구 통역의 슬픈 메아리
-
- 입력 2018-04-19 13:53:30
- 수정2018-04-20 15:02:32

여자농구 통역을 담당했던 A 씨의 고백은 충격적이었다. 지난 2013년부터 외국인 선수의 국내 에이전트를 담당하는 김 모 씨로부터 세 차례 성폭행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선수와 관련된 얘기를 하자며 만남을 요구한 김 모 씨는 "감독님들한테 내가 지금 돈을 들인 게 얼만데 잘 보이고 싶으면 나한테 잘해야 해. 술접대를 한 게 감독, 국장들, WKBL 고위임원인 ***까지 다야. 윗사람들도 다 내 손 거쳐 갔으니까 잘해야 해"라며 A 씨를 압박했다. 자신이 여자 농구 최고 스타와도 키스하고 가슴을 만지기도 했다며 자랑삼아 말하기도 했다. A 씨는 지금까지 자신이 쌓아온 경력이 다 망가질까 두려워 김 모 씨의 요구를 따를 수밖에 없다고 했다. 두 번의 성폭행 뒤에 A씨가 김 모 씨의 연락을 계속 피하자 김 모 씨는 구단 숙소 앞까지 찾아와 기다리는 끈질김을 보였다고 한다.
더 큰 문제는 그다음이다. 성폭행을 당한 이후에도 현장에서 김 모 씨를 계속해서 봐야 했던 A 씨는 공항에 김 모 씨와 함께 선수를 데려오라는 구단 국장의 지시에 근무하는 동안 처음으로 "싫어요."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에이전트 김 모 씨가 억지로 모텔 앞까지 갔다. 그래서 싫다"고 어렵사리 얘기를 꺼냈다. 그런데 그 얘기를 듣던 국장은 "아 안됐네. 그럼 다른 사람을 보낼게."라고 하고 아무 말이 없었다고 한다. A 씨는 "감독님들이나 국장들 모두 자기한테 조심한대요. 그걸 믿고 계속 그러는 건데 더 의상 말할 의지가 생기지 않았어요."라고 덧붙였다.
A 씨 말에 따르면 김 모 씨의 이런 횡포는 여자농구판에서 유명하다고 한다. 실제로 피해자 A 씨 외에도 에이전트 김 모 씨의 성폭력에 당했다는 또 다른 피해자 B 씨도 존재했다.
B 씨도 이 에이전트 김 모 씨의 접근 방식이 비슷하다고 말했다. 계속해서 선수 얘기를 하자며 만나자고 요구해 밥을 한번 먹었는데, 그 이후에도 줄기차게 괴롭힘을 당했다고 한다. 연락을 안 받고 피하자 전화로 "한번 **하려고 했는데 되게 비싸게 구네!"라며 자신을 희롱했다는 것이다.
B 씨는 이 사실을 프로농구연맹(WKBL)의 한 팀장에게 알렸지만 별다른 조치가 없었다고 한다. 그 이후에도 경기장에서 에이전트 김 모 씨를 계속해서 만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B 씨의 설명이다. WKBL에 이런 내용을 전달받은 적이 있는지 확인했다. WKBL은 "담당 팀장이 경기장에서 통역에게 질이 안 좋다. 술자리에 불러냈다는 얘기만 들은 걸로 기억한다. 그러나 공식 신고 절차가 없었다."라고 대답했다. 성폭력 사건을 듣고도 신고 접수조차 하지 않았다는 것을 본인들의 입으로 시인한 셈이다.

피해자 A 씨는 성폭행 충격으로 현재 회사를 그만둔 상황이지만, 가해자로 지목된 김 모 씨는 여전히 농구계에서 활동하고 있다. 처음에는 "아무것도 구체적이지 않다"며 "나를 싫어하는 사람들의 음모"라던 에이전트 김 모 씨는 "그렇다면 전 여자농구 통역 A 씨와 세 차례 모텔에 간 것도 사실이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에 "변호사를 통해 상황을 설명하겠다."라는 대답만 남겼다.
이 상황에서 한가지 확신할 수 있는 것은 구단과 WKBL의 미온적인 대처이다. 피해자가 힘겹게 꺼낸 성폭력 관련 내용을 피해자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면서 넘어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무런 대책도 세우지 않고 손을 놔버리는 구단과 WKBL의 행태가 계속되는 한, 스포츠계의 성폭력 사건을 예방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연관 기사] [뉴스9] 여자 농구도 ‘미투’ 폭로…구단·연맹은 ‘나 몰라라’
-
-
정현숙 기자 hyensui@kbs.co.kr
정현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나도 당했다”…‘미투’ 파문 확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