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美 정부 “북한은 일상적 인권 침해 국가”
입력 2018.04.21 (04:59) 수정 2018.04.21 (05:24) 국제
미국 정부가 북미 정상회담 준비 국면에서 북한을 '일상적으로 인권을 침해하는 국가'로 재차 규정했다.
북한 비핵화를 위한 대화에 개입하려는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미국으로부터 핵협정 개정을 요구받는 이란도 인권 침해 국가에 포함됐다.
존 설리번 국무부 장관 대행은 20일(현지시간) 발표한 '2017 국가별 인권사례보고서'를 통해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정부는 국경 내에서 일상적으로 인권을 침해한다"고 밝혔다.
설리번 대행은 "표현의 자유와 평화로운 회합을 제한하고, 종교인, 소수민족 등 소수의 집단에 대한 폭력을 자행하고, 인간 존엄의 근본을 훼손하는 나라들은 도덕적으로 비난받아야 하며, 우리의 이익을 저해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인간 존엄과 자유를 위해 싸우는 전 세계의 사람들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무부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보고서에서도 북한을 인권침해국으로 부각하면서 같은 날 발표된 재무부의 신규 제재 대상자들을 인권 유린의 책임자로 적시한 바 있다.
국무부는 전임 오바마 정부 시절이던 지난 2016년 2월 제정된 대북제재강화법에 따라 북한 내 구체적 인권실태 및 책임 있는 인사들을 파악해 6개월마다 보고서를 통해 의회에 보고해야 한다.
[사진출처 : AP=연합뉴스]
북한 비핵화를 위한 대화에 개입하려는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미국으로부터 핵협정 개정을 요구받는 이란도 인권 침해 국가에 포함됐다.
존 설리번 국무부 장관 대행은 20일(현지시간) 발표한 '2017 국가별 인권사례보고서'를 통해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정부는 국경 내에서 일상적으로 인권을 침해한다"고 밝혔다.
설리번 대행은 "표현의 자유와 평화로운 회합을 제한하고, 종교인, 소수민족 등 소수의 집단에 대한 폭력을 자행하고, 인간 존엄의 근본을 훼손하는 나라들은 도덕적으로 비난받아야 하며, 우리의 이익을 저해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인간 존엄과 자유를 위해 싸우는 전 세계의 사람들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무부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보고서에서도 북한을 인권침해국으로 부각하면서 같은 날 발표된 재무부의 신규 제재 대상자들을 인권 유린의 책임자로 적시한 바 있다.
국무부는 전임 오바마 정부 시절이던 지난 2016년 2월 제정된 대북제재강화법에 따라 북한 내 구체적 인권실태 및 책임 있는 인사들을 파악해 6개월마다 보고서를 통해 의회에 보고해야 한다.
[사진출처 : AP=연합뉴스]
- 美 정부 “북한은 일상적 인권 침해 국가”
-
- 입력 2018-04-21 04:59:11
- 수정2018-04-21 05:24:20

미국 정부가 북미 정상회담 준비 국면에서 북한을 '일상적으로 인권을 침해하는 국가'로 재차 규정했다.
북한 비핵화를 위한 대화에 개입하려는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미국으로부터 핵협정 개정을 요구받는 이란도 인권 침해 국가에 포함됐다.
존 설리번 국무부 장관 대행은 20일(현지시간) 발표한 '2017 국가별 인권사례보고서'를 통해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정부는 국경 내에서 일상적으로 인권을 침해한다"고 밝혔다.
설리번 대행은 "표현의 자유와 평화로운 회합을 제한하고, 종교인, 소수민족 등 소수의 집단에 대한 폭력을 자행하고, 인간 존엄의 근본을 훼손하는 나라들은 도덕적으로 비난받아야 하며, 우리의 이익을 저해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인간 존엄과 자유를 위해 싸우는 전 세계의 사람들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무부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보고서에서도 북한을 인권침해국으로 부각하면서 같은 날 발표된 재무부의 신규 제재 대상자들을 인권 유린의 책임자로 적시한 바 있다.
국무부는 전임 오바마 정부 시절이던 지난 2016년 2월 제정된 대북제재강화법에 따라 북한 내 구체적 인권실태 및 책임 있는 인사들을 파악해 6개월마다 보고서를 통해 의회에 보고해야 한다.
[사진출처 : AP=연합뉴스]
북한 비핵화를 위한 대화에 개입하려는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미국으로부터 핵협정 개정을 요구받는 이란도 인권 침해 국가에 포함됐다.
존 설리번 국무부 장관 대행은 20일(현지시간) 발표한 '2017 국가별 인권사례보고서'를 통해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정부는 국경 내에서 일상적으로 인권을 침해한다"고 밝혔다.
설리번 대행은 "표현의 자유와 평화로운 회합을 제한하고, 종교인, 소수민족 등 소수의 집단에 대한 폭력을 자행하고, 인간 존엄의 근본을 훼손하는 나라들은 도덕적으로 비난받아야 하며, 우리의 이익을 저해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인간 존엄과 자유를 위해 싸우는 전 세계의 사람들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무부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보고서에서도 북한을 인권침해국으로 부각하면서 같은 날 발표된 재무부의 신규 제재 대상자들을 인권 유린의 책임자로 적시한 바 있다.
국무부는 전임 오바마 정부 시절이던 지난 2016년 2월 제정된 대북제재강화법에 따라 북한 내 구체적 인권실태 및 책임 있는 인사들을 파악해 6개월마다 보고서를 통해 의회에 보고해야 한다.
[사진출처 : AP=연합뉴스]
- 기자 정보
-
-
강나루 기자 naru@kbs.co.kr
강나루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