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美 컬럼바인 총기참사 19주년…학생 릴레이 시위
입력 2018.04.21 (07:13) 수정 2018.04.21 (07:54) 뉴스광장
[앵커]
지난 1999년 4월 재학생 2명이 총탄 900여 발을 난사해 13명의 목숨을 앗아간 컬럼바인 고교 총기 참사 사건, 기억하시는 분들 많으실겁니다.
오늘로, 참사 19주년을 맞아 미 전역에선 학생들이 또 다시 거리에 나서 강력한 총기 규제를 요구하는 릴레이 시위를 벌였습니다.
뉴욕 김철우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졸업하고 싶습니다."]
오전 10시, 미 동부에서 서부 지역까지 같은 시간대에 수만 명의 학생들이 거리 행진에 나섰습니다.
학생들은 19년 전 있었던 콜로라도주 컬럼바인 고교 총기 참사의 희생자를 추모하고 강력한 총기 규제를 요구했습니다.
[시위 참가 학생 : "총을 너무 쉽게 구할 수 있고,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일이 너무많이 발생해요. 그런 것은 잘못된 거죠."]
구조를 요청하는 퍼포먼스가 펼쳐졌고, 총기 사건 희생자를 추모하는 문구를 대형 현수막에 써넣기도 했습니다.
11월 중간 선거에서 투표로 학생들의 뜻을 전달하자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데이빗 호그/시위 참가 학생 : "우리가 원해 거리 시위에 나섰지만, 우리가 투표를 하지 않으면 정치인들은 우리 목소리를 들으려고 하지 않아요."]
미 전역에선 오늘, 2천 7백 여곳의 학교 학생들이 시위에 참가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는 컬럼바인 총기 참사 이후 19년 동안 미 전역의 학생 20만 6천여 명이 총기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학교 안 총격으로 숨진 사람은 130여 명, 부상자도 270여 명에 이른다고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플로리다 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또 총격 사건이 벌어져 학생 한 명이 다쳤습니다.
재학생으로 알려진 총격 용의자는 현장에서 곧바로 체포됐고, 발목에 총을 맞은 학생은 생명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지난 1999년 4월 재학생 2명이 총탄 900여 발을 난사해 13명의 목숨을 앗아간 컬럼바인 고교 총기 참사 사건, 기억하시는 분들 많으실겁니다.
오늘로, 참사 19주년을 맞아 미 전역에선 학생들이 또 다시 거리에 나서 강력한 총기 규제를 요구하는 릴레이 시위를 벌였습니다.
뉴욕 김철우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졸업하고 싶습니다."]
오전 10시, 미 동부에서 서부 지역까지 같은 시간대에 수만 명의 학생들이 거리 행진에 나섰습니다.
학생들은 19년 전 있었던 콜로라도주 컬럼바인 고교 총기 참사의 희생자를 추모하고 강력한 총기 규제를 요구했습니다.
[시위 참가 학생 : "총을 너무 쉽게 구할 수 있고,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일이 너무많이 발생해요. 그런 것은 잘못된 거죠."]
구조를 요청하는 퍼포먼스가 펼쳐졌고, 총기 사건 희생자를 추모하는 문구를 대형 현수막에 써넣기도 했습니다.
11월 중간 선거에서 투표로 학생들의 뜻을 전달하자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데이빗 호그/시위 참가 학생 : "우리가 원해 거리 시위에 나섰지만, 우리가 투표를 하지 않으면 정치인들은 우리 목소리를 들으려고 하지 않아요."]
미 전역에선 오늘, 2천 7백 여곳의 학교 학생들이 시위에 참가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는 컬럼바인 총기 참사 이후 19년 동안 미 전역의 학생 20만 6천여 명이 총기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학교 안 총격으로 숨진 사람은 130여 명, 부상자도 270여 명에 이른다고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플로리다 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또 총격 사건이 벌어져 학생 한 명이 다쳤습니다.
재학생으로 알려진 총격 용의자는 현장에서 곧바로 체포됐고, 발목에 총을 맞은 학생은 생명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 美 컬럼바인 총기참사 19주년…학생 릴레이 시위
-
- 입력 2018-04-21 07:16:57
- 수정2018-04-21 07:54:53

[앵커]
지난 1999년 4월 재학생 2명이 총탄 900여 발을 난사해 13명의 목숨을 앗아간 컬럼바인 고교 총기 참사 사건, 기억하시는 분들 많으실겁니다.
오늘로, 참사 19주년을 맞아 미 전역에선 학생들이 또 다시 거리에 나서 강력한 총기 규제를 요구하는 릴레이 시위를 벌였습니다.
뉴욕 김철우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졸업하고 싶습니다."]
오전 10시, 미 동부에서 서부 지역까지 같은 시간대에 수만 명의 학생들이 거리 행진에 나섰습니다.
학생들은 19년 전 있었던 콜로라도주 컬럼바인 고교 총기 참사의 희생자를 추모하고 강력한 총기 규제를 요구했습니다.
[시위 참가 학생 : "총을 너무 쉽게 구할 수 있고,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일이 너무많이 발생해요. 그런 것은 잘못된 거죠."]
구조를 요청하는 퍼포먼스가 펼쳐졌고, 총기 사건 희생자를 추모하는 문구를 대형 현수막에 써넣기도 했습니다.
11월 중간 선거에서 투표로 학생들의 뜻을 전달하자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데이빗 호그/시위 참가 학생 : "우리가 원해 거리 시위에 나섰지만, 우리가 투표를 하지 않으면 정치인들은 우리 목소리를 들으려고 하지 않아요."]
미 전역에선 오늘, 2천 7백 여곳의 학교 학생들이 시위에 참가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는 컬럼바인 총기 참사 이후 19년 동안 미 전역의 학생 20만 6천여 명이 총기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학교 안 총격으로 숨진 사람은 130여 명, 부상자도 270여 명에 이른다고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플로리다 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또 총격 사건이 벌어져 학생 한 명이 다쳤습니다.
재학생으로 알려진 총격 용의자는 현장에서 곧바로 체포됐고, 발목에 총을 맞은 학생은 생명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지난 1999년 4월 재학생 2명이 총탄 900여 발을 난사해 13명의 목숨을 앗아간 컬럼바인 고교 총기 참사 사건, 기억하시는 분들 많으실겁니다.
오늘로, 참사 19주년을 맞아 미 전역에선 학생들이 또 다시 거리에 나서 강력한 총기 규제를 요구하는 릴레이 시위를 벌였습니다.
뉴욕 김철우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졸업하고 싶습니다."]
오전 10시, 미 동부에서 서부 지역까지 같은 시간대에 수만 명의 학생들이 거리 행진에 나섰습니다.
학생들은 19년 전 있었던 콜로라도주 컬럼바인 고교 총기 참사의 희생자를 추모하고 강력한 총기 규제를 요구했습니다.
[시위 참가 학생 : "총을 너무 쉽게 구할 수 있고,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일이 너무많이 발생해요. 그런 것은 잘못된 거죠."]
구조를 요청하는 퍼포먼스가 펼쳐졌고, 총기 사건 희생자를 추모하는 문구를 대형 현수막에 써넣기도 했습니다.
11월 중간 선거에서 투표로 학생들의 뜻을 전달하자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데이빗 호그/시위 참가 학생 : "우리가 원해 거리 시위에 나섰지만, 우리가 투표를 하지 않으면 정치인들은 우리 목소리를 들으려고 하지 않아요."]
미 전역에선 오늘, 2천 7백 여곳의 학교 학생들이 시위에 참가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는 컬럼바인 총기 참사 이후 19년 동안 미 전역의 학생 20만 6천여 명이 총기 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학교 안 총격으로 숨진 사람은 130여 명, 부상자도 270여 명에 이른다고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플로리다 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또 총격 사건이 벌어져 학생 한 명이 다쳤습니다.
재학생으로 알려진 총격 용의자는 현장에서 곧바로 체포됐고, 발목에 총을 맞은 학생은 생명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철우 기자 cwkim@kbs.co.kr
김철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