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산나물과 헷갈리는 독초…구별법은?
입력 2018.04.29 (07:08)
수정 2018.04.29 (07: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안녕하세요?
재난방송센터의 김현경입니다.
봄철 입맛을 돋우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산나물이죠.
그런데 산과 들에서 채취해 나물인줄 알고 섣불리 먹었다간 큰 탈이 날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기문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가족 4명이 구급차에 오릅니다.
구급차 안에서 구토를 하기도 합니다.
야산에서 캐다 먹은 식물의 뿌리가 문제였습니다.
[당시 119구조대원 : "집 뒤뜰에서 캐냈다고 하더라고요. 몇 년 된 도라지인 줄 알고 드셨다고."]
이들이 도라지인 줄 알고 먹은 건 자리공이라는 독초.
얼핏 더덕이나 산마와 비슷해 보이지만 먹을 수 없는 독촙니다.
봄철엔 산나물이나 약초인 줄 알고 먹었다가 사고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주 혼동하는 것은 동의나물과 곰취.
비슷해 보이지만 줄기에 자주색 줄무늬가 있는 게 약초 곰취, 없는 건 독초 동의나물입니다.
여로와 원추리도 주의해야 합니다.
독초인 여로는 360도, 식용 원추리는 부채꼴 형태로 잎이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식용인 산마늘은 마늘 냄새가 나지만 독초인 박새는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김은정/한택식물원 연구원 : "독초인 박새는 여러 장의 잎이 촘촘히 난다는 점이 다른 점이고요. 식용으로 많이 이용하시는 산마늘 같은 경우에는 줄기당 두세 장의 잎만이 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나물을 먹고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손가락을 입에 넣어 토한 뒤 따뜻한 물을 마셔야 합니다.
독초인지, 식용 나물인지 구분이 힘들 때엔 아예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재난방송센터의 김현경입니다.
봄철 입맛을 돋우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산나물이죠.
그런데 산과 들에서 채취해 나물인줄 알고 섣불리 먹었다간 큰 탈이 날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기문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가족 4명이 구급차에 오릅니다.
구급차 안에서 구토를 하기도 합니다.
야산에서 캐다 먹은 식물의 뿌리가 문제였습니다.
[당시 119구조대원 : "집 뒤뜰에서 캐냈다고 하더라고요. 몇 년 된 도라지인 줄 알고 드셨다고."]
이들이 도라지인 줄 알고 먹은 건 자리공이라는 독초.
얼핏 더덕이나 산마와 비슷해 보이지만 먹을 수 없는 독촙니다.
봄철엔 산나물이나 약초인 줄 알고 먹었다가 사고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주 혼동하는 것은 동의나물과 곰취.
비슷해 보이지만 줄기에 자주색 줄무늬가 있는 게 약초 곰취, 없는 건 독초 동의나물입니다.
여로와 원추리도 주의해야 합니다.
독초인 여로는 360도, 식용 원추리는 부채꼴 형태로 잎이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식용인 산마늘은 마늘 냄새가 나지만 독초인 박새는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김은정/한택식물원 연구원 : "독초인 박새는 여러 장의 잎이 촘촘히 난다는 점이 다른 점이고요. 식용으로 많이 이용하시는 산마늘 같은 경우에는 줄기당 두세 장의 잎만이 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나물을 먹고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손가락을 입에 넣어 토한 뒤 따뜻한 물을 마셔야 합니다.
독초인지, 식용 나물인지 구분이 힘들 때엔 아예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봄철 산나물과 헷갈리는 독초…구별법은?
-
- 입력 2018-04-29 07:15:54
- 수정2018-04-29 07:50:46

[앵커]
안녕하세요?
재난방송센터의 김현경입니다.
봄철 입맛을 돋우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산나물이죠.
그런데 산과 들에서 채취해 나물인줄 알고 섣불리 먹었다간 큰 탈이 날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기문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가족 4명이 구급차에 오릅니다.
구급차 안에서 구토를 하기도 합니다.
야산에서 캐다 먹은 식물의 뿌리가 문제였습니다.
[당시 119구조대원 : "집 뒤뜰에서 캐냈다고 하더라고요. 몇 년 된 도라지인 줄 알고 드셨다고."]
이들이 도라지인 줄 알고 먹은 건 자리공이라는 독초.
얼핏 더덕이나 산마와 비슷해 보이지만 먹을 수 없는 독촙니다.
봄철엔 산나물이나 약초인 줄 알고 먹었다가 사고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주 혼동하는 것은 동의나물과 곰취.
비슷해 보이지만 줄기에 자주색 줄무늬가 있는 게 약초 곰취, 없는 건 독초 동의나물입니다.
여로와 원추리도 주의해야 합니다.
독초인 여로는 360도, 식용 원추리는 부채꼴 형태로 잎이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식용인 산마늘은 마늘 냄새가 나지만 독초인 박새는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김은정/한택식물원 연구원 : "독초인 박새는 여러 장의 잎이 촘촘히 난다는 점이 다른 점이고요. 식용으로 많이 이용하시는 산마늘 같은 경우에는 줄기당 두세 장의 잎만이 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나물을 먹고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손가락을 입에 넣어 토한 뒤 따뜻한 물을 마셔야 합니다.
독초인지, 식용 나물인지 구분이 힘들 때엔 아예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재난방송센터의 김현경입니다.
봄철 입맛을 돋우는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산나물이죠.
그런데 산과 들에서 채취해 나물인줄 알고 섣불리 먹었다간 큰 탈이 날 수 있어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기문 기자입니다.
[리포트]
일가족 4명이 구급차에 오릅니다.
구급차 안에서 구토를 하기도 합니다.
야산에서 캐다 먹은 식물의 뿌리가 문제였습니다.
[당시 119구조대원 : "집 뒤뜰에서 캐냈다고 하더라고요. 몇 년 된 도라지인 줄 알고 드셨다고."]
이들이 도라지인 줄 알고 먹은 건 자리공이라는 독초.
얼핏 더덕이나 산마와 비슷해 보이지만 먹을 수 없는 독촙니다.
봄철엔 산나물이나 약초인 줄 알고 먹었다가 사고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주 혼동하는 것은 동의나물과 곰취.
비슷해 보이지만 줄기에 자주색 줄무늬가 있는 게 약초 곰취, 없는 건 독초 동의나물입니다.
여로와 원추리도 주의해야 합니다.
독초인 여로는 360도, 식용 원추리는 부채꼴 형태로 잎이 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식용인 산마늘은 마늘 냄새가 나지만 독초인 박새는 냄새가 나지 않습니다.
[김은정/한택식물원 연구원 : "독초인 박새는 여러 장의 잎이 촘촘히 난다는 점이 다른 점이고요. 식용으로 많이 이용하시는 산마늘 같은 경우에는 줄기당 두세 장의 잎만이 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나물을 먹고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손가락을 입에 넣어 토한 뒤 따뜻한 물을 마셔야 합니다.
독초인지, 식용 나물인지 구분이 힘들 때엔 아예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
이기문 기자 lkm@kbs.co.kr
이기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