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들 ‘빚’으로 자본확충…금융당국 “현금도 넣어라”

입력 2018.06.03 (10:52) 수정 2018.06.03 (11: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험사들이 빚을 내 자본을 확충한 규모가 지난해 4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규제 강화와 금리 상승에 대비해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13개 생명·손해보험사들은 지난해 3조 5천100억 원 규모의 후순위채권과 신종자본증권(영구채권)을 발행했습니다. 후순위채와 영구채는 일정 규모까지 자기자본으로 인정됩니다.

발행 규모는 2016년 6천650억 원(후순위채 5천210억 원, 신종자본증권 1천440억 원)의 약 5.3배에 이릅니다. 2015년에는 후순위채 2천630억 원, 신종자본증권 발행은 없었습니다.

이처럼 후순위채와 영구채 발행이 급증한 것은 자본·회계기준 강화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보험사들은 2021년부터 '국제회계기준(IFRS) 17'이 도입되면 보험부채(보험금)를 원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해야 합니다. 새로운 보험금 지급여력제도(K-ICS)도 시행돼 보험부채가 늘어나면 그만큼 자본도 확충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보험사들이 앞다퉈 자본 확충에 나서고 있는 모습입니다. 고금리 저축성보험을 많이 팔았던 생명보험사 위주로 채권 발행이 많았지만 손해보험사들도 가세하는 분위기다.

지난해 한화생명과 교보생명이 각각 5천억 원과 5천500억 원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고, 농협생명은 후순위채로 5천억 원을 조달했습니다. 흥국생명은 신종자본증권 5천850억 원에 후순위채 150억 원을 더한 6천억 원을 발행했습니다. 손해보험업계에서도 현대해상이 5천억 원, DB손해보험이 4천990억 원의 후순위채로 자본을 확충했습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규모가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8개 생·손보사가 후순위채·신종자본증권 발행을 마쳤거나 발행할 계획입니다. 발행액은 최대 4조 원에 이를 전망입니다.

지난 4월 메리츠화재가 후순위채 1천억 원을 발행했습니다. 한화생명은 지난해 5천억 원에 이어 올해 4월에 신종자본증권 1조 700억 원을 또 찍었습니다. KDB생명은 지난달 2천140억 원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고, 후순위채도 연내 발행할 계획입니다.

신한생명은 이달 안에 최대 2천억 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합니다. 롯데손해보험도 지난해 11월 900억 원에 이어 이번 달에 600억 원의 후순위채로 자본을 더 끌어모을 예정입니다. 교보생명이 7월 중 최대 1조 700억 원, 현대해상이 3분기 중 최대 7천490억 원, 동양생명이 하반기 중 5천350억 원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할 계획입니다.

후순위채와 신종자본증권은 고금리채로, 금융당국은 법적으로 허용된 한도에서 발행되는 후순위채와 신종자본증권을 막을 수 없지만, 이 같은 채무 방식의 자본 확충에 앞서 '현금 투입'을 대주주와 경영진이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KDB생명이 올해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은 금리가 7.14%에 달하는 등 일부 보험사의 경우 자산운용 수익률을 웃도는 조달비용을 낸 점이 지적되기도 했습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가장 바람직한 게 이익 잉여금을 배당으로 돌리지 않고 쌓는 내부유보, 그다음이 대주주 등의 유상증자라는 점을 최고경영자와 재무책임자들에게 여러 경로로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보험사들 ‘빚’으로 자본확충…금융당국 “현금도 넣어라”
    • 입력 2018-06-03 10:52:36
    • 수정2018-06-03 11:02:07
    경제
보험사들이 빚을 내 자본을 확충한 규모가 지난해 4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규제 강화와 금리 상승에 대비해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늘어날 전망입니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13개 생명·손해보험사들은 지난해 3조 5천100억 원 규모의 후순위채권과 신종자본증권(영구채권)을 발행했습니다. 후순위채와 영구채는 일정 규모까지 자기자본으로 인정됩니다.

발행 규모는 2016년 6천650억 원(후순위채 5천210억 원, 신종자본증권 1천440억 원)의 약 5.3배에 이릅니다. 2015년에는 후순위채 2천630억 원, 신종자본증권 발행은 없었습니다.

이처럼 후순위채와 영구채 발행이 급증한 것은 자본·회계기준 강화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보험사들은 2021년부터 '국제회계기준(IFRS) 17'이 도입되면 보험부채(보험금)를 원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해야 합니다. 새로운 보험금 지급여력제도(K-ICS)도 시행돼 보험부채가 늘어나면 그만큼 자본도 확충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보험사들이 앞다퉈 자본 확충에 나서고 있는 모습입니다. 고금리 저축성보험을 많이 팔았던 생명보험사 위주로 채권 발행이 많았지만 손해보험사들도 가세하는 분위기다.

지난해 한화생명과 교보생명이 각각 5천억 원과 5천500억 원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고, 농협생명은 후순위채로 5천억 원을 조달했습니다. 흥국생명은 신종자본증권 5천850억 원에 후순위채 150억 원을 더한 6천억 원을 발행했습니다. 손해보험업계에서도 현대해상이 5천억 원, DB손해보험이 4천990억 원의 후순위채로 자본을 확충했습니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규모가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8개 생·손보사가 후순위채·신종자본증권 발행을 마쳤거나 발행할 계획입니다. 발행액은 최대 4조 원에 이를 전망입니다.

지난 4월 메리츠화재가 후순위채 1천억 원을 발행했습니다. 한화생명은 지난해 5천억 원에 이어 올해 4월에 신종자본증권 1조 700억 원을 또 찍었습니다. KDB생명은 지난달 2천140억 원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했고, 후순위채도 연내 발행할 계획입니다.

신한생명은 이달 안에 최대 2천억 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합니다. 롯데손해보험도 지난해 11월 900억 원에 이어 이번 달에 600억 원의 후순위채로 자본을 더 끌어모을 예정입니다. 교보생명이 7월 중 최대 1조 700억 원, 현대해상이 3분기 중 최대 7천490억 원, 동양생명이 하반기 중 5천350억 원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할 계획입니다.

후순위채와 신종자본증권은 고금리채로, 금융당국은 법적으로 허용된 한도에서 발행되는 후순위채와 신종자본증권을 막을 수 없지만, 이 같은 채무 방식의 자본 확충에 앞서 '현금 투입'을 대주주와 경영진이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KDB생명이 올해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은 금리가 7.14%에 달하는 등 일부 보험사의 경우 자산운용 수익률을 웃도는 조달비용을 낸 점이 지적되기도 했습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가장 바람직한 게 이익 잉여금을 배당으로 돌리지 않고 쌓는 내부유보, 그다음이 대주주 등의 유상증자라는 점을 최고경영자와 재무책임자들에게 여러 경로로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