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특검, 엄정 수사로 진실 밝혀라
입력 2018.06.08 (07:43)
수정 2018.06.08 (07: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재성 해설위원]
문재인 대통령이 특별검사를 임명하면서 드루킹의 인터넷상 불법 댓글 조작 사건과 관련된 진상 규명을 위한 특검이 공식활동에 들어갑니다. 역대 13번째이자 현 정부 출범 이후 첫 특검입니다. 특검은 20일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최장 90일간 드루킹 사건을 수사할 수 있습니다. 규모는 특별검사 1명과 특검보 3명, 파견검사 13명, 특별수사관 35명, 파견 공무원 35명 등 최대 87명이며, 6.13 지방선거 후 본격 활동할 것으로 보입니다.
드루킹은 지난 1월 인터넷 기사 676건의 댓글 2만여 개에 동일 작업 반복 프로그램인 매크로를 사용해 추천수를 조작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대선 7개월 전인 2016년 10월부터 올 3월까지 기사 9만 건의 댓글 조작을 한 정황도 확인됐습니다. 김경수 전 의원이 대선 전인 2016년 11월부터 드루킹에게 메신저로 기사 인터넷 주소(URL)를 보내고, 대화를 주고받은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송인배 청와대 제1 부속비서관도 대선 전 드루킹을 수차례 만났고, 김경수 전 의원에게 드루킹을 연결해 준 내용도 포착됐습니다. 특검은 현재 수사로 드러난 사실에 대한 확인은 물론 그 외 어떤 불법 사실들이 있는지 증거를 찾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특검은 우선 드루킹이 댓글 조작을 누구와 어떻게 얼마나 조직적으로 했는지와 대선과의 연관성 등을 밝혀야 합니다. 또 김경수 전 의원이 드루킹과 어떤 관계인지, 지원을 했는지, 대선 과정에서 드루킹과 댓글 공작을 공모했는지 등을 수사해야 합니다. 송 비서관의 경우도 드루킹과 어떤 관계로 만난 것인지, 불법 사실이 있는지 등을 밝혀야 합니다. 일각에서 제기된 경찰의 부실수사와 검찰의 소극적 태도 김경수 전의원의 말 바꾸기 의혹의 실상을 밝히는 것도 특검의 몫입니다.
드루킹 특검과 별개지만 2007년 대선 때 한나라당 새누리당도 매크로 프로그램을 통해 여론조작을 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댓글 조작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어느 때 보다 커졌습니다. 댓글 조작은 민의를 왜곡시켜 건강한 여론을 몰아내고 결국은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적폐로 뿌리를 뽑아야 합니다. 국민들은 특검이 오직 진실만 바라보는 투철한 사명감과 철저한 수사로 드루킹 사건의 전모와 실체를 밝혀주길 기대합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특별검사를 임명하면서 드루킹의 인터넷상 불법 댓글 조작 사건과 관련된 진상 규명을 위한 특검이 공식활동에 들어갑니다. 역대 13번째이자 현 정부 출범 이후 첫 특검입니다. 특검은 20일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최장 90일간 드루킹 사건을 수사할 수 있습니다. 규모는 특별검사 1명과 특검보 3명, 파견검사 13명, 특별수사관 35명, 파견 공무원 35명 등 최대 87명이며, 6.13 지방선거 후 본격 활동할 것으로 보입니다.
드루킹은 지난 1월 인터넷 기사 676건의 댓글 2만여 개에 동일 작업 반복 프로그램인 매크로를 사용해 추천수를 조작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대선 7개월 전인 2016년 10월부터 올 3월까지 기사 9만 건의 댓글 조작을 한 정황도 확인됐습니다. 김경수 전 의원이 대선 전인 2016년 11월부터 드루킹에게 메신저로 기사 인터넷 주소(URL)를 보내고, 대화를 주고받은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송인배 청와대 제1 부속비서관도 대선 전 드루킹을 수차례 만났고, 김경수 전 의원에게 드루킹을 연결해 준 내용도 포착됐습니다. 특검은 현재 수사로 드러난 사실에 대한 확인은 물론 그 외 어떤 불법 사실들이 있는지 증거를 찾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특검은 우선 드루킹이 댓글 조작을 누구와 어떻게 얼마나 조직적으로 했는지와 대선과의 연관성 등을 밝혀야 합니다. 또 김경수 전 의원이 드루킹과 어떤 관계인지, 지원을 했는지, 대선 과정에서 드루킹과 댓글 공작을 공모했는지 등을 수사해야 합니다. 송 비서관의 경우도 드루킹과 어떤 관계로 만난 것인지, 불법 사실이 있는지 등을 밝혀야 합니다. 일각에서 제기된 경찰의 부실수사와 검찰의 소극적 태도 김경수 전의원의 말 바꾸기 의혹의 실상을 밝히는 것도 특검의 몫입니다.
드루킹 특검과 별개지만 2007년 대선 때 한나라당 새누리당도 매크로 프로그램을 통해 여론조작을 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댓글 조작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어느 때 보다 커졌습니다. 댓글 조작은 민의를 왜곡시켜 건강한 여론을 몰아내고 결국은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적폐로 뿌리를 뽑아야 합니다. 국민들은 특검이 오직 진실만 바라보는 투철한 사명감과 철저한 수사로 드루킹 사건의 전모와 실체를 밝혀주길 기대합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특검, 엄정 수사로 진실 밝혀라
-
- 입력 2018-06-08 07:48:31
- 수정2018-06-08 07:51:47
[배재성 해설위원]
문재인 대통령이 특별검사를 임명하면서 드루킹의 인터넷상 불법 댓글 조작 사건과 관련된 진상 규명을 위한 특검이 공식활동에 들어갑니다. 역대 13번째이자 현 정부 출범 이후 첫 특검입니다. 특검은 20일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최장 90일간 드루킹 사건을 수사할 수 있습니다. 규모는 특별검사 1명과 특검보 3명, 파견검사 13명, 특별수사관 35명, 파견 공무원 35명 등 최대 87명이며, 6.13 지방선거 후 본격 활동할 것으로 보입니다.
드루킹은 지난 1월 인터넷 기사 676건의 댓글 2만여 개에 동일 작업 반복 프로그램인 매크로를 사용해 추천수를 조작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대선 7개월 전인 2016년 10월부터 올 3월까지 기사 9만 건의 댓글 조작을 한 정황도 확인됐습니다. 김경수 전 의원이 대선 전인 2016년 11월부터 드루킹에게 메신저로 기사 인터넷 주소(URL)를 보내고, 대화를 주고받은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송인배 청와대 제1 부속비서관도 대선 전 드루킹을 수차례 만났고, 김경수 전 의원에게 드루킹을 연결해 준 내용도 포착됐습니다. 특검은 현재 수사로 드러난 사실에 대한 확인은 물론 그 외 어떤 불법 사실들이 있는지 증거를 찾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특검은 우선 드루킹이 댓글 조작을 누구와 어떻게 얼마나 조직적으로 했는지와 대선과의 연관성 등을 밝혀야 합니다. 또 김경수 전 의원이 드루킹과 어떤 관계인지, 지원을 했는지, 대선 과정에서 드루킹과 댓글 공작을 공모했는지 등을 수사해야 합니다. 송 비서관의 경우도 드루킹과 어떤 관계로 만난 것인지, 불법 사실이 있는지 등을 밝혀야 합니다. 일각에서 제기된 경찰의 부실수사와 검찰의 소극적 태도 김경수 전의원의 말 바꾸기 의혹의 실상을 밝히는 것도 특검의 몫입니다.
드루킹 특검과 별개지만 2007년 대선 때 한나라당 새누리당도 매크로 프로그램을 통해 여론조작을 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댓글 조작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어느 때 보다 커졌습니다. 댓글 조작은 민의를 왜곡시켜 건강한 여론을 몰아내고 결국은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적폐로 뿌리를 뽑아야 합니다. 국민들은 특검이 오직 진실만 바라보는 투철한 사명감과 철저한 수사로 드루킹 사건의 전모와 실체를 밝혀주길 기대합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특별검사를 임명하면서 드루킹의 인터넷상 불법 댓글 조작 사건과 관련된 진상 규명을 위한 특검이 공식활동에 들어갑니다. 역대 13번째이자 현 정부 출범 이후 첫 특검입니다. 특검은 20일간의 준비 기간을 거쳐 최장 90일간 드루킹 사건을 수사할 수 있습니다. 규모는 특별검사 1명과 특검보 3명, 파견검사 13명, 특별수사관 35명, 파견 공무원 35명 등 최대 87명이며, 6.13 지방선거 후 본격 활동할 것으로 보입니다.
드루킹은 지난 1월 인터넷 기사 676건의 댓글 2만여 개에 동일 작업 반복 프로그램인 매크로를 사용해 추천수를 조작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대선 7개월 전인 2016년 10월부터 올 3월까지 기사 9만 건의 댓글 조작을 한 정황도 확인됐습니다. 김경수 전 의원이 대선 전인 2016년 11월부터 드루킹에게 메신저로 기사 인터넷 주소(URL)를 보내고, 대화를 주고받은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송인배 청와대 제1 부속비서관도 대선 전 드루킹을 수차례 만났고, 김경수 전 의원에게 드루킹을 연결해 준 내용도 포착됐습니다. 특검은 현재 수사로 드러난 사실에 대한 확인은 물론 그 외 어떤 불법 사실들이 있는지 증거를 찾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특검은 우선 드루킹이 댓글 조작을 누구와 어떻게 얼마나 조직적으로 했는지와 대선과의 연관성 등을 밝혀야 합니다. 또 김경수 전 의원이 드루킹과 어떤 관계인지, 지원을 했는지, 대선 과정에서 드루킹과 댓글 공작을 공모했는지 등을 수사해야 합니다. 송 비서관의 경우도 드루킹과 어떤 관계로 만난 것인지, 불법 사실이 있는지 등을 밝혀야 합니다. 일각에서 제기된 경찰의 부실수사와 검찰의 소극적 태도 김경수 전의원의 말 바꾸기 의혹의 실상을 밝히는 것도 특검의 몫입니다.
드루킹 특검과 별개지만 2007년 대선 때 한나라당 새누리당도 매크로 프로그램을 통해 여론조작을 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댓글 조작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어느 때 보다 커졌습니다. 댓글 조작은 민의를 왜곡시켜 건강한 여론을 몰아내고 결국은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적폐로 뿌리를 뽑아야 합니다. 국민들은 특검이 오직 진실만 바라보는 투철한 사명감과 철저한 수사로 드루킹 사건의 전모와 실체를 밝혀주길 기대합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
배재성 기자 bjsong@kbs.co.kr
배재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