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 선택! 전북 교육감 후보
입력 2018.06.08 (13:57)
수정 2018.06.08 (13: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택! 대한민국]
[앵커]
전북 교육감 선거는 3선에 도전하는 현 교육감과 초선을 노리는 네 후보들 간 5파전으로 치러집니다.
교육감 후보들의 주요 공약을 살펴봤습니다.
오중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육감 3선에 도전하는 김승환 후보는 현 정부와 함께 공교육 혁신을 완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공약으로 교육 예산 확대와 민주 교육행정 실현, 학력 신장과 교사 업무 지원, 교육자치 실현을 제시했습니다.
[김승환/전북교육감 후보 : "직무수행 지지도가 계속해서 톱3 순위에 들어섰습니다. 그동안에는 정권에 의해서 핍박받는 교육감이었는데 이제는 정권과 호흡을 맞추는 그런 교육감이라고 생각합니다."]
전북대학교 총장을 연임한 서거석 후보는 전북 학력 수준 향상을 위해 최대한 국비를 확보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안전한 교육 환경과 학생·교직원 존중 풍토, 차별 없는 교육 실현, 지역 사회 소통을 약속했습니다.
[서거석/전북교육감 후보 : "중앙부처와 정치권은 물론 전국 어디든 달려가 예산을 확보해 전북 교육 발전에 밑거름을 만들겠습니다."]
30여 년간 교편을 잡은 이미영 후보는 사람 중심의 인성 교육으로 창의적인 인재를 키우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장 중심의 안심 학교와 의무교육 확대, 교육격차 해소, 교육 자치분권 실현이 핵심 공약입니다.
[이미영/전북교육감 후보 : "교사들의 열정을 살리고 우리 아이들의 성장과 배움 과정을 적절하게 조합해서 전북을 교육도시로 다시 되살리겠습니다."]
전주교육지원청 교육장을 지낸 이재경 후보는 학교, 학부모, 지자체가 함께하는 교육 공동체 형성을 강조했습니다.
책무형 참여학교와 과목별 중점학교 지정, 성폭력 즉시 퇴출, 농어촌 특수학교 설립이 주요 공약입니다.
[이재경/전북교육감 후보 : "교단의 경험과 교육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전북교육을 빠른 시간 내에 전국 최고의 전북교육으로 부활시킬 수 있습니다."]
전라북도 부교육감 출신의 황호진 후보는 세계적인 무상교육도시 건설 계획을 내놓았습니다.
고등학교까지 무상교육, 교육예산 4조 원 시대, 진로교육 특구 1번지, 학생 자치권 확대에 힘쓰기로 했습니다.
[황호진/전북교육감 후보 : "우리 전북이 경제적으로 대단히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아 교육부터 고등학교까지 전면 무상 교육을 바로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고..."]
저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교육 혁신을 이루겠다고 자신한 가운데, 현 교육감이 3선 고지를 점령할지, 다른 네 후보 중 한 명이 새 교육 수장으로 탄생할지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중호입니다.
[앵커]
전북 교육감 선거는 3선에 도전하는 현 교육감과 초선을 노리는 네 후보들 간 5파전으로 치러집니다.
교육감 후보들의 주요 공약을 살펴봤습니다.
오중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육감 3선에 도전하는 김승환 후보는 현 정부와 함께 공교육 혁신을 완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공약으로 교육 예산 확대와 민주 교육행정 실현, 학력 신장과 교사 업무 지원, 교육자치 실현을 제시했습니다.
[김승환/전북교육감 후보 : "직무수행 지지도가 계속해서 톱3 순위에 들어섰습니다. 그동안에는 정권에 의해서 핍박받는 교육감이었는데 이제는 정권과 호흡을 맞추는 그런 교육감이라고 생각합니다."]
전북대학교 총장을 연임한 서거석 후보는 전북 학력 수준 향상을 위해 최대한 국비를 확보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안전한 교육 환경과 학생·교직원 존중 풍토, 차별 없는 교육 실현, 지역 사회 소통을 약속했습니다.
[서거석/전북교육감 후보 : "중앙부처와 정치권은 물론 전국 어디든 달려가 예산을 확보해 전북 교육 발전에 밑거름을 만들겠습니다."]
30여 년간 교편을 잡은 이미영 후보는 사람 중심의 인성 교육으로 창의적인 인재를 키우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장 중심의 안심 학교와 의무교육 확대, 교육격차 해소, 교육 자치분권 실현이 핵심 공약입니다.
[이미영/전북교육감 후보 : "교사들의 열정을 살리고 우리 아이들의 성장과 배움 과정을 적절하게 조합해서 전북을 교육도시로 다시 되살리겠습니다."]
전주교육지원청 교육장을 지낸 이재경 후보는 학교, 학부모, 지자체가 함께하는 교육 공동체 형성을 강조했습니다.
책무형 참여학교와 과목별 중점학교 지정, 성폭력 즉시 퇴출, 농어촌 특수학교 설립이 주요 공약입니다.
[이재경/전북교육감 후보 : "교단의 경험과 교육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전북교육을 빠른 시간 내에 전국 최고의 전북교육으로 부활시킬 수 있습니다."]
전라북도 부교육감 출신의 황호진 후보는 세계적인 무상교육도시 건설 계획을 내놓았습니다.
고등학교까지 무상교육, 교육예산 4조 원 시대, 진로교육 특구 1번지, 학생 자치권 확대에 힘쓰기로 했습니다.
[황호진/전북교육감 후보 : "우리 전북이 경제적으로 대단히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아 교육부터 고등학교까지 전면 무상 교육을 바로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고..."]
저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교육 혁신을 이루겠다고 자신한 가운데, 현 교육감이 3선 고지를 점령할지, 다른 네 후보 중 한 명이 새 교육 수장으로 탄생할지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중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K 선택! 전북 교육감 후보
-
- 입력 2018-06-08 13:57:33
- 수정2018-06-08 13:58:37
[선택! 대한민국]
[앵커]
전북 교육감 선거는 3선에 도전하는 현 교육감과 초선을 노리는 네 후보들 간 5파전으로 치러집니다.
교육감 후보들의 주요 공약을 살펴봤습니다.
오중호 기자입니다.
[리포트]
교육감 3선에 도전하는 김승환 후보는 현 정부와 함께 공교육 혁신을 완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공약으로 교육 예산 확대와 민주 교육행정 실현, 학력 신장과 교사 업무 지원, 교육자치 실현을 제시했습니다.
[김승환/전북교육감 후보 : "직무수행 지지도가 계속해서 톱3 순위에 들어섰습니다. 그동안에는 정권에 의해서 핍박받는 교육감이었는데 이제는 정권과 호흡을 맞추는 그런 교육감이라고 생각합니다."]
전북대학교 총장을 연임한 서거석 후보는 전북 학력 수준 향상을 위해 최대한 국비를 확보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안전한 교육 환경과 학생·교직원 존중 풍토, 차별 없는 교육 실현, 지역 사회 소통을 약속했습니다.
[서거석/전북교육감 후보 : "중앙부처와 정치권은 물론 전국 어디든 달려가 예산을 확보해 전북 교육 발전에 밑거름을 만들겠습니다."]
30여 년간 교편을 잡은 이미영 후보는 사람 중심의 인성 교육으로 창의적인 인재를 키우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장 중심의 안심 학교와 의무교육 확대, 교육격차 해소, 교육 자치분권 실현이 핵심 공약입니다.
[이미영/전북교육감 후보 : "교사들의 열정을 살리고 우리 아이들의 성장과 배움 과정을 적절하게 조합해서 전북을 교육도시로 다시 되살리겠습니다."]
전주교육지원청 교육장을 지낸 이재경 후보는 학교, 학부모, 지자체가 함께하는 교육 공동체 형성을 강조했습니다.
책무형 참여학교와 과목별 중점학교 지정, 성폭력 즉시 퇴출, 농어촌 특수학교 설립이 주요 공약입니다.
[이재경/전북교육감 후보 : "교단의 경험과 교육행정 경험을 바탕으로 전북교육을 빠른 시간 내에 전국 최고의 전북교육으로 부활시킬 수 있습니다."]
전라북도 부교육감 출신의 황호진 후보는 세계적인 무상교육도시 건설 계획을 내놓았습니다.
고등학교까지 무상교육, 교육예산 4조 원 시대, 진로교육 특구 1번지, 학생 자치권 확대에 힘쓰기로 했습니다.
[황호진/전북교육감 후보 : "우리 전북이 경제적으로 대단히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아 교육부터 고등학교까지 전면 무상 교육을 바로 내년부터 시행할 계획이고..."]
저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교육 혁신을 이루겠다고 자신한 가운데, 현 교육감이 3선 고지를 점령할지, 다른 네 후보 중 한 명이 새 교육 수장으로 탄생할지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오중호입니다.
-
-
오중호 기자 ozoz@kbs.co.kr
오중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6·13 지방선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