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후 美생산성 하락, 노동력 증가율 둔화 탓”

입력 2018.06.15 (17:02) 수정 2018.06.15 (18: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에서 빚어진 잠재 성장률, 생산성 하락은 노동력 증가율이 둔화한 탓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윌리엄 와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박사는 오늘(15일) 서울 성균관대에서 열린 한국경제학회 제19차 국제학술대회 기조연설에서 "미국 잠재 성장률은 2009년께부터 분명히 급격히 둔화했다"며 "주요 이유는 노동력 증가율 둔화"라고 밝혔습니다.

1990년대 67%에 달하던 미국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점차 떨어지다가 2008∼2009년 이후 급감, 올해에는 63%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와셔 박사는 "배경에는 인구 문제, 핵심생산가능인구의 경제활동률 하락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고령화로 은퇴자가 늘어나면서 미국 내 16세 이상 인구 중 은퇴 때문에 비경제활동인구가 된 인구 비중 역시 2010년 이후 급등해 현재 18%를 넘어섰습니다.

핵심생산가능인구 중에선 남성, 특히 고졸 이하 학력을 지닌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와셔 박사는 "무역, 기술 발달 때문에 노동 수요는 2000년 이후 절반 정도로 축소됐다"며 "이는 최근 제조업 실업률 증가에서 잘 드러난다"고 설명했습니다.

노동 공급 쪽을 보면 장애, 마약 복용, 범죄 때문에 남성 경제활동 참가율이 떨어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25∼54세 인구 중 장애 때문에 비경제활동인구로 빠진 사람들의 비율이 1994년 이래 계속해서 상승, 2018년 5%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보다 미국에서 마약 복용자가 많다는 점, 성인 범죄율도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노동력 증가율이 둔화하는 배경이라고 와셔 박사는 지적했습니다.

와셔 박사는 노동력 증가율 둔화 외에도 기술 발달 역시 생산성을 끌어내리고 잠재 성장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목됐습니다.

총요소생산성은 눈에 띄게 둔화하고 있는 가운데 기술이 발달하고 있지만 새 산업의 핵심인 범용기술(GPT)의 총요소생산성 제고 효과는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GPT는 산업혁명을 촉발한 핵심 기술로, 20세기 초 자동차, 20세기 후반 컴퓨터와 인터넷이 해당됩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등이 새로운 GPT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와셔 박사는 "이전 GPT와 비교하면 정보기술(IT)이 빚는 생산성 제고 효과도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노동력 증가율 전망은 그리 밝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와셔 박사는 "고령화는 계속되고 있고 핵심생산가능인구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감소세가 언제 끝날지 예측하기 쉽지 않다"며 "노동력 증가율의 절반을 담당한 이민자들에 대한 이민 정책은 더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건강 개선 때문에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율 상승이 있을 수는 있을 것"이라며 "생산성 하락이 반드시 영원한 일은 아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융위기 이후 美생산성 하락, 노동력 증가율 둔화 탓”
    • 입력 2018-06-15 17:02:23
    • 수정2018-06-15 18:24:29
    경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에서 빚어진 잠재 성장률, 생산성 하락은 노동력 증가율이 둔화한 탓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윌리엄 와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박사는 오늘(15일) 서울 성균관대에서 열린 한국경제학회 제19차 국제학술대회 기조연설에서 "미국 잠재 성장률은 2009년께부터 분명히 급격히 둔화했다"며 "주요 이유는 노동력 증가율 둔화"라고 밝혔습니다.

1990년대 67%에 달하던 미국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점차 떨어지다가 2008∼2009년 이후 급감, 올해에는 63%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와셔 박사는 "배경에는 인구 문제, 핵심생산가능인구의 경제활동률 하락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고령화로 은퇴자가 늘어나면서 미국 내 16세 이상 인구 중 은퇴 때문에 비경제활동인구가 된 인구 비중 역시 2010년 이후 급등해 현재 18%를 넘어섰습니다.

핵심생산가능인구 중에선 남성, 특히 고졸 이하 학력을 지닌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와셔 박사는 "무역, 기술 발달 때문에 노동 수요는 2000년 이후 절반 정도로 축소됐다"며 "이는 최근 제조업 실업률 증가에서 잘 드러난다"고 설명했습니다.

노동 공급 쪽을 보면 장애, 마약 복용, 범죄 때문에 남성 경제활동 참가율이 떨어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25∼54세 인구 중 장애 때문에 비경제활동인구로 빠진 사람들의 비율이 1994년 이래 계속해서 상승, 2018년 5%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다른 국가보다 미국에서 마약 복용자가 많다는 점, 성인 범죄율도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노동력 증가율이 둔화하는 배경이라고 와셔 박사는 지적했습니다.

와셔 박사는 노동력 증가율 둔화 외에도 기술 발달 역시 생산성을 끌어내리고 잠재 성장률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목됐습니다.

총요소생산성은 눈에 띄게 둔화하고 있는 가운데 기술이 발달하고 있지만 새 산업의 핵심인 범용기술(GPT)의 총요소생산성 제고 효과는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GPT는 산업혁명을 촉발한 핵심 기술로, 20세기 초 자동차, 20세기 후반 컴퓨터와 인터넷이 해당됩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등이 새로운 GPT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와셔 박사는 "이전 GPT와 비교하면 정보기술(IT)이 빚는 생산성 제고 효과도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노동력 증가율 전망은 그리 밝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와셔 박사는 "고령화는 계속되고 있고 핵심생산가능인구 남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감소세가 언제 끝날지 예측하기 쉽지 않다"며 "노동력 증가율의 절반을 담당한 이민자들에 대한 이민 정책은 더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건강 개선 때문에 고령층의 경제활동 참가율 상승이 있을 수는 있을 것"이라며 "생산성 하락이 반드시 영원한 일은 아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