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근찬 앵커 :
정부가 일반 식당에서 파는 쇠고기에도 원산지를 표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그럽니다.
백진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백진원 기자 :
서울의 한 소고기 전문 음식점입니다. 벽에 걸린 차림표를 보고는 여기서 파는 고기가 한우인지 수입고기인지 도대체 알 수가 없습니다.
"이거는 수입한거 아니예요?"
"수입은 우리 잘 안써요."
"한우인지 수입인지 구별이 없잖아요?"
"이렇게 보면 알고..."
한결같이 한우만 판다고 하지만 국내 쇠고기 소비량의 절반이 수입고기인 만큼 음식점의 말을 믿는 소비자는 거의 없습니다.
⊙고기향 (서울 신길동) :
속는 기분이죠, 같은 고기인데도 음식점에는 한우고기라고 해가지고 더 소비자한테 부담을 시키니까
⊙오병수 (안양시 비산동) :
한우고기값을 내면서 수입쇠고기를 먹는다면 그거는 소비자에 대한 기만이고
⊙백진원 기자 :
어제 쇠고기 평균 소비자값은 5백g에 7천9백여원 수입쇠고기는 4천5백여권에 불과합니다. 대부분의 음식점에서 소고기의 원산지 표시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것은 수입쇠고기를 한우값으로 팔경우 많게는 50%까지 이익을 보기 때문입니다. 수입쇠고기 판매업자도 이를 인정합니다.
"우리도 어떤 이문이 남아야 장사를 하는거 아니예요? 그런데 이문이 안 남으니까 수입고기로 대체할 수밖에 없다 그 얘기예요 지금. 기본 한우 쓰는거 보다도 한 30-40%는 더 남겠죠."
수입쇠고기의 한우 둔갑을 막기 위해 농림부는 음식점에도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백진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반 식당 판매 쇠고기에도 원산지 표시 방안 추진
-
- 입력 1996-08-23 21:00:00

⊙류근찬 앵커 :
정부가 일반 식당에서 파는 쇠고기에도 원산지를 표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그럽니다.
백진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백진원 기자 :
서울의 한 소고기 전문 음식점입니다. 벽에 걸린 차림표를 보고는 여기서 파는 고기가 한우인지 수입고기인지 도대체 알 수가 없습니다.
"이거는 수입한거 아니예요?"
"수입은 우리 잘 안써요."
"한우인지 수입인지 구별이 없잖아요?"
"이렇게 보면 알고..."
한결같이 한우만 판다고 하지만 국내 쇠고기 소비량의 절반이 수입고기인 만큼 음식점의 말을 믿는 소비자는 거의 없습니다.
⊙고기향 (서울 신길동) :
속는 기분이죠, 같은 고기인데도 음식점에는 한우고기라고 해가지고 더 소비자한테 부담을 시키니까
⊙오병수 (안양시 비산동) :
한우고기값을 내면서 수입쇠고기를 먹는다면 그거는 소비자에 대한 기만이고
⊙백진원 기자 :
어제 쇠고기 평균 소비자값은 5백g에 7천9백여원 수입쇠고기는 4천5백여권에 불과합니다. 대부분의 음식점에서 소고기의 원산지 표시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것은 수입쇠고기를 한우값으로 팔경우 많게는 50%까지 이익을 보기 때문입니다. 수입쇠고기 판매업자도 이를 인정합니다.
"우리도 어떤 이문이 남아야 장사를 하는거 아니예요? 그런데 이문이 안 남으니까 수입고기로 대체할 수밖에 없다 그 얘기예요 지금. 기본 한우 쓰는거 보다도 한 30-40%는 더 남겠죠."
수입쇠고기의 한우 둔갑을 막기 위해 농림부는 음식점에도 원산지 표시를 의무화 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KBS 뉴스, 백진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