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기습폭우 피해> 위험천만 계곡 야영

입력 1998.08.01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험천만 계곡야영


⊙ 김종진 앵커 :

기상청의 이런 늦장 대처와 함께 야영객들이 계곡의 위험성을 간과한 것도 지나칠 수 없는 대목입니다. 적은 비에도 삽시간에 물이 불어나고 또, 물살도 걷잡을 수 없이 세지는 여름철 계곡의 특성에 야영객들이 적절히 대비를 하지않아서 해마다 이런 사고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김성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김성모 기자 :

서울지역에는 비가 50mm만 왔는데도 계곡물은 이렇게 불어났습니다. 119 구조대원도 계곡을 건너다 물살에 휩쓸립니다. 발목밖에 차지않는 물이지만 급한 물살 때문에 몸을 가누기가 힘들 정도입니다. 산에서는 돌발적인 기상변화로 비가 자주 내립니다. 계곡물이 급격하게 불어나기 때문에 계곡 옆에서 야영하는 것은 자살행위나 다름없습니다. 경사가 급한 산간에서는 적은 비에도 골자기의 물이 모두 계곡으로 몰리기 때문에 눈 깜짝할 사이에 급류가 형성돼 텐트를 덮치게 됩니다.


⊙ 서성식 (서울 산악연맹) :

당사자가 있는 경우에는 큰 물이 흐르는 것처럼 느끼지 못하겠지만 상류에서부터 물이 모여서 하류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많은 물이 흘러내리게 됩니다.


⊙ 김성모 기자 :

또, 조난을 당할 경우 무조건 산에서 내려오기 위해 물이 불어난 계곡을 건너면서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김형문 대장 (서울 서부소방서 119 구조대) :

급류를 만났을 때는 무리하게 건너려 하지말고 높은 곳으로 일단 피한 후 구조대가 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김성모 기자 :

야영하고 있는 곳은 비가 오지 않아도 산 위쪽에서는 비가 내려 계곡물이 불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야영은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서 하고 라디오를 들으며 날씨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KBS 뉴스 김성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리산 기습폭우 피해> 위험천만 계곡 야영
    • 입력 1998-08-01 21:00:00
    뉴스 9

@위험천만 계곡야영


⊙ 김종진 앵커 :

기상청의 이런 늦장 대처와 함께 야영객들이 계곡의 위험성을 간과한 것도 지나칠 수 없는 대목입니다. 적은 비에도 삽시간에 물이 불어나고 또, 물살도 걷잡을 수 없이 세지는 여름철 계곡의 특성에 야영객들이 적절히 대비를 하지않아서 해마다 이런 사고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김성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김성모 기자 :

서울지역에는 비가 50mm만 왔는데도 계곡물은 이렇게 불어났습니다. 119 구조대원도 계곡을 건너다 물살에 휩쓸립니다. 발목밖에 차지않는 물이지만 급한 물살 때문에 몸을 가누기가 힘들 정도입니다. 산에서는 돌발적인 기상변화로 비가 자주 내립니다. 계곡물이 급격하게 불어나기 때문에 계곡 옆에서 야영하는 것은 자살행위나 다름없습니다. 경사가 급한 산간에서는 적은 비에도 골자기의 물이 모두 계곡으로 몰리기 때문에 눈 깜짝할 사이에 급류가 형성돼 텐트를 덮치게 됩니다.


⊙ 서성식 (서울 산악연맹) :

당사자가 있는 경우에는 큰 물이 흐르는 것처럼 느끼지 못하겠지만 상류에서부터 물이 모여서 하류로 흘러내리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많은 물이 흘러내리게 됩니다.


⊙ 김성모 기자 :

또, 조난을 당할 경우 무조건 산에서 내려오기 위해 물이 불어난 계곡을 건너면서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김형문 대장 (서울 서부소방서 119 구조대) :

급류를 만났을 때는 무리하게 건너려 하지말고 높은 곳으로 일단 피한 후 구조대가 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김성모 기자 :

야영하고 있는 곳은 비가 오지 않아도 산 위쪽에서는 비가 내려 계곡물이 불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야영은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서 하고 라디오를 들으며 날씨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KBS 뉴스 김성모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