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전국 아파트값, 5년만에 최대폭 하락…서울은 올라

입력 2018.07.15 (09: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2분기 전국 아파트값이 5년여 만에 최대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일부 지방 아파트값 하락 폭이 커지는 가운데 서울에서도 오름세가 둔화한 영향입니다. 서울은 4년 가까이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입주물량이 쏟아지면서 상반기 전세수급지수는 1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아파트 전세는 서울과 지방 모두 내림세입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5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2분기 전국 아파트값은 전 분기 말 대비 0.3% 하락했습니다. 이는 2013년 1분기(-0.7%) 이래 가장 큰 폭입니다. 분기별 가격 하락은 2016년 1분기(-0.1%) 이래 2년여 만입니다.

울산과 경남 등 일부 지방 아파트 가격 급락세가 전국 평균까지 끌어내렸습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아파트 가격은 2분기에 0.9% 떨어졌습니다.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4년 1분기 이래 가장 큰 폭입니다. 경남(-2.3%)은 2016년 초부터, 울산(-2.5%)은 2017년 초부터 계속 내림세입니다. 조선업 구조조정 등으로 지역경제가 어려운 영향입니다. 충북, 충남, 경북도 1% 넘게 내렸습니다.

다만 대구와 세종, 광주는 소폭 올랐습니다. 서울도 0.8% 상승했습니다. 2014년 2분기(-0.1%) 이래 4년째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작년 2분기 이래로는 1% 이상 상승세를 이어왔고 올해 1분기에는 3.6% 뛰었습니다. 다만 연초에 재건축 아파트 중심으로 달아오르던 열기가 식고 자치구별로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은은 경제전망보고서에서 하반기에도 주택 매매 가격이 안정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입주물량 증가와 금리 상승 등 영향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내년에도 안정세가 지속된다고 예상했습니다. 입주물량이 장기 평균을 웃돈다는 점이 전방 배경입니다.

한은은 주택 전셋값은 하반기에도 내림세를 이어갈 것으로 봤습니다. 역시 입주물량이 워낙 많기 때문입니다. 올해 상반기 전세수급지수는 113으로 2004년(100) 이래 가장 낮았습니다. 수급지수가 낮을수록 주택 공급이 우위라는 의미입니다. 이를 반영해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2분기에 1.1% 하락했습니다. 금융위기 때인 2009년 1분기(-1.5%) 이래 가장 큰 폭입니다.

서울이 1.0% 내리며 6년 만에 최고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 2012년 2분기가 -1.3%였습니다. 지방은 14년 만에 아파트 전셋값 약세가 가장 심했습니다. 전 분기 말 대비 하락률이 1.1%로 2004년 3분기와 같았습니다. 세종(-3.2%), 울산(-3.1%)은 3% 넘게 떨어졌고 경남은 -1.9%, 충남은 -1.8%였습니다. 입주물량이 몰리는 경기도 1.4% 하락했습니다.

한은은 내년에는 전세 수요가 확대되며 가격이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집값 상승 기대감이 위축되고 재건축 이주가 많은 점이 영향을 준다는 것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분기 전국 아파트값, 5년만에 최대폭 하락…서울은 올라
    • 입력 2018-07-15 09:37:53
    경제
올해 2분기 전국 아파트값이 5년여 만에 최대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일부 지방 아파트값 하락 폭이 커지는 가운데 서울에서도 오름세가 둔화한 영향입니다. 서울은 4년 가까이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입주물량이 쏟아지면서 상반기 전세수급지수는 1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아파트 전세는 서울과 지방 모두 내림세입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5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2분기 전국 아파트값은 전 분기 말 대비 0.3% 하락했습니다. 이는 2013년 1분기(-0.7%) 이래 가장 큰 폭입니다. 분기별 가격 하락은 2016년 1분기(-0.1%) 이래 2년여 만입니다.

울산과 경남 등 일부 지방 아파트 가격 급락세가 전국 평균까지 끌어내렸습니다.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아파트 가격은 2분기에 0.9% 떨어졌습니다. 관련 통계가 시작된 2004년 1분기 이래 가장 큰 폭입니다. 경남(-2.3%)은 2016년 초부터, 울산(-2.5%)은 2017년 초부터 계속 내림세입니다. 조선업 구조조정 등으로 지역경제가 어려운 영향입니다. 충북, 충남, 경북도 1% 넘게 내렸습니다.

다만 대구와 세종, 광주는 소폭 올랐습니다. 서울도 0.8% 상승했습니다. 2014년 2분기(-0.1%) 이래 4년째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작년 2분기 이래로는 1% 이상 상승세를 이어왔고 올해 1분기에는 3.6% 뛰었습니다. 다만 연초에 재건축 아파트 중심으로 달아오르던 열기가 식고 자치구별로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은은 경제전망보고서에서 하반기에도 주택 매매 가격이 안정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입주물량 증가와 금리 상승 등 영향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내년에도 안정세가 지속된다고 예상했습니다. 입주물량이 장기 평균을 웃돈다는 점이 전방 배경입니다.

한은은 주택 전셋값은 하반기에도 내림세를 이어갈 것으로 봤습니다. 역시 입주물량이 워낙 많기 때문입니다. 올해 상반기 전세수급지수는 113으로 2004년(100) 이래 가장 낮았습니다. 수급지수가 낮을수록 주택 공급이 우위라는 의미입니다. 이를 반영해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2분기에 1.1% 하락했습니다. 금융위기 때인 2009년 1분기(-1.5%) 이래 가장 큰 폭입니다.

서울이 1.0% 내리며 6년 만에 최고 하락률을 기록했습니다. 2012년 2분기가 -1.3%였습니다. 지방은 14년 만에 아파트 전셋값 약세가 가장 심했습니다. 전 분기 말 대비 하락률이 1.1%로 2004년 3분기와 같았습니다. 세종(-3.2%), 울산(-3.1%)은 3% 넘게 떨어졌고 경남은 -1.9%, 충남은 -1.8%였습니다. 입주물량이 몰리는 경기도 1.4% 하락했습니다.

한은은 내년에는 전세 수요가 확대되며 가격이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집값 상승 기대감이 위축되고 재건축 이주가 많은 점이 영향을 준다는 것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