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北서해위성발사장 해체’에 “김정은 약속에 완전 부합”
입력 2018.07.25 (05:28)
수정 2018.07.25 (05: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북한 '서해위성발사장'의 해체절차가 시작됐다는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 보도와 관련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약속을 완전히 이행하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의 스탠퍼드대학에서 미-호주 외교·국방장관 회의(2+2회담)를 열고 '북한이 탄도미사일 시험장 해체에 들어갔다는 보도를 확인해줄 수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의 미사일 엔진시험장에 대한 언론 보도를 봤다"면서 "김정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 약속에 완전하게 부합한다. 김 위원장은 구두로 약속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의 약속에 따라 엔진시험장을 해체할 때, 그 현장에 감독관(inspectors)을 있게 해달라고 요구해왔다"고 덧붙였습니다.
'북미협상 실무총책'인 폼페이오 장관의 이런 발언은 6·12 북미정상회담의 합의이행 차원에서 이뤄지는 북한의 조치를 긍정 평가하면서도 외부 전문가의 현장 참관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앞서 38노스는 '북한, 서해위성발사장 핵심시설 해체 시작'이라는 제목의 23일자 보고서에서 최근 촬영한 위성사진들을 토대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서해위성발사장에서 해체작업이 시작됐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출처 : EPA=연합뉴스]
폼페이오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의 스탠퍼드대학에서 미-호주 외교·국방장관 회의(2+2회담)를 열고 '북한이 탄도미사일 시험장 해체에 들어갔다는 보도를 확인해줄 수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의 미사일 엔진시험장에 대한 언론 보도를 봤다"면서 "김정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 약속에 완전하게 부합한다. 김 위원장은 구두로 약속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의 약속에 따라 엔진시험장을 해체할 때, 그 현장에 감독관(inspectors)을 있게 해달라고 요구해왔다"고 덧붙였습니다.
'북미협상 실무총책'인 폼페이오 장관의 이런 발언은 6·12 북미정상회담의 합의이행 차원에서 이뤄지는 북한의 조치를 긍정 평가하면서도 외부 전문가의 현장 참관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앞서 38노스는 '북한, 서해위성발사장 핵심시설 해체 시작'이라는 제목의 23일자 보고서에서 최근 촬영한 위성사진들을 토대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서해위성발사장에서 해체작업이 시작됐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폼페이오 ‘北서해위성발사장 해체’에 “김정은 약속에 완전 부합”
-
- 입력 2018-07-25 05:28:38
- 수정2018-07-25 05:29:27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북한 '서해위성발사장'의 해체절차가 시작됐다는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 보도와 관련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약속을 완전히 이행하는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의 스탠퍼드대학에서 미-호주 외교·국방장관 회의(2+2회담)를 열고 '북한이 탄도미사일 시험장 해체에 들어갔다는 보도를 확인해줄 수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의 미사일 엔진시험장에 대한 언론 보도를 봤다"면서 "김정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 약속에 완전하게 부합한다. 김 위원장은 구두로 약속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의 약속에 따라 엔진시험장을 해체할 때, 그 현장에 감독관(inspectors)을 있게 해달라고 요구해왔다"고 덧붙였습니다.
'북미협상 실무총책'인 폼페이오 장관의 이런 발언은 6·12 북미정상회담의 합의이행 차원에서 이뤄지는 북한의 조치를 긍정 평가하면서도 외부 전문가의 현장 참관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앞서 38노스는 '북한, 서해위성발사장 핵심시설 해체 시작'이라는 제목의 23일자 보고서에서 최근 촬영한 위성사진들을 토대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서해위성발사장에서 해체작업이 시작됐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출처 : EPA=연합뉴스]
폼페이오 장관은 2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의 스탠퍼드대학에서 미-호주 외교·국방장관 회의(2+2회담)를 열고 '북한이 탄도미사일 시험장 해체에 들어갔다는 보도를 확인해줄 수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습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의 미사일 엔진시험장에 대한 언론 보도를 봤다"면서 "김정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 약속에 완전하게 부합한다. 김 위원장은 구두로 약속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의 약속에 따라 엔진시험장을 해체할 때, 그 현장에 감독관(inspectors)을 있게 해달라고 요구해왔다"고 덧붙였습니다.
'북미협상 실무총책'인 폼페이오 장관의 이런 발언은 6·12 북미정상회담의 합의이행 차원에서 이뤄지는 북한의 조치를 긍정 평가하면서도 외부 전문가의 현장 참관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앞서 38노스는 '북한, 서해위성발사장 핵심시설 해체 시작'이라는 제목의 23일자 보고서에서 최근 촬영한 위성사진들을 토대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서해위성발사장에서 해체작업이 시작됐다고 분석했습니다.
[사진출처 : EPA=연합뉴스]
-
-
엄진아 기자 aza@kbs.co.kr
엄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