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억 원 이상 부모·자식 증여 50% 증가…건당 129억 원
입력 2018.07.26 (08:30)
수정 2018.07.26 (08: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건당 재산가액이 30억 원 이상인 고액 증여세 신고 건수가 50%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세청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30억 원 이상 재산을 부모나 자식 등 직계존비속에게 넘겨주고 증여세를 신고한 건수는 총 702건이었습니다.
이는 전년(468건)보다 234건(50.0%)이나 급증한 것으로, 4년 전인 2013년(212건)과 비교하면 3배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이들이 증여한 총 재산 가액은 9조 728억 원으로, 1건 당 평균 129억 원에 달했다. 수백억 원대 거액 증여도 많았다는 뜻입니다.
직계존비속에게 30억 원 이상을 증여하는 경우는 훨씬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전체 직계존비속 증여 건수는 7만 2천695건으로 전년(6만 2천691건)보다 16.0%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30억 원 이상 증여 증가율(50%)의 3분의 1수준입니다.
고액 증여 신고가 빠르게 늘어나는 데는 정부의 신고세액 공제율 축소 방침이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상속·증여세 신고세액 공제율은 상속 개시 또는 증여 시점을 기준으로 2016년까지 10%였으나 2017년에는 7%로 축소됐습니다. 공제율은 2018년에는 5%, 2019년 이후에는 3%로 더욱 줄어듭니다.
세액공제는 과세대상 소득에 세율을 곱해 산출한 세금에서 일부를 제외해주는 것입니다. 정부는 과거에 신고를 유도하기 위해 세액공제 혜택을 줬으나 이제는 세원 파악이 쉬워져 실효성이 크지 않다고 보고 축소하는 추세입니다.
최근 다주택자 대상 규제가 강화되자 상속을 앞당기는 의미에서 자식에게 부동산을 조기 증여하는 사례가 늘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국토교통부의 부동산 거래 통계를 보면 부동산 증여 건수가 28만 2천680건을 기록,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국세청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30억 원 이상 재산을 부모나 자식 등 직계존비속에게 넘겨주고 증여세를 신고한 건수는 총 702건이었습니다.
이는 전년(468건)보다 234건(50.0%)이나 급증한 것으로, 4년 전인 2013년(212건)과 비교하면 3배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이들이 증여한 총 재산 가액은 9조 728억 원으로, 1건 당 평균 129억 원에 달했다. 수백억 원대 거액 증여도 많았다는 뜻입니다.
직계존비속에게 30억 원 이상을 증여하는 경우는 훨씬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전체 직계존비속 증여 건수는 7만 2천695건으로 전년(6만 2천691건)보다 16.0%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30억 원 이상 증여 증가율(50%)의 3분의 1수준입니다.
고액 증여 신고가 빠르게 늘어나는 데는 정부의 신고세액 공제율 축소 방침이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상속·증여세 신고세액 공제율은 상속 개시 또는 증여 시점을 기준으로 2016년까지 10%였으나 2017년에는 7%로 축소됐습니다. 공제율은 2018년에는 5%, 2019년 이후에는 3%로 더욱 줄어듭니다.
세액공제는 과세대상 소득에 세율을 곱해 산출한 세금에서 일부를 제외해주는 것입니다. 정부는 과거에 신고를 유도하기 위해 세액공제 혜택을 줬으나 이제는 세원 파악이 쉬워져 실효성이 크지 않다고 보고 축소하는 추세입니다.
최근 다주택자 대상 규제가 강화되자 상속을 앞당기는 의미에서 자식에게 부동산을 조기 증여하는 사례가 늘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국토교통부의 부동산 거래 통계를 보면 부동산 증여 건수가 28만 2천680건을 기록,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0억 원 이상 부모·자식 증여 50% 증가…건당 129억 원
-
- 입력 2018-07-26 08:30:36
- 수정2018-07-26 08:33:15

지난해 건당 재산가액이 30억 원 이상인 고액 증여세 신고 건수가 50%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세청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30억 원 이상 재산을 부모나 자식 등 직계존비속에게 넘겨주고 증여세를 신고한 건수는 총 702건이었습니다.
이는 전년(468건)보다 234건(50.0%)이나 급증한 것으로, 4년 전인 2013년(212건)과 비교하면 3배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이들이 증여한 총 재산 가액은 9조 728억 원으로, 1건 당 평균 129억 원에 달했다. 수백억 원대 거액 증여도 많았다는 뜻입니다.
직계존비속에게 30억 원 이상을 증여하는 경우는 훨씬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전체 직계존비속 증여 건수는 7만 2천695건으로 전년(6만 2천691건)보다 16.0%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30억 원 이상 증여 증가율(50%)의 3분의 1수준입니다.
고액 증여 신고가 빠르게 늘어나는 데는 정부의 신고세액 공제율 축소 방침이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상속·증여세 신고세액 공제율은 상속 개시 또는 증여 시점을 기준으로 2016년까지 10%였으나 2017년에는 7%로 축소됐습니다. 공제율은 2018년에는 5%, 2019년 이후에는 3%로 더욱 줄어듭니다.
세액공제는 과세대상 소득에 세율을 곱해 산출한 세금에서 일부를 제외해주는 것입니다. 정부는 과거에 신고를 유도하기 위해 세액공제 혜택을 줬으나 이제는 세원 파악이 쉬워져 실효성이 크지 않다고 보고 축소하는 추세입니다.
최근 다주택자 대상 규제가 강화되자 상속을 앞당기는 의미에서 자식에게 부동산을 조기 증여하는 사례가 늘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국토교통부의 부동산 거래 통계를 보면 부동산 증여 건수가 28만 2천680건을 기록,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국세청 국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30억 원 이상 재산을 부모나 자식 등 직계존비속에게 넘겨주고 증여세를 신고한 건수는 총 702건이었습니다.
이는 전년(468건)보다 234건(50.0%)이나 급증한 것으로, 4년 전인 2013년(212건)과 비교하면 3배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이들이 증여한 총 재산 가액은 9조 728억 원으로, 1건 당 평균 129억 원에 달했다. 수백억 원대 거액 증여도 많았다는 뜻입니다.
직계존비속에게 30억 원 이상을 증여하는 경우는 훨씬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전체 직계존비속 증여 건수는 7만 2천695건으로 전년(6만 2천691건)보다 16.0%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30억 원 이상 증여 증가율(50%)의 3분의 1수준입니다.
고액 증여 신고가 빠르게 늘어나는 데는 정부의 신고세액 공제율 축소 방침이 일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상속·증여세 신고세액 공제율은 상속 개시 또는 증여 시점을 기준으로 2016년까지 10%였으나 2017년에는 7%로 축소됐습니다. 공제율은 2018년에는 5%, 2019년 이후에는 3%로 더욱 줄어듭니다.
세액공제는 과세대상 소득에 세율을 곱해 산출한 세금에서 일부를 제외해주는 것입니다. 정부는 과거에 신고를 유도하기 위해 세액공제 혜택을 줬으나 이제는 세원 파악이 쉬워져 실효성이 크지 않다고 보고 축소하는 추세입니다.
최근 다주택자 대상 규제가 강화되자 상속을 앞당기는 의미에서 자식에게 부동산을 조기 증여하는 사례가 늘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국토교통부의 부동산 거래 통계를 보면 부동산 증여 건수가 28만 2천680건을 기록,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
오현태 기자 highfive@kbs.co.kr
오현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