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자원개발TF “자원개발 공기업 3사 손실 15.9조 원”

입력 2018.07.26 (11:33) 수정 2018.07.26 (15: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2003년부터 진행된 해외 자원 개발사업 과정에서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자원 관련 공기업 3사가 입은 총 손실이 15조 9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외자원개발 혁신TF와 석유공사 가스공사 광물자원공사는 오늘(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지난 3월부터 진행해 온 해외자원개발사업 자체점검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공기업 3사는 모두 52개국 169개 사업에 41조 4천억 원을 투자했지만, 회수는 14조 5천억 원에 그쳤고 15조 9천억 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말 기준 3사 부채는 모두 합쳐 51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석유공사는 자체점검 결과, 지난 2008년 이라크 쿠르드 사업 진행 당시 유전개발만 맡기로 했던 애초 계획과 달리 계약체결 시점에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까지 떠안는 바람에 재무 부담이 커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또 원래 컨설팅업체로부터 받은 자문 내용과 다른 내용을 당시 이사회에 허위 보고해 결과적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밝혔습니다.

가스공사는 캐나다 셰일가스전을 개발하는 웨스트컷뱅크 사업에서 경제성평가보고서에 나온 수익률 9.5%를 12.6%로 높이는 등 수익률을 부풀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이라크 아카스 사업에서는 투자심의위원회가 검토한 목표수익률인 15%를 10%로 조정하며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광물자원공사 역시 2012년 멕시코 볼레오광산 운영권 인수나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 사업 등의 과정에서 무리한 투자 결정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혁신TF는 공기업 3사에 대해 정부 재정지원은 없다는 것을 전제로 강도 높은 구조 조정을 추진하고, 각 사업의 가치를 냉정히 평가해 회생 가능성이 없는 사업을 정리할 것을 담은 권고안을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외자원개발TF “자원개발 공기업 3사 손실 15.9조 원”
    • 입력 2018-07-26 11:33:31
    • 수정2018-07-26 15:58:18
    경제
지난 2003년부터 진행된 해외 자원 개발사업 과정에서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자원 관련 공기업 3사가 입은 총 손실이 15조 9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외자원개발 혁신TF와 석유공사 가스공사 광물자원공사는 오늘(2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지난 3월부터 진행해 온 해외자원개발사업 자체점검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공기업 3사는 모두 52개국 169개 사업에 41조 4천억 원을 투자했지만, 회수는 14조 5천억 원에 그쳤고 15조 9천억 원의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말 기준 3사 부채는 모두 합쳐 51조 5천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석유공사는 자체점검 결과, 지난 2008년 이라크 쿠르드 사업 진행 당시 유전개발만 맡기로 했던 애초 계획과 달리 계약체결 시점에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까지 떠안는 바람에 재무 부담이 커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또 원래 컨설팅업체로부터 받은 자문 내용과 다른 내용을 당시 이사회에 허위 보고해 결과적으로 수익성이 악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밝혔습니다.

가스공사는 캐나다 셰일가스전을 개발하는 웨스트컷뱅크 사업에서 경제성평가보고서에 나온 수익률 9.5%를 12.6%로 높이는 등 수익률을 부풀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이라크 아카스 사업에서는 투자심의위원회가 검토한 목표수익률인 15%를 10%로 조정하며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광물자원공사 역시 2012년 멕시코 볼레오광산 운영권 인수나 마다가스카르 암바토비 니켈 사업 등의 과정에서 무리한 투자 결정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혁신TF는 공기업 3사에 대해 정부 재정지원은 없다는 것을 전제로 강도 높은 구조 조정을 추진하고, 각 사업의 가치를 냉정히 평가해 회생 가능성이 없는 사업을 정리할 것을 담은 권고안을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