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오전 11시쯤, 오산 공군기지 상공에 C17 수송기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천여 명의 미군 관계자와 유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병사들이 파란색 유엔기로 감싼 유해함을 하나씩 받쳐 들고 수송기에서 내립니다.
정전협정이 체결된지 정확히 65주년이 되는 날,
한국 전쟁 당시 북한 땅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 55구가 고향길에 오르게 된 것입니다.
미국 측은 앞으로 며칠 간 유해 확인 절차를 밟은 뒤 다음달 1일 공식 환영행사와 함께 유해를 하와이로 옮길 예정입니다.
이후 추가 검사와 DNA 대조 작업 등을 거쳐 유해 55구는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유해 송환은 지난달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의 공동성명에서 합의된 내용 가운데 공식적인 첫 이행조치입니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양측의 실무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북한이 합의사항을 이행하면서 후속 협상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이 정전협정 체결일에 맞춰 유해송환을 한 것은 '종전선언 압박용'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에 따라 다음주 싱가포르에서 열릴 아세안지역안보포럼 외교장관 회담에서 종전선언을 놓고 관련국 간 긴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천여 명의 미군 관계자와 유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병사들이 파란색 유엔기로 감싼 유해함을 하나씩 받쳐 들고 수송기에서 내립니다.
정전협정이 체결된지 정확히 65주년이 되는 날,
한국 전쟁 당시 북한 땅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 55구가 고향길에 오르게 된 것입니다.
미국 측은 앞으로 며칠 간 유해 확인 절차를 밟은 뒤 다음달 1일 공식 환영행사와 함께 유해를 하와이로 옮길 예정입니다.
이후 추가 검사와 DNA 대조 작업 등을 거쳐 유해 55구는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유해 송환은 지난달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의 공동성명에서 합의된 내용 가운데 공식적인 첫 이행조치입니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양측의 실무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북한이 합의사항을 이행하면서 후속 협상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이 정전협정 체결일에 맞춰 유해송환을 한 것은 '종전선언 압박용'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에 따라 다음주 싱가포르에서 열릴 아세안지역안보포럼 외교장관 회담에서 종전선언을 놓고 관련국 간 긴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막뉴스] 정전협정 65주년…미군 유해 55구 도착
-
- 입력 2018-07-27 21:20:19

오늘 오전 11시쯤, 오산 공군기지 상공에 C17 수송기가 모습을 드러냅니다.
천여 명의 미군 관계자와 유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병사들이 파란색 유엔기로 감싼 유해함을 하나씩 받쳐 들고 수송기에서 내립니다.
정전협정이 체결된지 정확히 65주년이 되는 날,
한국 전쟁 당시 북한 땅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 55구가 고향길에 오르게 된 것입니다.
미국 측은 앞으로 며칠 간 유해 확인 절차를 밟은 뒤 다음달 1일 공식 환영행사와 함께 유해를 하와이로 옮길 예정입니다.
이후 추가 검사와 DNA 대조 작업 등을 거쳐 유해 55구는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유해 송환은 지난달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의 공동성명에서 합의된 내용 가운데 공식적인 첫 이행조치입니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양측의 실무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북한이 합의사항을 이행하면서 후속 협상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이 정전협정 체결일에 맞춰 유해송환을 한 것은 '종전선언 압박용'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에 따라 다음주 싱가포르에서 열릴 아세안지역안보포럼 외교장관 회담에서 종전선언을 놓고 관련국 간 긴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천여 명의 미군 관계자와 유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병사들이 파란색 유엔기로 감싼 유해함을 하나씩 받쳐 들고 수송기에서 내립니다.
정전협정이 체결된지 정확히 65주년이 되는 날,
한국 전쟁 당시 북한 땅에서 전사한 미군 유해 55구가 고향길에 오르게 된 것입니다.
미국 측은 앞으로 며칠 간 유해 확인 절차를 밟은 뒤 다음달 1일 공식 환영행사와 함께 유해를 하와이로 옮길 예정입니다.
이후 추가 검사와 DNA 대조 작업 등을 거쳐 유해 55구는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유해 송환은 지난달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의 공동성명에서 합의된 내용 가운데 공식적인 첫 이행조치입니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양측의 실무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북한이 합의사항을 이행하면서 후속 협상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이 정전협정 체결일에 맞춰 유해송환을 한 것은 '종전선언 압박용'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에 따라 다음주 싱가포르에서 열릴 아세안지역안보포럼 외교장관 회담에서 종전선언을 놓고 관련국 간 긴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
-
정새배 기자 newboat@kbs.co.kr
정새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