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죽을 날만 기다려요” 반달곰 5백 마리 ‘시한부’ 운명
입력 2018.08.11 (06:43) 수정 2018.08.11 (06:47) 뉴스광장 1부
[앵커]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반달가슴곰 5백여 마리가 동물원이 아니라 민간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습니다.
사실상 죽을 날만 기다리는 곰들의 시한부 운명, 김지숙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외딴 야산에 있는 농장입니다.
철창 우리마다 축 늘어진 곰들이 있습니다.
좀 더 가까이 가봤습니다.
폭염에 사료는 썩어버렸습니다.
바닥엔 분변이 가득합니다.
아픈 곰들이 쉽게 눈에 띕니다.
이 곰은 앞발이 잘렸습니다.
제자리를 빙빙도는 건 스트레스를 못 이긴 이상 행동입니다.
모두 흰색 V자가 선명한 반달가슴곰인데, 540여마리가 전국에서 사육되고 있습니다.
이 곰들은 태어나서 지금까지 20여 년 동안 가로 2미터, 세로 5미터의 철창에 갇혀 있습니다.
언제 있을지 모를 웅담 채취를 기다리고 있는 겁니다.
[대한뉴스/1985년 9월 6일 : "(곰의) 웅담과 피, 가죽 등은+수입 대체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정부가 교본까지 발간해 농가에 곰 사육을 적극 권장했습니다.
살아 있는 곰에 빨대를 꽂아 쓸개즙을 빼낼 정도로 과열되기도 했습니다.
한 때 부르는 게 값이었던 웅담은 이제 찾는 이가 거의 없습니다.
돈이 안되니 남은 사육곰은 찬밥 신세가 됐습니다.
농가들은 곰을 도살하고 사업을 접겠다며, 정부가 보상금을 달라고 요구합니다.
[박상희/사육 곰 농장주 : "우리한테 책임을 묻느냐 이거야. (과거엔) 농가 소득증대를 위한 사업으로 (정부가) 장려했던 부분이에요."]
정부는 보상금 지급 근거가 없다는 입장.
정부와 농가의 줄다리기 사이에서 쓸모가 없어진 곰은 학대 수준으로 방치되고 있습니다.
[임태영/녹색연합 활동가 : "반달가슴곰 복원하겠다고 지리산에서 일부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사육 곰들에 대해선 같은 멸종위기종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리나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환경부는 곰 구출 예산 8억 원을 처음 책정해, 내년 예산안에 반영해달라고 기획재정부에 요청한 상태입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반달가슴곰 5백여 마리가 동물원이 아니라 민간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습니다.
사실상 죽을 날만 기다리는 곰들의 시한부 운명, 김지숙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외딴 야산에 있는 농장입니다.
철창 우리마다 축 늘어진 곰들이 있습니다.
좀 더 가까이 가봤습니다.
폭염에 사료는 썩어버렸습니다.
바닥엔 분변이 가득합니다.
아픈 곰들이 쉽게 눈에 띕니다.
이 곰은 앞발이 잘렸습니다.
제자리를 빙빙도는 건 스트레스를 못 이긴 이상 행동입니다.
모두 흰색 V자가 선명한 반달가슴곰인데, 540여마리가 전국에서 사육되고 있습니다.
이 곰들은 태어나서 지금까지 20여 년 동안 가로 2미터, 세로 5미터의 철창에 갇혀 있습니다.
언제 있을지 모를 웅담 채취를 기다리고 있는 겁니다.
[대한뉴스/1985년 9월 6일 : "(곰의) 웅담과 피, 가죽 등은+수입 대체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정부가 교본까지 발간해 농가에 곰 사육을 적극 권장했습니다.
살아 있는 곰에 빨대를 꽂아 쓸개즙을 빼낼 정도로 과열되기도 했습니다.
한 때 부르는 게 값이었던 웅담은 이제 찾는 이가 거의 없습니다.
돈이 안되니 남은 사육곰은 찬밥 신세가 됐습니다.
농가들은 곰을 도살하고 사업을 접겠다며, 정부가 보상금을 달라고 요구합니다.
[박상희/사육 곰 농장주 : "우리한테 책임을 묻느냐 이거야. (과거엔) 농가 소득증대를 위한 사업으로 (정부가) 장려했던 부분이에요."]
정부는 보상금 지급 근거가 없다는 입장.
정부와 농가의 줄다리기 사이에서 쓸모가 없어진 곰은 학대 수준으로 방치되고 있습니다.
[임태영/녹색연합 활동가 : "반달가슴곰 복원하겠다고 지리산에서 일부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사육 곰들에 대해선 같은 멸종위기종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리나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환경부는 곰 구출 예산 8억 원을 처음 책정해, 내년 예산안에 반영해달라고 기획재정부에 요청한 상태입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 “죽을 날만 기다려요” 반달곰 5백 마리 ‘시한부’ 운명
-
- 입력 2018-08-11 06:45:09
- 수정2018-08-11 06:47:20

[앵커]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반달가슴곰 5백여 마리가 동물원이 아니라 민간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습니다.
사실상 죽을 날만 기다리는 곰들의 시한부 운명, 김지숙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외딴 야산에 있는 농장입니다.
철창 우리마다 축 늘어진 곰들이 있습니다.
좀 더 가까이 가봤습니다.
폭염에 사료는 썩어버렸습니다.
바닥엔 분변이 가득합니다.
아픈 곰들이 쉽게 눈에 띕니다.
이 곰은 앞발이 잘렸습니다.
제자리를 빙빙도는 건 스트레스를 못 이긴 이상 행동입니다.
모두 흰색 V자가 선명한 반달가슴곰인데, 540여마리가 전국에서 사육되고 있습니다.
이 곰들은 태어나서 지금까지 20여 년 동안 가로 2미터, 세로 5미터의 철창에 갇혀 있습니다.
언제 있을지 모를 웅담 채취를 기다리고 있는 겁니다.
[대한뉴스/1985년 9월 6일 : "(곰의) 웅담과 피, 가죽 등은+수입 대체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정부가 교본까지 발간해 농가에 곰 사육을 적극 권장했습니다.
살아 있는 곰에 빨대를 꽂아 쓸개즙을 빼낼 정도로 과열되기도 했습니다.
한 때 부르는 게 값이었던 웅담은 이제 찾는 이가 거의 없습니다.
돈이 안되니 남은 사육곰은 찬밥 신세가 됐습니다.
농가들은 곰을 도살하고 사업을 접겠다며, 정부가 보상금을 달라고 요구합니다.
[박상희/사육 곰 농장주 : "우리한테 책임을 묻느냐 이거야. (과거엔) 농가 소득증대를 위한 사업으로 (정부가) 장려했던 부분이에요."]
정부는 보상금 지급 근거가 없다는 입장.
정부와 농가의 줄다리기 사이에서 쓸모가 없어진 곰은 학대 수준으로 방치되고 있습니다.
[임태영/녹색연합 활동가 : "반달가슴곰 복원하겠다고 지리산에서 일부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사육 곰들에 대해선 같은 멸종위기종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리나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환경부는 곰 구출 예산 8억 원을 처음 책정해, 내년 예산안에 반영해달라고 기획재정부에 요청한 상태입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반달가슴곰 5백여 마리가 동물원이 아니라 민간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습니다.
사실상 죽을 날만 기다리는 곰들의 시한부 운명, 김지숙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외딴 야산에 있는 농장입니다.
철창 우리마다 축 늘어진 곰들이 있습니다.
좀 더 가까이 가봤습니다.
폭염에 사료는 썩어버렸습니다.
바닥엔 분변이 가득합니다.
아픈 곰들이 쉽게 눈에 띕니다.
이 곰은 앞발이 잘렸습니다.
제자리를 빙빙도는 건 스트레스를 못 이긴 이상 행동입니다.
모두 흰색 V자가 선명한 반달가슴곰인데, 540여마리가 전국에서 사육되고 있습니다.
이 곰들은 태어나서 지금까지 20여 년 동안 가로 2미터, 세로 5미터의 철창에 갇혀 있습니다.
언제 있을지 모를 웅담 채취를 기다리고 있는 겁니다.
[대한뉴스/1985년 9월 6일 : "(곰의) 웅담과 피, 가죽 등은+수입 대체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정부가 교본까지 발간해 농가에 곰 사육을 적극 권장했습니다.
살아 있는 곰에 빨대를 꽂아 쓸개즙을 빼낼 정도로 과열되기도 했습니다.
한 때 부르는 게 값이었던 웅담은 이제 찾는 이가 거의 없습니다.
돈이 안되니 남은 사육곰은 찬밥 신세가 됐습니다.
농가들은 곰을 도살하고 사업을 접겠다며, 정부가 보상금을 달라고 요구합니다.
[박상희/사육 곰 농장주 : "우리한테 책임을 묻느냐 이거야. (과거엔) 농가 소득증대를 위한 사업으로 (정부가) 장려했던 부분이에요."]
정부는 보상금 지급 근거가 없다는 입장.
정부와 농가의 줄다리기 사이에서 쓸모가 없어진 곰은 학대 수준으로 방치되고 있습니다.
[임태영/녹색연합 활동가 : "반달가슴곰 복원하겠다고 지리산에서 일부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사육 곰들에 대해선 같은 멸종위기종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리나 지원이 많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환경부는 곰 구출 예산 8억 원을 처음 책정해, 내년 예산안에 반영해달라고 기획재정부에 요청한 상태입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지숙 기자 vox@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