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오늘 남북 통일축구…“화해 밑거름”
입력 2018.08.11 (12:03) 수정 2018.08.11 (12:07) 뉴스 12
[앵커]
우리 유소년 축구대표팀이 평양으로 떠난 어제, 북측에서도 노동자 60여 명이 남쪽을 찾아왔습니다.
남북정상회담 뒤 처음 열리는 민간교류행사인 '남북 노동자 통일 축구 대회'에 참석하기 위해서인데요.
남북 노동자 대표들은 이번 대회가 화해와 통일의 밑거름이 될 거라고 말했습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녘 노동자들이 11년 만에 남녘 땅을 밟습니다.
남과 북의 노동자 대표들도 얼싸 안으며 기쁨을 만끽합니다.
남쪽을 찾은 북측 대표단은 주영길 조선직업총동맹 위원장 등 64명입니다.
[주영길/조선직업총동맹 위원장 : "북남 노동자들의 열띤 기상과 의지를 다시 한 번 힘있게 과시하고, 각 계층 속에 통일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로 될 것입니다."]
남북 노동자 교류는 엄혹한 긴장 상황에서도 지난 20년 동안 생명력을 이어왔습니다.
1999년, 첫 대회는 서해교전으로 무산위기까지 갔지만 막판 극적으로 성사돼 평양에서 열렸습니다.
2007년 두 번째 대회는 분단 이후 처음으로 북한 노동자가 남측을 찾았습니다.
목함지뢰 사건으로 준전시나 다름없던 2015년에도 이산가족 상봉행사와 함께 교류의 끈을 이었습니다.
[김명환/민주노총 위원장 : "이제 2015년의 약속으로 네 번째 역사적인 남북노동자 통일축구대회가 이곳 서울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대회는 4·27 판문점 선언 뒤 처음 열리는 민간교류 행사입니다.
지난 9년간 얼어붙었던 남북 관계가 평창 올림픽과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해빙기를 맞았다는 상징입니다.
[김주영/한국노총 위원장 : "판문점 선언이행을 위한 남북노동자 통일축구대회의 개최는 지난 시기 남북의 노동자가 함께 노력한 결실입니다."]
북측 노동자 선수단은 오늘 오후 서울 상암경기장에서 남측 대표와 축구대회를 하고 내일 돌아갑니다.
한편, 국제 유소년 축구대회에 참가하는 우리 선수단과 취재진도 어제 평양에 도착해 여장을 풀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우리 유소년 축구대표팀이 평양으로 떠난 어제, 북측에서도 노동자 60여 명이 남쪽을 찾아왔습니다.
남북정상회담 뒤 처음 열리는 민간교류행사인 '남북 노동자 통일 축구 대회'에 참석하기 위해서인데요.
남북 노동자 대표들은 이번 대회가 화해와 통일의 밑거름이 될 거라고 말했습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녘 노동자들이 11년 만에 남녘 땅을 밟습니다.
남과 북의 노동자 대표들도 얼싸 안으며 기쁨을 만끽합니다.
남쪽을 찾은 북측 대표단은 주영길 조선직업총동맹 위원장 등 64명입니다.
[주영길/조선직업총동맹 위원장 : "북남 노동자들의 열띤 기상과 의지를 다시 한 번 힘있게 과시하고, 각 계층 속에 통일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로 될 것입니다."]
남북 노동자 교류는 엄혹한 긴장 상황에서도 지난 20년 동안 생명력을 이어왔습니다.
1999년, 첫 대회는 서해교전으로 무산위기까지 갔지만 막판 극적으로 성사돼 평양에서 열렸습니다.
2007년 두 번째 대회는 분단 이후 처음으로 북한 노동자가 남측을 찾았습니다.
목함지뢰 사건으로 준전시나 다름없던 2015년에도 이산가족 상봉행사와 함께 교류의 끈을 이었습니다.
[김명환/민주노총 위원장 : "이제 2015년의 약속으로 네 번째 역사적인 남북노동자 통일축구대회가 이곳 서울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대회는 4·27 판문점 선언 뒤 처음 열리는 민간교류 행사입니다.
지난 9년간 얼어붙었던 남북 관계가 평창 올림픽과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해빙기를 맞았다는 상징입니다.
[김주영/한국노총 위원장 : "판문점 선언이행을 위한 남북노동자 통일축구대회의 개최는 지난 시기 남북의 노동자가 함께 노력한 결실입니다."]
북측 노동자 선수단은 오늘 오후 서울 상암경기장에서 남측 대표와 축구대회를 하고 내일 돌아갑니다.
한편, 국제 유소년 축구대회에 참가하는 우리 선수단과 취재진도 어제 평양에 도착해 여장을 풀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 오늘 남북 통일축구…“화해 밑거름”
-
- 입력 2018-08-11 12:04:37
- 수정2018-08-11 12:07:58

[앵커]
우리 유소년 축구대표팀이 평양으로 떠난 어제, 북측에서도 노동자 60여 명이 남쪽을 찾아왔습니다.
남북정상회담 뒤 처음 열리는 민간교류행사인 '남북 노동자 통일 축구 대회'에 참석하기 위해서인데요.
남북 노동자 대표들은 이번 대회가 화해와 통일의 밑거름이 될 거라고 말했습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녘 노동자들이 11년 만에 남녘 땅을 밟습니다.
남과 북의 노동자 대표들도 얼싸 안으며 기쁨을 만끽합니다.
남쪽을 찾은 북측 대표단은 주영길 조선직업총동맹 위원장 등 64명입니다.
[주영길/조선직업총동맹 위원장 : "북남 노동자들의 열띤 기상과 의지를 다시 한 번 힘있게 과시하고, 각 계층 속에 통일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로 될 것입니다."]
남북 노동자 교류는 엄혹한 긴장 상황에서도 지난 20년 동안 생명력을 이어왔습니다.
1999년, 첫 대회는 서해교전으로 무산위기까지 갔지만 막판 극적으로 성사돼 평양에서 열렸습니다.
2007년 두 번째 대회는 분단 이후 처음으로 북한 노동자가 남측을 찾았습니다.
목함지뢰 사건으로 준전시나 다름없던 2015년에도 이산가족 상봉행사와 함께 교류의 끈을 이었습니다.
[김명환/민주노총 위원장 : "이제 2015년의 약속으로 네 번째 역사적인 남북노동자 통일축구대회가 이곳 서울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대회는 4·27 판문점 선언 뒤 처음 열리는 민간교류 행사입니다.
지난 9년간 얼어붙었던 남북 관계가 평창 올림픽과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해빙기를 맞았다는 상징입니다.
[김주영/한국노총 위원장 : "판문점 선언이행을 위한 남북노동자 통일축구대회의 개최는 지난 시기 남북의 노동자가 함께 노력한 결실입니다."]
북측 노동자 선수단은 오늘 오후 서울 상암경기장에서 남측 대표와 축구대회를 하고 내일 돌아갑니다.
한편, 국제 유소년 축구대회에 참가하는 우리 선수단과 취재진도 어제 평양에 도착해 여장을 풀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우리 유소년 축구대표팀이 평양으로 떠난 어제, 북측에서도 노동자 60여 명이 남쪽을 찾아왔습니다.
남북정상회담 뒤 처음 열리는 민간교류행사인 '남북 노동자 통일 축구 대회'에 참석하기 위해서인데요.
남북 노동자 대표들은 이번 대회가 화해와 통일의 밑거름이 될 거라고 말했습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북녘 노동자들이 11년 만에 남녘 땅을 밟습니다.
남과 북의 노동자 대표들도 얼싸 안으며 기쁨을 만끽합니다.
남쪽을 찾은 북측 대표단은 주영길 조선직업총동맹 위원장 등 64명입니다.
[주영길/조선직업총동맹 위원장 : "북남 노동자들의 열띤 기상과 의지를 다시 한 번 힘있게 과시하고, 각 계층 속에 통일에도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로 될 것입니다."]
남북 노동자 교류는 엄혹한 긴장 상황에서도 지난 20년 동안 생명력을 이어왔습니다.
1999년, 첫 대회는 서해교전으로 무산위기까지 갔지만 막판 극적으로 성사돼 평양에서 열렸습니다.
2007년 두 번째 대회는 분단 이후 처음으로 북한 노동자가 남측을 찾았습니다.
목함지뢰 사건으로 준전시나 다름없던 2015년에도 이산가족 상봉행사와 함께 교류의 끈을 이었습니다.
[김명환/민주노총 위원장 : "이제 2015년의 약속으로 네 번째 역사적인 남북노동자 통일축구대회가 이곳 서울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대회는 4·27 판문점 선언 뒤 처음 열리는 민간교류 행사입니다.
지난 9년간 얼어붙었던 남북 관계가 평창 올림픽과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해빙기를 맞았다는 상징입니다.
[김주영/한국노총 위원장 : "판문점 선언이행을 위한 남북노동자 통일축구대회의 개최는 지난 시기 남북의 노동자가 함께 노력한 결실입니다."]
북측 노동자 선수단은 오늘 오후 서울 상암경기장에서 남측 대표와 축구대회를 하고 내일 돌아갑니다.
한편, 국제 유소년 축구대회에 참가하는 우리 선수단과 취재진도 어제 평양에 도착해 여장을 풀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승철 기자 bullseye@kbs.co.kr
이승철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