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혁신도시 입주기업 1천개사·고용인원 2만명 확대

입력 2018.08.27 (08:53) 수정 2018.08.27 (08: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혁신도시를 활성화하기 위해 2022년까지 입주기업을 1천 개 사로 늘리고 고용인원은 2만 명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정부는 오늘(27일) 제1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혁신도시 기업 입주 및 창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10개 혁신도시는 이전 대상 공공기관 113개 중 110개 기관이 이전을 완료했으나 아직 기업과 연구소 등의 입주가 저조해 산학연 생태계를 갖춘 성장거점의 역할은 미흡한 상황입니다.

우선 정부는 기업에 유리한 환경을 혁신도시에 조성하기 위해 건축 및 기업활동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클러스 부지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기업의 입지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혁신도시 연계형 투자선도지구나 특별건축구역을 지정함으로써 효율적인 개발을 지원합니다.

투지선도지구는 건폐율·용적률 완화, 인허가 의제를 비롯한 73종의 규제특례를 제공하는 제도로, 혁신도시 연계형으론 현재 전남 나주가 선정돼 있습니다.

특별건축구역은 건폐율·높이제한·주택건설기준 등 규제 개선을 통해 신속한 건축과 입주를 유도하는 제도입니다.

혁신도시 특화 전략에 맞춰 신사업 테스트 베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샌드박스를 지정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이와 관련, 정부는 10월께 별도의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2021년까지 혁신도시별로 문화·체육·교육·여가시설 등 정주 인프라와 스타트업 창업공간이 융합된 '복합혁신센터'도 건립합니다.

또 혁신도시에 각각 발전재단을 설치해 기업 지원센터를 운영하는 등 산학연 협력 거버넌스를 촉진합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2년까지 혁신도시 입주기업을 1천 개사로 확대하고 고용인원을 2만 명까지 확충한다는 방침힙니다.

올해 6월 기준 혁신도시 입주기업은 639개사, 고용인원은 1만 1천 명에 불과합니다.

특히 기업은 대부분 지역 내 중소기업이 이동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22년까지 혁신도시 입주기업 1천개사·고용인원 2만명 확대
    • 입력 2018-08-27 08:53:51
    • 수정2018-08-27 08:59:42
    경제
정부가 혁신도시를 활성화하기 위해 2022년까지 입주기업을 1천 개 사로 늘리고 고용인원은 2만 명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정부는 오늘(27일) 제1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혁신도시 기업 입주 및 창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10개 혁신도시는 이전 대상 공공기관 113개 중 110개 기관이 이전을 완료했으나 아직 기업과 연구소 등의 입주가 저조해 산학연 생태계를 갖춘 성장거점의 역할은 미흡한 상황입니다.

우선 정부는 기업에 유리한 환경을 혁신도시에 조성하기 위해 건축 및 기업활동 관련 규제를 개선하고 클러스 부지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기업의 입지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혁신도시 연계형 투자선도지구나 특별건축구역을 지정함으로써 효율적인 개발을 지원합니다.

투지선도지구는 건폐율·용적률 완화, 인허가 의제를 비롯한 73종의 규제특례를 제공하는 제도로, 혁신도시 연계형으론 현재 전남 나주가 선정돼 있습니다.

특별건축구역은 건폐율·높이제한·주택건설기준 등 규제 개선을 통해 신속한 건축과 입주를 유도하는 제도입니다.

혁신도시 특화 전략에 맞춰 신사업 테스트 베드로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샌드박스를 지정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

이와 관련, 정부는 10월께 별도의 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2021년까지 혁신도시별로 문화·체육·교육·여가시설 등 정주 인프라와 스타트업 창업공간이 융합된 '복합혁신센터'도 건립합니다.

또 혁신도시에 각각 발전재단을 설치해 기업 지원센터를 운영하는 등 산학연 협력 거버넌스를 촉진합니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2년까지 혁신도시 입주기업을 1천 개사로 확대하고 고용인원을 2만 명까지 확충한다는 방침힙니다.

올해 6월 기준 혁신도시 입주기업은 639개사, 고용인원은 1만 1천 명에 불과합니다.

특히 기업은 대부분 지역 내 중소기업이 이동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