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공립초등학교 53곳의 스쿨버스에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서울시는 통학버스 내 어린이 갇힘으로 인한 질식 사고를 막기 위해, 이달까지 시가 운영 지원하는 공립초 스쿨버스 53대에 안전장치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통신인 NFC를 활용한 것으로, 운전자가 모든 어린이의 하차를 확인하고, 통학차량 맨 뒷 좌석과 차량 외부에 설치된 NFC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대면 학부모와 학교 관리자에게 안전 하차 여부를 동시에 알려줍니다.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대지 않으면, 운전자와 탑승보호자 스마트폰과 학교 관리자 PC에 1분 간격으로 경보음이 울리게 됩니다.
시는 현재 스쿨버스를 운영 중인 53곳 이외에도 등하굣길 여건이 열악한 공립초등학교가 더 있다고 보고 내년에 스쿨버스 운영을 58개교로 확대할 계획이며, 총 40억9천만 원의 예산을 편성하기로 했습니다.
어린이 차량사고를 막기 위해 서울시는 지난 14일 53개 공립초 스쿨버스 운전자와 탑승보호자 106명을 대상으로 사고예방수칙과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등 안전교육도 실시했습니다.
서울시는 통학버스 내 어린이 갇힘으로 인한 질식 사고를 막기 위해, 이달까지 시가 운영 지원하는 공립초 스쿨버스 53대에 안전장치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통신인 NFC를 활용한 것으로, 운전자가 모든 어린이의 하차를 확인하고, 통학차량 맨 뒷 좌석과 차량 외부에 설치된 NFC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대면 학부모와 학교 관리자에게 안전 하차 여부를 동시에 알려줍니다.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대지 않으면, 운전자와 탑승보호자 스마트폰과 학교 관리자 PC에 1분 간격으로 경보음이 울리게 됩니다.
시는 현재 스쿨버스를 운영 중인 53곳 이외에도 등하굣길 여건이 열악한 공립초등학교가 더 있다고 보고 내년에 스쿨버스 운영을 58개교로 확대할 계획이며, 총 40억9천만 원의 예산을 편성하기로 했습니다.
어린이 차량사고를 막기 위해 서울시는 지난 14일 53개 공립초 스쿨버스 운전자와 탑승보호자 106명을 대상으로 사고예방수칙과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등 안전교육도 실시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시 지원 스쿨버스에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 설치
-
- 입력 2018-08-27 11:40:45
서울시내 공립초등학교 53곳의 스쿨버스에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서울시는 통학버스 내 어린이 갇힘으로 인한 질식 사고를 막기 위해, 이달까지 시가 운영 지원하는 공립초 스쿨버스 53대에 안전장치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통신인 NFC를 활용한 것으로, 운전자가 모든 어린이의 하차를 확인하고, 통학차량 맨 뒷 좌석과 차량 외부에 설치된 NFC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대면 학부모와 학교 관리자에게 안전 하차 여부를 동시에 알려줍니다.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대지 않으면, 운전자와 탑승보호자 스마트폰과 학교 관리자 PC에 1분 간격으로 경보음이 울리게 됩니다.
시는 현재 스쿨버스를 운영 중인 53곳 이외에도 등하굣길 여건이 열악한 공립초등학교가 더 있다고 보고 내년에 스쿨버스 운영을 58개교로 확대할 계획이며, 총 40억9천만 원의 예산을 편성하기로 했습니다.
어린이 차량사고를 막기 위해 서울시는 지난 14일 53개 공립초 스쿨버스 운전자와 탑승보호자 106명을 대상으로 사고예방수칙과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등 안전교육도 실시했습니다.
서울시는 통학버스 내 어린이 갇힘으로 인한 질식 사고를 막기 위해, 이달까지 시가 운영 지원하는 공립초 스쿨버스 53대에 안전장치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어린이 하차 확인 시스템'은 스마트폰과 근거리 무선통신인 NFC를 활용한 것으로, 운전자가 모든 어린이의 하차를 확인하고, 통학차량 맨 뒷 좌석과 차량 외부에 설치된 NFC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대면 학부모와 학교 관리자에게 안전 하차 여부를 동시에 알려줍니다.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대지 않으면, 운전자와 탑승보호자 스마트폰과 학교 관리자 PC에 1분 간격으로 경보음이 울리게 됩니다.
시는 현재 스쿨버스를 운영 중인 53곳 이외에도 등하굣길 여건이 열악한 공립초등학교가 더 있다고 보고 내년에 스쿨버스 운영을 58개교로 확대할 계획이며, 총 40억9천만 원의 예산을 편성하기로 했습니다.
어린이 차량사고를 막기 위해 서울시는 지난 14일 53개 공립초 스쿨버스 운전자와 탑승보호자 106명을 대상으로 사고예방수칙과 응급처치, 심폐소생술 등 안전교육도 실시했습니다.
-
-
홍화경 기자 vivid@kbs.co.kr
홍화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