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지난해 동기대비 2배…8명 사망
입력 2018.08.29 (10:22) 수정 2018.08.29 (10:25) 사회
올해 들어 비브리오패혈증 환자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비브리오패혈증 신고환자가 28명(27일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3명보다 2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비브리오패혈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8명이며 이 중 3명은 간 질환이나 알코올중독, 당뇨 등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으로 나타났습니다. 보통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는 6월부터 11월까지 발생하는데, 주로 8∼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비브리오패혈증 신고환자의 75%가 어패류를 섭취한 것으로 조사된 만큼 어패류를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하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들어가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비브리오패혈증 신고환자가 28명(27일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3명보다 2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비브리오패혈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8명이며 이 중 3명은 간 질환이나 알코올중독, 당뇨 등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으로 나타났습니다. 보통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는 6월부터 11월까지 발생하는데, 주로 8∼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비브리오패혈증 신고환자의 75%가 어패류를 섭취한 것으로 조사된 만큼 어패류를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하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들어가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 비브리오패혈증 환자 지난해 동기대비 2배…8명 사망
-
- 입력 2018-08-29 10:22:23
- 수정2018-08-29 10:25:09

올해 들어 비브리오패혈증 환자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비브리오패혈증 신고환자가 28명(27일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3명보다 2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비브리오패혈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8명이며 이 중 3명은 간 질환이나 알코올중독, 당뇨 등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으로 나타났습니다. 보통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는 6월부터 11월까지 발생하는데, 주로 8∼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비브리오패혈증 신고환자의 75%가 어패류를 섭취한 것으로 조사된 만큼 어패류를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하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들어가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올해 비브리오패혈증 신고환자가 28명(27일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3명보다 2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비브리오패혈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8명이며 이 중 3명은 간 질환이나 알코올중독, 당뇨 등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으로 나타났습니다. 보통 비브리오패혈증 환자는 6월부터 11월까지 발생하는데, 주로 8∼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비브리오패혈증 신고환자의 75%가 어패류를 섭취한 것으로 조사된 만큼 어패류를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하고, 피부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바닷물에 들어가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기자 정보
-
-
박광식 기자 doctor@kbs.co.kr
박광식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