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의 재앙 ‘치매’…가족도 ‘숨은 환자’
입력 2018.09.05 (21:28)
수정 2018.09.05 (22: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우리 사회도 이제 국민 7명 가운데 1명이 노인인 고령사회가 됐습니다.
그런데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이 뭘까요?
바로 치매입니다.
고령사회의 그늘이라 할 수 있는 이 치매를 우리사회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요?
치매로 고통받고 있는 한 80대 노부부의 사연을 통해 우리사회 치매 대비 실태를 알아봅니다.
조혜진 그리고 엄진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울어, 왜 울어."]
치매를 앓는 부인을 만난 심중석 할아버지.
["하나, 둘, 셋."]
["아이고 힘도 세다."]
["내가 졌다, 웃어라."]
햇살 좋은 날, 요양원 뒷마당.
["뽀뽀 해봐, 뽀뽀 해봐. (아이구 착해라 이뻐라.)"]
["당신 보고 싶어서 어떻게 살꼬, 울어라, 울어라, 당신도 울어라. 집에 갈까 나하고 집에 갈까."]
멀쩡하던 부인에게 병이 찾아든 건 6년 전.
["왜 당신이 치매가 걸려서 이렇게 따로 떨어져 살아야 되느냐, 평생을 같이 산다해도 자는 시간만 빼고 나면 그게 반인데."]
하루도 빼놓지 않은 80대 노부부의 마지막 로맨스.
["하루라도 더 밥 먹여주고 간식 좀 준비해 오는 거 자기 몸에 좋다는 거 하루라도 더 먹여주고 세상 떠났으면 좋겠습니다."]
언제가는 떠나보내야 한다는 걸 알기에 할아버지는 투병 기록을 일기에 남기고 있습니다.
["잘자라 하고 그냥 돌아왔는데, 오늘 별로 웃지 않아서 서운했다. 많이 웃었으면 좋을 텐데."]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고령사회의 재앙 ‘치매’…가족도 ‘숨은 환자’
[기자]
함께 웃고, 먹고, 숨쉬던 공간.
시간이 지날수록 판단은 무뎌지고 기억도, 감정도, 언어도 서서히 잃어갑니다.
치매는 60세 이상 노년층이 가장 두려워 하는 질환입니다.
누구나 피하고 싶지만, 누구라도 안심할 수 없다는 건, 다음 수치를 보면 짐작할 수 있습니다.
국내 치매환자는 72만 명으로 노인 인구의 10%에 달합니다.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환자는 180만 명, 노인 4명 중 1명인데, 이들 중 10~15%가 실제 치매로 진행됩니다.
치매 환자 1명을 치료하고 돌보는 데는 연간 2천만 원 정도가 듭니다.
고령화가 심화될수록 치매 환자는 많아지고, 그만큼 사회적 비용도 늘어나죠.
2년뒤 18조 원, 2030년 34조, 2050년엔 100조 원을 넘어설 꺼란 전망입니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또 어떨까요.
간병을 위해 회사를 그만두거나 일하는 시간을 줄였고, 우울증을 경험했으며, 자살을 생각해 본 적도 있었습니다.
사랑하는 가족이지만 희생 없이는 감당할 수 없는 일, 그래서 이들은 Hidden Patient, '숨은 환자'라 불립니다.
정부가 치매를 가정이 아닌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공언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KBS 뉴스 엄진아입니다.
우리 사회도 이제 국민 7명 가운데 1명이 노인인 고령사회가 됐습니다.
그런데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이 뭘까요?
바로 치매입니다.
고령사회의 그늘이라 할 수 있는 이 치매를 우리사회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요?
치매로 고통받고 있는 한 80대 노부부의 사연을 통해 우리사회 치매 대비 실태를 알아봅니다.
조혜진 그리고 엄진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울어, 왜 울어."]
치매를 앓는 부인을 만난 심중석 할아버지.
["하나, 둘, 셋."]
["아이고 힘도 세다."]
["내가 졌다, 웃어라."]
햇살 좋은 날, 요양원 뒷마당.
["뽀뽀 해봐, 뽀뽀 해봐. (아이구 착해라 이뻐라.)"]
["당신 보고 싶어서 어떻게 살꼬, 울어라, 울어라, 당신도 울어라. 집에 갈까 나하고 집에 갈까."]
멀쩡하던 부인에게 병이 찾아든 건 6년 전.
["왜 당신이 치매가 걸려서 이렇게 따로 떨어져 살아야 되느냐, 평생을 같이 산다해도 자는 시간만 빼고 나면 그게 반인데."]
하루도 빼놓지 않은 80대 노부부의 마지막 로맨스.
["하루라도 더 밥 먹여주고 간식 좀 준비해 오는 거 자기 몸에 좋다는 거 하루라도 더 먹여주고 세상 떠났으면 좋겠습니다."]
언제가는 떠나보내야 한다는 걸 알기에 할아버지는 투병 기록을 일기에 남기고 있습니다.
["잘자라 하고 그냥 돌아왔는데, 오늘 별로 웃지 않아서 서운했다. 많이 웃었으면 좋을 텐데."]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고령사회의 재앙 ‘치매’…가족도 ‘숨은 환자’
[기자]
함께 웃고, 먹고, 숨쉬던 공간.
시간이 지날수록 판단은 무뎌지고 기억도, 감정도, 언어도 서서히 잃어갑니다.
치매는 60세 이상 노년층이 가장 두려워 하는 질환입니다.
누구나 피하고 싶지만, 누구라도 안심할 수 없다는 건, 다음 수치를 보면 짐작할 수 있습니다.
국내 치매환자는 72만 명으로 노인 인구의 10%에 달합니다.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환자는 180만 명, 노인 4명 중 1명인데, 이들 중 10~15%가 실제 치매로 진행됩니다.
치매 환자 1명을 치료하고 돌보는 데는 연간 2천만 원 정도가 듭니다.
고령화가 심화될수록 치매 환자는 많아지고, 그만큼 사회적 비용도 늘어나죠.
2년뒤 18조 원, 2030년 34조, 2050년엔 100조 원을 넘어설 꺼란 전망입니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또 어떨까요.
간병을 위해 회사를 그만두거나 일하는 시간을 줄였고, 우울증을 경험했으며, 자살을 생각해 본 적도 있었습니다.
사랑하는 가족이지만 희생 없이는 감당할 수 없는 일, 그래서 이들은 Hidden Patient, '숨은 환자'라 불립니다.
정부가 치매를 가정이 아닌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공언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KBS 뉴스 엄진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령사회의 재앙 ‘치매’…가족도 ‘숨은 환자’
-
- 입력 2018-09-05 21:37:36
- 수정2018-09-05 22:31:47

[앵커]
우리 사회도 이제 국민 7명 가운데 1명이 노인인 고령사회가 됐습니다.
그런데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이 뭘까요?
바로 치매입니다.
고령사회의 그늘이라 할 수 있는 이 치매를 우리사회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요?
치매로 고통받고 있는 한 80대 노부부의 사연을 통해 우리사회 치매 대비 실태를 알아봅니다.
조혜진 그리고 엄진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울어, 왜 울어."]
치매를 앓는 부인을 만난 심중석 할아버지.
["하나, 둘, 셋."]
["아이고 힘도 세다."]
["내가 졌다, 웃어라."]
햇살 좋은 날, 요양원 뒷마당.
["뽀뽀 해봐, 뽀뽀 해봐. (아이구 착해라 이뻐라.)"]
["당신 보고 싶어서 어떻게 살꼬, 울어라, 울어라, 당신도 울어라. 집에 갈까 나하고 집에 갈까."]
멀쩡하던 부인에게 병이 찾아든 건 6년 전.
["왜 당신이 치매가 걸려서 이렇게 따로 떨어져 살아야 되느냐, 평생을 같이 산다해도 자는 시간만 빼고 나면 그게 반인데."]
하루도 빼놓지 않은 80대 노부부의 마지막 로맨스.
["하루라도 더 밥 먹여주고 간식 좀 준비해 오는 거 자기 몸에 좋다는 거 하루라도 더 먹여주고 세상 떠났으면 좋겠습니다."]
언제가는 떠나보내야 한다는 걸 알기에 할아버지는 투병 기록을 일기에 남기고 있습니다.
["잘자라 하고 그냥 돌아왔는데, 오늘 별로 웃지 않아서 서운했다. 많이 웃었으면 좋을 텐데."]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고령사회의 재앙 ‘치매’…가족도 ‘숨은 환자’
[기자]
함께 웃고, 먹고, 숨쉬던 공간.
시간이 지날수록 판단은 무뎌지고 기억도, 감정도, 언어도 서서히 잃어갑니다.
치매는 60세 이상 노년층이 가장 두려워 하는 질환입니다.
누구나 피하고 싶지만, 누구라도 안심할 수 없다는 건, 다음 수치를 보면 짐작할 수 있습니다.
국내 치매환자는 72만 명으로 노인 인구의 10%에 달합니다.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환자는 180만 명, 노인 4명 중 1명인데, 이들 중 10~15%가 실제 치매로 진행됩니다.
치매 환자 1명을 치료하고 돌보는 데는 연간 2천만 원 정도가 듭니다.
고령화가 심화될수록 치매 환자는 많아지고, 그만큼 사회적 비용도 늘어나죠.
2년뒤 18조 원, 2030년 34조, 2050년엔 100조 원을 넘어설 꺼란 전망입니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또 어떨까요.
간병을 위해 회사를 그만두거나 일하는 시간을 줄였고, 우울증을 경험했으며, 자살을 생각해 본 적도 있었습니다.
사랑하는 가족이지만 희생 없이는 감당할 수 없는 일, 그래서 이들은 Hidden Patient, '숨은 환자'라 불립니다.
정부가 치매를 가정이 아닌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공언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KBS 뉴스 엄진아입니다.
우리 사회도 이제 국민 7명 가운데 1명이 노인인 고령사회가 됐습니다.
그런데 노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이 뭘까요?
바로 치매입니다.
고령사회의 그늘이라 할 수 있는 이 치매를 우리사회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요?
치매로 고통받고 있는 한 80대 노부부의 사연을 통해 우리사회 치매 대비 실태를 알아봅니다.
조혜진 그리고 엄진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울어, 왜 울어."]
치매를 앓는 부인을 만난 심중석 할아버지.
["하나, 둘, 셋."]
["아이고 힘도 세다."]
["내가 졌다, 웃어라."]
햇살 좋은 날, 요양원 뒷마당.
["뽀뽀 해봐, 뽀뽀 해봐. (아이구 착해라 이뻐라.)"]
["당신 보고 싶어서 어떻게 살꼬, 울어라, 울어라, 당신도 울어라. 집에 갈까 나하고 집에 갈까."]
멀쩡하던 부인에게 병이 찾아든 건 6년 전.
["왜 당신이 치매가 걸려서 이렇게 따로 떨어져 살아야 되느냐, 평생을 같이 산다해도 자는 시간만 빼고 나면 그게 반인데."]
하루도 빼놓지 않은 80대 노부부의 마지막 로맨스.
["하루라도 더 밥 먹여주고 간식 좀 준비해 오는 거 자기 몸에 좋다는 거 하루라도 더 먹여주고 세상 떠났으면 좋겠습니다."]
언제가는 떠나보내야 한다는 걸 알기에 할아버지는 투병 기록을 일기에 남기고 있습니다.
["잘자라 하고 그냥 돌아왔는데, 오늘 별로 웃지 않아서 서운했다. 많이 웃었으면 좋을 텐데."]
KBS 뉴스 조혜진입니다.
▼고령사회의 재앙 ‘치매’…가족도 ‘숨은 환자’
[기자]
함께 웃고, 먹고, 숨쉬던 공간.
시간이 지날수록 판단은 무뎌지고 기억도, 감정도, 언어도 서서히 잃어갑니다.
치매는 60세 이상 노년층이 가장 두려워 하는 질환입니다.
누구나 피하고 싶지만, 누구라도 안심할 수 없다는 건, 다음 수치를 보면 짐작할 수 있습니다.
국내 치매환자는 72만 명으로 노인 인구의 10%에 달합니다.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환자는 180만 명, 노인 4명 중 1명인데, 이들 중 10~15%가 실제 치매로 진행됩니다.
치매 환자 1명을 치료하고 돌보는 데는 연간 2천만 원 정도가 듭니다.
고령화가 심화될수록 치매 환자는 많아지고, 그만큼 사회적 비용도 늘어나죠.
2년뒤 18조 원, 2030년 34조, 2050년엔 100조 원을 넘어설 꺼란 전망입니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또 어떨까요.
간병을 위해 회사를 그만두거나 일하는 시간을 줄였고, 우울증을 경험했으며, 자살을 생각해 본 적도 있었습니다.
사랑하는 가족이지만 희생 없이는 감당할 수 없는 일, 그래서 이들은 Hidden Patient, '숨은 환자'라 불립니다.
정부가 치매를 가정이 아닌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공언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KBS 뉴스 엄진아입니다.
-
-
조혜진 기자 jin2@kbs.co.kr
조혜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엄진아 기자 aza@kbs.co.kr
엄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