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도시 부동산 거품 경고…서울은?
입력 2018.10.08 (10:23)
수정 2018.10.08 (10: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웨덴의 스톡홀름과 프랑스의 파리,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호주의 시드니, 일본의 도쿄 등도 거품지수가 1을 넘어 고평가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됐다. 싱가포르는 적정 수준이고 미국의 시카고는 주택 가격이 저평가됐다고 밝혔다.

UBS의 거품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도시에서 지수가 2008년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도시들 가운데 소득 대비 집값이 가장 비싼 곳은 홍콩으로 PIR이 22에 달했다. 2위는 15를 기록한 런던이 차지했고 도쿄와 뉴욕은 11를 기록했다.
아래 도표를 보면 20개 도시 대부분의 PIR이 2008년 금융위기 보다 더 높아졌고 싱가포르와 밀라노, 시카고 3개 도시만이 2008년보다 PIR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 소득을 기준으로 본다면 조사 대상 대부분의 도시에서 주택 가격이 2008년보다 거품이 더 많이 끼었다는 의미이다.


이런 경향은 글로벌 통계 사이트인 넘베오(Numbeo)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넘베오는 세계 300여 개 도시에 거주하는 37만여 명의 사람들이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용자 참여 방식을 통해 통계를 제공하는 곳이다. 정확한 통계 기법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실제 시민들이 체감하는 수치를 확인하는 데는 유용한 사이트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넘베오는 표본의 수가 적어 정확한 통계보다는 참고 자료의 성격이 강하다. 그렇다면 국내 부동산 통계 자료에서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는 KB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서울의 PIR은 어느 정도 수준일까?

하반기 상승분을 반영하지 않은 KB의 PIR과 UBS의 PIR을 비교해 보면 서울의 소득 대비 주택 가격은 뉴욕과 도쿄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샌프란시스코, 호주 시드니, 독일의 뮌헨, 캐나다의 밴쿠버 그리고 스위스의 취리히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이들 도시가 속한 국가들의 1인당 GDP는 5만 달러에서 8만 달러에 이른다.
KB가 발표한 지난 10년 동안의 PIR을 참고해 보면 현재 PIR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평가하는데 더 도움일 될 것이다. 2008년 1분기 이후 지금까지 PIR은 7~10사이에서 움직이고 있고 평균은 8.3 정도이다. 그리고 현재 서울 지역의 아파트 값은 역사적으로 볼 때 고점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계 주요도시 부동산 거품 경고…서울은?
-
- 입력 2018-10-08 10:23:34
- 수정2018-10-08 10:26:02


스웨덴의 스톡홀름과 프랑스의 파리, 미국의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호주의 시드니, 일본의 도쿄 등도 거품지수가 1을 넘어 고평가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평가됐다. 싱가포르는 적정 수준이고 미국의 시카고는 주택 가격이 저평가됐다고 밝혔다.

UBS의 거품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도시에서 지수가 2008년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도시들 가운데 소득 대비 집값이 가장 비싼 곳은 홍콩으로 PIR이 22에 달했다. 2위는 15를 기록한 런던이 차지했고 도쿄와 뉴욕은 11를 기록했다.
아래 도표를 보면 20개 도시 대부분의 PIR이 2008년 금융위기 보다 더 높아졌고 싱가포르와 밀라노, 시카고 3개 도시만이 2008년보다 PIR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 소득을 기준으로 본다면 조사 대상 대부분의 도시에서 주택 가격이 2008년보다 거품이 더 많이 끼었다는 의미이다.


이런 경향은 글로벌 통계 사이트인 넘베오(Numbeo)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넘베오는 세계 300여 개 도시에 거주하는 37만여 명의 사람들이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용자 참여 방식을 통해 통계를 제공하는 곳이다. 정확한 통계 기법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실제 시민들이 체감하는 수치를 확인하는 데는 유용한 사이트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넘베오는 표본의 수가 적어 정확한 통계보다는 참고 자료의 성격이 강하다. 그렇다면 국내 부동산 통계 자료에서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는 KB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 서울의 PIR은 어느 정도 수준일까?

하반기 상승분을 반영하지 않은 KB의 PIR과 UBS의 PIR을 비교해 보면 서울의 소득 대비 주택 가격은 뉴욕과 도쿄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다. 하지만 샌프란시스코, 호주 시드니, 독일의 뮌헨, 캐나다의 밴쿠버 그리고 스위스의 취리히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이들 도시가 속한 국가들의 1인당 GDP는 5만 달러에서 8만 달러에 이른다.
KB가 발표한 지난 10년 동안의 PIR을 참고해 보면 현재 PIR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평가하는데 더 도움일 될 것이다. 2008년 1분기 이후 지금까지 PIR은 7~10사이에서 움직이고 있고 평균은 8.3 정도이다. 그리고 현재 서울 지역의 아파트 값은 역사적으로 볼 때 고점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고영태 기자 kevin@kbs.co.kr
고영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