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무급 가사노동 가치 ‘연간 360조 원’…“GDP의 24.3%”
입력 2018.10.08 (12:17) 수정 2018.10.08 (13:20) 뉴스 12
[앵커]
GDP에 잡히지 않는 무급 가사 노동의 가치가 2014년 기준으로 360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계청의 공식 조사 결과인데, 무급 가사 노동 통계가 국가 통계로 공식 집계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밝힌 무급 가사 노동의 경제적 가치는 2014년을 기준으로 360조 7천억 원에 달했습니다.
명목 GDP 대비 24.3%에 이르는 금액입니다.
무급 가사 노동의 가치는 음식 준비와 세탁, 동식물 돌보기 등 가정 관리 부분이 62.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미성년 자녀 돌보기와 노부모 모시기 등 가족 돌보기의 비중이 25.9%로 뒤를 이었습니다.
성별로는 여성이 75.5%, 남성이 24.5%로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하지만 5년 전인 2009년과 비교하면 가치 평가액이 남성은 38.5%, 여성은 31.7%가 증가해 남성의 가사 참여 증가 폭이 더 높았습니다.
남성의 가사노동 비중 증가는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가 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국민 1인당 무급 가사노동의 가치는 710만 8천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009년의 548만 8천 원보다 29.5% 상승했습니다.
통계청은 개인 서비스와 봉사 활동 등에 해당하는 가사 노동의 평균 시간에 직종별 대체 임금을 적용한 뒤 경제적 가치를 계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GDP에 포함되지 않는 무급 가사 노동이 국가 통계로 공식 인정돼 발표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김대유/통계청 소득통계개발과장 : "사회적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가사노동에 대해 공식적으로 측정이 이뤄졌다는 데 대해 큰 의미가 있습니다."]
통계청은 이번 가사노동 위성계정 통계가 소득 통계 보완과 복지 정책 수립 등에 도움이 될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GDP에 잡히지 않는 무급 가사 노동의 가치가 2014년 기준으로 360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계청의 공식 조사 결과인데, 무급 가사 노동 통계가 국가 통계로 공식 집계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밝힌 무급 가사 노동의 경제적 가치는 2014년을 기준으로 360조 7천억 원에 달했습니다.
명목 GDP 대비 24.3%에 이르는 금액입니다.
무급 가사 노동의 가치는 음식 준비와 세탁, 동식물 돌보기 등 가정 관리 부분이 62.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미성년 자녀 돌보기와 노부모 모시기 등 가족 돌보기의 비중이 25.9%로 뒤를 이었습니다.
성별로는 여성이 75.5%, 남성이 24.5%로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하지만 5년 전인 2009년과 비교하면 가치 평가액이 남성은 38.5%, 여성은 31.7%가 증가해 남성의 가사 참여 증가 폭이 더 높았습니다.
남성의 가사노동 비중 증가는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가 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국민 1인당 무급 가사노동의 가치는 710만 8천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009년의 548만 8천 원보다 29.5% 상승했습니다.
통계청은 개인 서비스와 봉사 활동 등에 해당하는 가사 노동의 평균 시간에 직종별 대체 임금을 적용한 뒤 경제적 가치를 계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GDP에 포함되지 않는 무급 가사 노동이 국가 통계로 공식 인정돼 발표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김대유/통계청 소득통계개발과장 : "사회적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가사노동에 대해 공식적으로 측정이 이뤄졌다는 데 대해 큰 의미가 있습니다."]
통계청은 이번 가사노동 위성계정 통계가 소득 통계 보완과 복지 정책 수립 등에 도움이 될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 무급 가사노동 가치 ‘연간 360조 원’…“GDP의 24.3%”
-
- 입력 2018-10-08 12:20:30
- 수정2018-10-08 13:20:49

[앵커]
GDP에 잡히지 않는 무급 가사 노동의 가치가 2014년 기준으로 360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계청의 공식 조사 결과인데, 무급 가사 노동 통계가 국가 통계로 공식 집계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밝힌 무급 가사 노동의 경제적 가치는 2014년을 기준으로 360조 7천억 원에 달했습니다.
명목 GDP 대비 24.3%에 이르는 금액입니다.
무급 가사 노동의 가치는 음식 준비와 세탁, 동식물 돌보기 등 가정 관리 부분이 62.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미성년 자녀 돌보기와 노부모 모시기 등 가족 돌보기의 비중이 25.9%로 뒤를 이었습니다.
성별로는 여성이 75.5%, 남성이 24.5%로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하지만 5년 전인 2009년과 비교하면 가치 평가액이 남성은 38.5%, 여성은 31.7%가 증가해 남성의 가사 참여 증가 폭이 더 높았습니다.
남성의 가사노동 비중 증가는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가 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국민 1인당 무급 가사노동의 가치는 710만 8천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009년의 548만 8천 원보다 29.5% 상승했습니다.
통계청은 개인 서비스와 봉사 활동 등에 해당하는 가사 노동의 평균 시간에 직종별 대체 임금을 적용한 뒤 경제적 가치를 계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GDP에 포함되지 않는 무급 가사 노동이 국가 통계로 공식 인정돼 발표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김대유/통계청 소득통계개발과장 : "사회적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가사노동에 대해 공식적으로 측정이 이뤄졌다는 데 대해 큰 의미가 있습니다."]
통계청은 이번 가사노동 위성계정 통계가 소득 통계 보완과 복지 정책 수립 등에 도움이 될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GDP에 잡히지 않는 무급 가사 노동의 가치가 2014년 기준으로 360조 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통계청의 공식 조사 결과인데, 무급 가사 노동 통계가 국가 통계로 공식 집계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승훈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통계청이 밝힌 무급 가사 노동의 경제적 가치는 2014년을 기준으로 360조 7천억 원에 달했습니다.
명목 GDP 대비 24.3%에 이르는 금액입니다.
무급 가사 노동의 가치는 음식 준비와 세탁, 동식물 돌보기 등 가정 관리 부분이 62.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미성년 자녀 돌보기와 노부모 모시기 등 가족 돌보기의 비중이 25.9%로 뒤를 이었습니다.
성별로는 여성이 75.5%, 남성이 24.5%로 여성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습니다.
하지만 5년 전인 2009년과 비교하면 가치 평가액이 남성은 38.5%, 여성은 31.7%가 증가해 남성의 가사 참여 증가 폭이 더 높았습니다.
남성의 가사노동 비중 증가는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가 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국민 1인당 무급 가사노동의 가치는 710만 8천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009년의 548만 8천 원보다 29.5% 상승했습니다.
통계청은 개인 서비스와 봉사 활동 등에 해당하는 가사 노동의 평균 시간에 직종별 대체 임금을 적용한 뒤 경제적 가치를 계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GDP에 포함되지 않는 무급 가사 노동이 국가 통계로 공식 인정돼 발표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김대유/통계청 소득통계개발과장 : "사회적 가치가 상승하고 있는 가사노동에 대해 공식적으로 측정이 이뤄졌다는 데 대해 큰 의미가 있습니다."]
통계청은 이번 가사노동 위성계정 통계가 소득 통계 보완과 복지 정책 수립 등에 도움이 될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훈입니다.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승훈 기자 hun21@kbs.co.kr
이승훈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