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교육은 국방비로, 취직은 민간에서”…대책 없는 장기 군의관 관리

입력 2018.10.22 (2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3년 이 모 소위는 군 위탁생으로 선발돼 서울의 한 의대에 편입했습니다.

하지만 이 씨는 2016년 의사 자격증을 취득하자마자 전역을 신청했습니다.

고관절 수술을 받아 군 복무가 어렵다는 이유를 댔는데, 군 당국은 회의 한 번 열지 않고 공상으로 처리한 뒤 전역을 허가했습니다.

군 위탁생이 의대에 편입할 경우 전공의 수료후 10년 간 의무 복무해야 하지만, 공상처리될 경우에는 의무 복무가 모두 면제되는 제도의 허점이 드러난 겁니다.

이 씨는 급여와 학비 1억 7천여만 원을 반납하지 않고, 전역 다음날 바로 민간 병원 의사로 취직했습니다.

또다른 장기 군의관은 월급을 받으며 전공의 수련을 마친 뒤 우울증이 있다며 조기 전역해 정신과 전문의로 일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례는 지금까지 확인된 것만 8건에 이릅니다.

뿐만 아니라 현재 복무 중인 장기 의무관의 절반 이상은 진료가 아니라 행정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진료 경험이 풍부한 군의관을 양성하겠다는 군 위탁 교육의 취지가 무색해진 겁니다.

[김병기/더불어민주당 의원/국방위원 : "(장기복무 군의관) 대부분이 환자를 보는 임상직이 아니라 행정직에 투입되면서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임상 전문 군의관을 양성하기 위한 인사관리 모델을 정립해야 합니다."]

국방부는 이에 대해 앞으로는 장기복무 군의관의 전역 요건을 엄격히 하고, 보직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막뉴스] “교육은 국방비로, 취직은 민간에서”…대책 없는 장기 군의관 관리
    • 입력 2018-10-22 21:53:14
    자막뉴스
2013년 이 모 소위는 군 위탁생으로 선발돼 서울의 한 의대에 편입했습니다.

하지만 이 씨는 2016년 의사 자격증을 취득하자마자 전역을 신청했습니다.

고관절 수술을 받아 군 복무가 어렵다는 이유를 댔는데, 군 당국은 회의 한 번 열지 않고 공상으로 처리한 뒤 전역을 허가했습니다.

군 위탁생이 의대에 편입할 경우 전공의 수료후 10년 간 의무 복무해야 하지만, 공상처리될 경우에는 의무 복무가 모두 면제되는 제도의 허점이 드러난 겁니다.

이 씨는 급여와 학비 1억 7천여만 원을 반납하지 않고, 전역 다음날 바로 민간 병원 의사로 취직했습니다.

또다른 장기 군의관은 월급을 받으며 전공의 수련을 마친 뒤 우울증이 있다며 조기 전역해 정신과 전문의로 일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례는 지금까지 확인된 것만 8건에 이릅니다.

뿐만 아니라 현재 복무 중인 장기 의무관의 절반 이상은 진료가 아니라 행정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진료 경험이 풍부한 군의관을 양성하겠다는 군 위탁 교육의 취지가 무색해진 겁니다.

[김병기/더불어민주당 의원/국방위원 : "(장기복무 군의관) 대부분이 환자를 보는 임상직이 아니라 행정직에 투입되면서 의사로서의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지금이라도 임상 전문 군의관을 양성하기 위한 인사관리 모델을 정립해야 합니다."]

국방부는 이에 대해 앞으로는 장기복무 군의관의 전역 요건을 엄격히 하고, 보직 기준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