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 80%이상 2045년 사라질 위험 높다

입력 2018.10.22 (17:55) 수정 2018.10.23 (09: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인구 감소와 고령화 현상은 우리나라 전반적인 사회 문제이긴 합니다만, 어촌 지역에서는 각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어촌지역의 80% 이상이 2045년쯤 소멸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원인은 무엇이고 대안은 없는지,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여 년 전 부산 영도구 하리선착장, 150여 척에 이르는 어선들이 방파제 안에 빼곡히 정박해 있습니다.

어민들은 부지런히 어구를 손질하며 조업을 준비합니다.

지금은 어떨까.

배는 절반 이하인 70여 척 정도로 줄어들었고, 그나마 레저용 낚시배로 업종을 바꾼 배들이 대부분입니다.

[인터뷰]이덕용 /동삼2동 주민자치위원장
"환갑인데 제가 우리동네 젊은 사람입니다. 30~40대 사람들이 많아야 어업이 발전하고 그럴텐데..."

전국의 어촌 인구는 1967년 114만 명을 정점으로 지난해 말 12만 명까지 급격히 감소하며 어촌붕괴 위협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45년이면 우리나라 어촌지역 읍면동의 80%이상이 소멸될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65세 인구 대비 20~39세 여성 인구의 비율로 소멸지수를 나타내는데 0.2보다 작으면 소멸 고위험, 1보다 크면 소멸 비위험으로 분류됩니다.

지금 인구변화 추세대로라면 2015년 소멸고위혐 지역은 130여곳에서 2045년이면 340곳으로 늘고, 소멸 비위험은 54곳에서 한 곳도 남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거 여건과 교육 만족도가 낮아 인구가 줄고, 유입도 제한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황재희/한국해양수산개발원 지역발전연구센터 전문연구원
"삶의 질 만족도가 낮으니 떠나게 되고 공동화현상이 일어나고, 공공서비스가 악화됩니다. 그러면 또 사람들이 떠나고 경제활동 여건이 악화되는..."

대안은 없을까?

유럽 각국에서는 스마트 정책으로 악순환 끊기에 나섰습니다.

굴 생산지인 프랑스 브레타니에선 위성과 휴대전화를 이용, 어업인의 체계적인 생산관리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60여 명이 거주했던 스코틀랜드의 외딴 섬, 에익은 재생에너지 운영으로 섬 에너지의 95%를 스스로 해결하면서 20년 만에 인구가 2배가까이 늘었습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의 기반기술인 정보통신기술과 인공지능, 신재생에너지 등을 활용하는 혁신적 스마트어촌 개념 도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뉴스 김계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촌 80%이상 2045년 사라질 위험 높다
    • 입력 2018-10-23 03:52:10
    • 수정2018-10-23 09:48:43
    뉴스9(부산)
[앵커멘트] 인구 감소와 고령화 현상은 우리나라 전반적인 사회 문제이긴 합니다만, 어촌 지역에서는 각별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어촌지역의 80% 이상이 2045년쯤 소멸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원인은 무엇이고 대안은 없는지, 김계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0여 년 전 부산 영도구 하리선착장, 150여 척에 이르는 어선들이 방파제 안에 빼곡히 정박해 있습니다. 어민들은 부지런히 어구를 손질하며 조업을 준비합니다. 지금은 어떨까. 배는 절반 이하인 70여 척 정도로 줄어들었고, 그나마 레저용 낚시배로 업종을 바꾼 배들이 대부분입니다. [인터뷰]이덕용 /동삼2동 주민자치위원장 "환갑인데 제가 우리동네 젊은 사람입니다. 30~40대 사람들이 많아야 어업이 발전하고 그럴텐데..." 전국의 어촌 인구는 1967년 114만 명을 정점으로 지난해 말 12만 명까지 급격히 감소하며 어촌붕괴 위협이 현실화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2045년이면 우리나라 어촌지역 읍면동의 80%이상이 소멸될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65세 인구 대비 20~39세 여성 인구의 비율로 소멸지수를 나타내는데 0.2보다 작으면 소멸 고위험, 1보다 크면 소멸 비위험으로 분류됩니다. 지금 인구변화 추세대로라면 2015년 소멸고위혐 지역은 130여곳에서 2045년이면 340곳으로 늘고, 소멸 비위험은 54곳에서 한 곳도 남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거 여건과 교육 만족도가 낮아 인구가 줄고, 유입도 제한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인터뷰]황재희/한국해양수산개발원 지역발전연구센터 전문연구원 "삶의 질 만족도가 낮으니 떠나게 되고 공동화현상이 일어나고, 공공서비스가 악화됩니다. 그러면 또 사람들이 떠나고 경제활동 여건이 악화되는..." 대안은 없을까? 유럽 각국에서는 스마트 정책으로 악순환 끊기에 나섰습니다. 굴 생산지인 프랑스 브레타니에선 위성과 휴대전화를 이용, 어업인의 체계적인 생산관리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60여 명이 거주했던 스코틀랜드의 외딴 섬, 에익은 재생에너지 운영으로 섬 에너지의 95%를 스스로 해결하면서 20년 만에 인구가 2배가까이 늘었습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의 기반기술인 정보통신기술과 인공지능, 신재생에너지 등을 활용하는 혁신적 스마트어촌 개념 도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KBS뉴스 김계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부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