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어선에 밀려난 北 '죽음의 조업' 확산

입력 2018.10.26 (21:49) 수정 2018.10.27 (03: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악한 목선을 타고
먼바다까지 나가 조업하는
북한 어민들의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동해 북한수역에
중국 어선이 대거 진출하면서
밀려난 것으로 보이는데요.

수산 자원이 고갈되자
위험을 무릅쓰고
조업에 나서는 어선이 늘고 있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한일 공동수역과 인접한
동해 러시아수역입니다.

난민선을 연상케 하는
작은 어선이 눈에 띕니다.

배 위에 오징어를 걸어놓은 채
그물을 끌어올리느라 분주합니다.

국기가 잘 보이지 않지만
나무로 만든 북한 어선입니다.

여러 척이 모여
조업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파도가 거친데다
어선마저 열악해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물에 반쯤 잠긴 어선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북한에서
뱃길로 이틀 이상 걸리는 해역이지만
위험을 무릅쓰고 조업에 나서는 어선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슈퍼1]
박인봉 전국근해채낚기연합회 부회장
"작년까지만 해도 많지 않았는데, 올해 유난히 많이 들어왔어요, 그 배들이. 운항하는 데 지장이 많아요. 사고가 날까 봐."

[슈퍼2] 북상하는 태풍 '콩레이'를 피해
북한 어선들이 정박해 있습니다.

인공기 뿐 아니라
러시아 국기와
적십자기 모양의 깃발이 보입니다.

태풍이 지나간 뒤
레이더 영상을 보면,

북한 어선을 표시하는
수백 개의 점이
일제히 항구를 빠져 나갑니다.

북한의 먼바다 조업은
중국 어선이 동해에 진출한 2천4년 이후
시작됐습니다.

해마다 천 척이 넘는
중국 어선의 싹쓸이 조업으로
수산 자원이 고갈되면서
북한 밖으로 내몰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슈퍼3]
탈북 어민(음성변조)
"트롤(중국 저인망어선)은 그 싹 다 거둬 모으니까, 그러니까 내일이 없습니다. 미래가 없이 지금 현재. 현재를 지금 보면서 다 잡는데."

북한 뿐만 아니라
우리 어장도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슈퍼4] 최근 10년 사이
강원 동해안 오징어 어획량은
70% 넘게 감소했습니다.

이 때문에
남북 수산협력이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북한의 무리한 조업을 줄이고
어족 자원 회복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슈퍼5]
김충재/강원연구원 박사
"남측에서 북측에 들어가서 어업하는 공동어로도 좋고요. (함께) 어업하는 형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지난달 남북 정상이[슈퍼6]
서해 공동어로구역 설정에 합의했지만
동해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면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어선에 밀려난 北 '죽음의 조업' 확산
    • 입력 2018-10-26 21:49:52
    • 수정2018-10-27 03:34:53
    뉴스9(강릉)
열악한 목선을 타고 먼바다까지 나가 조업하는 북한 어민들의 모습이 포착됐습니다. 동해 북한수역에 중국 어선이 대거 진출하면서 밀려난 것으로 보이는데요. 수산 자원이 고갈되자 위험을 무릅쓰고 조업에 나서는 어선이 늘고 있습니다. 정면구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한일 공동수역과 인접한 동해 러시아수역입니다. 난민선을 연상케 하는 작은 어선이 눈에 띕니다. 배 위에 오징어를 걸어놓은 채 그물을 끌어올리느라 분주합니다. 국기가 잘 보이지 않지만 나무로 만든 북한 어선입니다. 여러 척이 모여 조업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파도가 거친데다 어선마저 열악해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물에 반쯤 잠긴 어선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북한에서 뱃길로 이틀 이상 걸리는 해역이지만 위험을 무릅쓰고 조업에 나서는 어선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슈퍼1] 박인봉 전국근해채낚기연합회 부회장 "작년까지만 해도 많지 않았는데, 올해 유난히 많이 들어왔어요, 그 배들이. 운항하는 데 지장이 많아요. 사고가 날까 봐." [슈퍼2] 북상하는 태풍 '콩레이'를 피해 북한 어선들이 정박해 있습니다. 인공기 뿐 아니라 러시아 국기와 적십자기 모양의 깃발이 보입니다. 태풍이 지나간 뒤 레이더 영상을 보면, 북한 어선을 표시하는 수백 개의 점이 일제히 항구를 빠져 나갑니다. 북한의 먼바다 조업은 중국 어선이 동해에 진출한 2천4년 이후 시작됐습니다. 해마다 천 척이 넘는 중국 어선의 싹쓸이 조업으로 수산 자원이 고갈되면서 북한 밖으로 내몰린 것으로 추정됩니다. [슈퍼3] 탈북 어민(음성변조) "트롤(중국 저인망어선)은 그 싹 다 거둬 모으니까, 그러니까 내일이 없습니다. 미래가 없이 지금 현재. 현재를 지금 보면서 다 잡는데." 북한 뿐만 아니라 우리 어장도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슈퍼4] 최근 10년 사이 강원 동해안 오징어 어획량은 70% 넘게 감소했습니다. 이 때문에 남북 수산협력이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북한의 무리한 조업을 줄이고 어족 자원 회복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슈퍼5] 김충재/강원연구원 박사 "남측에서 북측에 들어가서 어업하는 공동어로도 좋고요. (함께) 어업하는 형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지난달 남북 정상이[슈퍼6] 서해 공동어로구역 설정에 합의했지만 동해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KBS뉴스 정면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강릉-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