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인상시 전남 가계부채 위험…집값 하락 땐 경북 비상등”
입력 2018.11.04 (11:31)
수정 2018.11.04 (11: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리 인상으로 전남의 가계부채 부실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경북은 부동산 시장이 냉각할 때 가계부채 취약성이 두드러질 수 있는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 오준범 선임연구원과 신유란 연구원은 '지역별 가계 재무건전성 현황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전남의 경우 금리 인상, 경북의 경우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가계부채 부실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2016년 재정패널을 바탕으로 이같이 추정했습니다.
대출 금리가 2016년보다 1%포인트 상승하면 전국 가계의 평균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DSR)은 13.3%에서 14.4%로 오르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그중에서도 경북(+1.7%포인트), 인천(+1.6%포인트), 대구(+1.3%포인트), 경기(+1.2%포인트), 전남(+1.2%포인트) 순으로 상승 폭이 컸습니다. 그러나 경북, 대구, 인천은 현재 DSR이 전국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금리가 상승해도 DSR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습니다. 반면 전남은 현재 DSR이 35.4%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데다 금리 상승 때에는 36.6%로 확대해 부실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5%포인트 하락할 때를 가정해보면 전국 가계의 자산 대비 부채비율(DTA)은 31.3%에서 32.6%로 1.3%포인트 상승합니다.
특히 경북(+1.8%포인트), 인천(+1.6%포인트), 경기(+1.5%포인트), 울산(+1.4%포인트), 대구(+1.4%포인트), 충남(+1.4%포인트)의 DTA 오름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이 가운데 가장 취약한 곳은 경북이었습니다. 경북의 DTA는 현재 39.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 DTA가 40.9%로 치솟으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40%를 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은 DSR이 10.6%로 전국 15개 시도(제주·세종 제외) 가운데 6위였습니다.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11.6%로 오르지만 DSR 수준이나 상승 폭이 전국 평균을 모두 밑도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DTA의 경우 서울은 26.0%로 전국 13위였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5% 떨어지면 DTA가 1%포인트 올라 27.0%가 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의 DTA 수준이나 상승 폭도 모두 전국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다만 서울의 DSR, DTA는 과소 추정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서울은 2016년 이후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는데, 분석 자료는 이를 반영하고 있지 못해서입니다.
연구진은 가계의 재무건전성은 대체로 양호한 수준이지만 최근 악화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아울러 앞으로 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재무건전성이 악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진은 "가계부채의 과도한 증가세를 둔화시키기 위해 주택 공급 시장 관리, 주택담보대출·집단대출 규제 강화, 투기 수요 억제가 필요하다"며 "지역 특수성을 고려한 가계부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현대경제연구원 오준범 선임연구원과 신유란 연구원은 '지역별 가계 재무건전성 현황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전남의 경우 금리 인상, 경북의 경우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가계부채 부실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2016년 재정패널을 바탕으로 이같이 추정했습니다.
대출 금리가 2016년보다 1%포인트 상승하면 전국 가계의 평균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DSR)은 13.3%에서 14.4%로 오르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그중에서도 경북(+1.7%포인트), 인천(+1.6%포인트), 대구(+1.3%포인트), 경기(+1.2%포인트), 전남(+1.2%포인트) 순으로 상승 폭이 컸습니다. 그러나 경북, 대구, 인천은 현재 DSR이 전국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금리가 상승해도 DSR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습니다. 반면 전남은 현재 DSR이 35.4%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데다 금리 상승 때에는 36.6%로 확대해 부실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5%포인트 하락할 때를 가정해보면 전국 가계의 자산 대비 부채비율(DTA)은 31.3%에서 32.6%로 1.3%포인트 상승합니다.
특히 경북(+1.8%포인트), 인천(+1.6%포인트), 경기(+1.5%포인트), 울산(+1.4%포인트), 대구(+1.4%포인트), 충남(+1.4%포인트)의 DTA 오름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이 가운데 가장 취약한 곳은 경북이었습니다. 경북의 DTA는 현재 39.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 DTA가 40.9%로 치솟으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40%를 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은 DSR이 10.6%로 전국 15개 시도(제주·세종 제외) 가운데 6위였습니다.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11.6%로 오르지만 DSR 수준이나 상승 폭이 전국 평균을 모두 밑도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DTA의 경우 서울은 26.0%로 전국 13위였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5% 떨어지면 DTA가 1%포인트 올라 27.0%가 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의 DTA 수준이나 상승 폭도 모두 전국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다만 서울의 DSR, DTA는 과소 추정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서울은 2016년 이후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는데, 분석 자료는 이를 반영하고 있지 못해서입니다.
연구진은 가계의 재무건전성은 대체로 양호한 수준이지만 최근 악화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아울러 앞으로 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재무건전성이 악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진은 "가계부채의 과도한 증가세를 둔화시키기 위해 주택 공급 시장 관리, 주택담보대출·집단대출 규제 강화, 투기 수요 억제가 필요하다"며 "지역 특수성을 고려한 가계부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리 인상시 전남 가계부채 위험…집값 하락 땐 경북 비상등”
-
- 입력 2018-11-04 11:31:59
- 수정2018-11-04 11:47:09
금리 인상으로 전남의 가계부채 부실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경북은 부동산 시장이 냉각할 때 가계부채 취약성이 두드러질 수 있는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 오준범 선임연구원과 신유란 연구원은 '지역별 가계 재무건전성 현황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전남의 경우 금리 인상, 경북의 경우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가계부채 부실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2016년 재정패널을 바탕으로 이같이 추정했습니다.
대출 금리가 2016년보다 1%포인트 상승하면 전국 가계의 평균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DSR)은 13.3%에서 14.4%로 오르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그중에서도 경북(+1.7%포인트), 인천(+1.6%포인트), 대구(+1.3%포인트), 경기(+1.2%포인트), 전남(+1.2%포인트) 순으로 상승 폭이 컸습니다. 그러나 경북, 대구, 인천은 현재 DSR이 전국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금리가 상승해도 DSR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습니다. 반면 전남은 현재 DSR이 35.4%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데다 금리 상승 때에는 36.6%로 확대해 부실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5%포인트 하락할 때를 가정해보면 전국 가계의 자산 대비 부채비율(DTA)은 31.3%에서 32.6%로 1.3%포인트 상승합니다.
특히 경북(+1.8%포인트), 인천(+1.6%포인트), 경기(+1.5%포인트), 울산(+1.4%포인트), 대구(+1.4%포인트), 충남(+1.4%포인트)의 DTA 오름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이 가운데 가장 취약한 곳은 경북이었습니다. 경북의 DTA는 현재 39.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 DTA가 40.9%로 치솟으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40%를 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은 DSR이 10.6%로 전국 15개 시도(제주·세종 제외) 가운데 6위였습니다.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11.6%로 오르지만 DSR 수준이나 상승 폭이 전국 평균을 모두 밑도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DTA의 경우 서울은 26.0%로 전국 13위였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5% 떨어지면 DTA가 1%포인트 올라 27.0%가 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의 DTA 수준이나 상승 폭도 모두 전국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다만 서울의 DSR, DTA는 과소 추정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서울은 2016년 이후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는데, 분석 자료는 이를 반영하고 있지 못해서입니다.
연구진은 가계의 재무건전성은 대체로 양호한 수준이지만 최근 악화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아울러 앞으로 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재무건전성이 악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진은 "가계부채의 과도한 증가세를 둔화시키기 위해 주택 공급 시장 관리, 주택담보대출·집단대출 규제 강화, 투기 수요 억제가 필요하다"며 "지역 특수성을 고려한 가계부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현대경제연구원 오준범 선임연구원과 신유란 연구원은 '지역별 가계 재무건전성 현황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전남의 경우 금리 인상, 경북의 경우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가계부채 부실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진은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2016년 재정패널을 바탕으로 이같이 추정했습니다.
대출 금리가 2016년보다 1%포인트 상승하면 전국 가계의 평균 총부채 원리금 상환비율(DSR)은 13.3%에서 14.4%로 오르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그중에서도 경북(+1.7%포인트), 인천(+1.6%포인트), 대구(+1.3%포인트), 경기(+1.2%포인트), 전남(+1.2%포인트) 순으로 상승 폭이 컸습니다. 그러나 경북, 대구, 인천은 현재 DSR이 전국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금리가 상승해도 DSR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습니다. 반면 전남은 현재 DSR이 35.4%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데다 금리 상승 때에는 36.6%로 확대해 부실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5%포인트 하락할 때를 가정해보면 전국 가계의 자산 대비 부채비율(DTA)은 31.3%에서 32.6%로 1.3%포인트 상승합니다.
특히 경북(+1.8%포인트), 인천(+1.6%포인트), 경기(+1.5%포인트), 울산(+1.4%포인트), 대구(+1.4%포인트), 충남(+1.4%포인트)의 DTA 오름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이 가운데 가장 취약한 곳은 경북이었습니다. 경북의 DTA는 현재 39.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 DTA가 40.9%로 치솟으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40%를 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은 DSR이 10.6%로 전국 15개 시도(제주·세종 제외) 가운데 6위였습니다.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11.6%로 오르지만 DSR 수준이나 상승 폭이 전국 평균을 모두 밑도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DTA의 경우 서울은 26.0%로 전국 13위였습니다. 부동산 가격이 5% 떨어지면 DTA가 1%포인트 올라 27.0%가 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의 DTA 수준이나 상승 폭도 모두 전국 평균보다 낮았습니다.
다만 서울의 DSR, DTA는 과소 추정됐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서울은 2016년 이후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는데, 분석 자료는 이를 반영하고 있지 못해서입니다.
연구진은 가계의 재무건전성은 대체로 양호한 수준이지만 최근 악화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아울러 앞으로 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재무건전성이 악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진은 "가계부채의 과도한 증가세를 둔화시키기 위해 주택 공급 시장 관리, 주택담보대출·집단대출 규제 강화, 투기 수요 억제가 필요하다"며 "지역 특수성을 고려한 가계부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
신선민 기자 freshmin@kbs.co.kr
신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