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상승 60주 만에 멈춤…‘상승률 0.00%’
입력 2018.11.08 (14:00)
수정 2018.11.08 (14: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지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이번 주 0.00%를 기록하며 60주 만에 보합 전환했습니다. 보유세 강화와 대출 규제 등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효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국감정원이 오늘(8일) 발표한 11월 1주(11월 5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자료를 보면, 서울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0.00%를 나타내 지난주 0.02%보다 0.02%p 하락했습니다. 서울 지역 아파트값이 상승도 하락도 없이 제자리걸음을 했다는 뜻으로, 지난해 9월 2주에 0.01%로 상승 전환한 이후 줄곧 이어져 오던 아파트값 상승이 60주 만에 멈춘 것입니다.
한강 이남 11개구의 경우 지난주 0.00%에서 이번 주 -0.02%로 소폭 떨어졌는데 강남3구(강남, 서초, 송파)의 경우 재건축 단지 위주로 하락세가 확산되며 3주 연속 하락했고, 강동구도 급등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된 고덕동 신축아파트의 매수세가 실종되며 17주 만에 보합으로 전환했습니다.
강북 14개구의 경우 지난주 0.04%에서 이번 주 0.03%로 상승률이 0.01%p 떨어졌는데 강북, 노원, 동대문, 성북구는 개발 호재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용산구는 호가 하락에도 매물이 누적되며 2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감정원은 서울 지역 아파트값이 보합 전환한 이유로 종부세 등 세제 강화, 임대사업자 혜택 축소, 대출규제 등을 담은 9.13 부동산 대책 등이 시장에 꾸준히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지난주 0.01%에서 이번 주 0.00%로 보합전환 했습니다. 수도권(0.04%→0.04%)은 상승폭 유지, 지방(-0.02%→-0.04%)은 하락폭 확대, 8개 도(-0.07%→-0.10%) 하락폭 확대, 세종(0.02%→0.01%) 상승폭 축소 등을 나타냈습니다.
시도별로는 대전(0.28%), 광주(0.12%), 전남(0.09%), 대구(0.09%), 경기(0.07%) 등은 상승했지만, 울산(-0.27%), 강원(-0.20%), 경남(-0.16%), 충북(-0.15%), 경북(-0.11%) 등은 하락했습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률은 이번 주 -0.04%를 기록해 지난주 -0.03%보다 하락폭이 확대됐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0.01%→-0.05%)과 서울(-0.01%→-0.03%)은 하락폭 확대, 지방(-0.04%→-0.04%)은 하락폭 유지를 나타냈습니다. 시도별로는 세종(1.32%), 대전(0.16%), 제주(0.07%), 전남(0.06%) 등은 상승한 반면, 울산(-0.36%), 충북(-0.20%), 경남(-0.13%), 경북(-0.09%) 등은 하락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감정원이 오늘(8일) 발표한 11월 1주(11월 5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자료를 보면, 서울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0.00%를 나타내 지난주 0.02%보다 0.02%p 하락했습니다. 서울 지역 아파트값이 상승도 하락도 없이 제자리걸음을 했다는 뜻으로, 지난해 9월 2주에 0.01%로 상승 전환한 이후 줄곧 이어져 오던 아파트값 상승이 60주 만에 멈춘 것입니다.
한강 이남 11개구의 경우 지난주 0.00%에서 이번 주 -0.02%로 소폭 떨어졌는데 강남3구(강남, 서초, 송파)의 경우 재건축 단지 위주로 하락세가 확산되며 3주 연속 하락했고, 강동구도 급등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된 고덕동 신축아파트의 매수세가 실종되며 17주 만에 보합으로 전환했습니다.
강북 14개구의 경우 지난주 0.04%에서 이번 주 0.03%로 상승률이 0.01%p 떨어졌는데 강북, 노원, 동대문, 성북구는 개발 호재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용산구는 호가 하락에도 매물이 누적되며 2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감정원은 서울 지역 아파트값이 보합 전환한 이유로 종부세 등 세제 강화, 임대사업자 혜택 축소, 대출규제 등을 담은 9.13 부동산 대책 등이 시장에 꾸준히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지난주 0.01%에서 이번 주 0.00%로 보합전환 했습니다. 수도권(0.04%→0.04%)은 상승폭 유지, 지방(-0.02%→-0.04%)은 하락폭 확대, 8개 도(-0.07%→-0.10%) 하락폭 확대, 세종(0.02%→0.01%) 상승폭 축소 등을 나타냈습니다.
시도별로는 대전(0.28%), 광주(0.12%), 전남(0.09%), 대구(0.09%), 경기(0.07%) 등은 상승했지만, 울산(-0.27%), 강원(-0.20%), 경남(-0.16%), 충북(-0.15%), 경북(-0.11%) 등은 하락했습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률은 이번 주 -0.04%를 기록해 지난주 -0.03%보다 하락폭이 확대됐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0.01%→-0.05%)과 서울(-0.01%→-0.03%)은 하락폭 확대, 지방(-0.04%→-0.04%)은 하락폭 유지를 나타냈습니다. 시도별로는 세종(1.32%), 대전(0.16%), 제주(0.07%), 전남(0.06%) 등은 상승한 반면, 울산(-0.36%), 충북(-0.20%), 경남(-0.13%), 경북(-0.09%) 등은 하락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아파트값 상승 60주 만에 멈춤…‘상승률 0.00%’
-
- 입력 2018-11-08 14:00:38
- 수정2018-11-08 14:01:46

서울 지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이번 주 0.00%를 기록하며 60주 만에 보합 전환했습니다. 보유세 강화와 대출 규제 등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효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국감정원이 오늘(8일) 발표한 11월 1주(11월 5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자료를 보면, 서울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0.00%를 나타내 지난주 0.02%보다 0.02%p 하락했습니다. 서울 지역 아파트값이 상승도 하락도 없이 제자리걸음을 했다는 뜻으로, 지난해 9월 2주에 0.01%로 상승 전환한 이후 줄곧 이어져 오던 아파트값 상승이 60주 만에 멈춘 것입니다.
한강 이남 11개구의 경우 지난주 0.00%에서 이번 주 -0.02%로 소폭 떨어졌는데 강남3구(강남, 서초, 송파)의 경우 재건축 단지 위주로 하락세가 확산되며 3주 연속 하락했고, 강동구도 급등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된 고덕동 신축아파트의 매수세가 실종되며 17주 만에 보합으로 전환했습니다.
강북 14개구의 경우 지난주 0.04%에서 이번 주 0.03%로 상승률이 0.01%p 떨어졌는데 강북, 노원, 동대문, 성북구는 개발 호재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용산구는 호가 하락에도 매물이 누적되며 2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감정원은 서울 지역 아파트값이 보합 전환한 이유로 종부세 등 세제 강화, 임대사업자 혜택 축소, 대출규제 등을 담은 9.13 부동산 대책 등이 시장에 꾸준히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지난주 0.01%에서 이번 주 0.00%로 보합전환 했습니다. 수도권(0.04%→0.04%)은 상승폭 유지, 지방(-0.02%→-0.04%)은 하락폭 확대, 8개 도(-0.07%→-0.10%) 하락폭 확대, 세종(0.02%→0.01%) 상승폭 축소 등을 나타냈습니다.
시도별로는 대전(0.28%), 광주(0.12%), 전남(0.09%), 대구(0.09%), 경기(0.07%) 등은 상승했지만, 울산(-0.27%), 강원(-0.20%), 경남(-0.16%), 충북(-0.15%), 경북(-0.11%) 등은 하락했습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률은 이번 주 -0.04%를 기록해 지난주 -0.03%보다 하락폭이 확대됐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0.01%→-0.05%)과 서울(-0.01%→-0.03%)은 하락폭 확대, 지방(-0.04%→-0.04%)은 하락폭 유지를 나타냈습니다. 시도별로는 세종(1.32%), 대전(0.16%), 제주(0.07%), 전남(0.06%) 등은 상승한 반면, 울산(-0.36%), 충북(-0.20%), 경남(-0.13%), 경북(-0.09%) 등은 하락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감정원이 오늘(8일) 발표한 11월 1주(11월 5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자료를 보면, 서울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0.00%를 나타내 지난주 0.02%보다 0.02%p 하락했습니다. 서울 지역 아파트값이 상승도 하락도 없이 제자리걸음을 했다는 뜻으로, 지난해 9월 2주에 0.01%로 상승 전환한 이후 줄곧 이어져 오던 아파트값 상승이 60주 만에 멈춘 것입니다.
한강 이남 11개구의 경우 지난주 0.00%에서 이번 주 -0.02%로 소폭 떨어졌는데 강남3구(강남, 서초, 송파)의 경우 재건축 단지 위주로 하락세가 확산되며 3주 연속 하락했고, 강동구도 급등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된 고덕동 신축아파트의 매수세가 실종되며 17주 만에 보합으로 전환했습니다.
강북 14개구의 경우 지난주 0.04%에서 이번 주 0.03%로 상승률이 0.01%p 떨어졌는데 강북, 노원, 동대문, 성북구는 개발 호재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용산구는 호가 하락에도 매물이 누적되며 2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감정원은 서울 지역 아파트값이 보합 전환한 이유로 종부세 등 세제 강화, 임대사업자 혜택 축소, 대출규제 등을 담은 9.13 부동산 대책 등이 시장에 꾸준히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습니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도 지난주 0.01%에서 이번 주 0.00%로 보합전환 했습니다. 수도권(0.04%→0.04%)은 상승폭 유지, 지방(-0.02%→-0.04%)은 하락폭 확대, 8개 도(-0.07%→-0.10%) 하락폭 확대, 세종(0.02%→0.01%) 상승폭 축소 등을 나타냈습니다.
시도별로는 대전(0.28%), 광주(0.12%), 전남(0.09%), 대구(0.09%), 경기(0.07%) 등은 상승했지만, 울산(-0.27%), 강원(-0.20%), 경남(-0.16%), 충북(-0.15%), 경북(-0.11%) 등은 하락했습니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상승률은 이번 주 -0.04%를 기록해 지난주 -0.03%보다 하락폭이 확대됐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0.01%→-0.05%)과 서울(-0.01%→-0.03%)은 하락폭 확대, 지방(-0.04%→-0.04%)은 하락폭 유지를 나타냈습니다. 시도별로는 세종(1.32%), 대전(0.16%), 제주(0.07%), 전남(0.06%) 등은 상승한 반면, 울산(-0.36%), 충북(-0.20%), 경남(-0.13%), 경북(-0.09%) 등은 하락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오대성 기자 ohwhy@kbs.co.kr
오대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