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해설] 고시원 화재 대책 서둘러야

입력 2018.11.12 (07:42) 수정 2018.11.12 (07: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재성 해설위원]

20여명의 사상자를 낸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고시원 화재는 우리사회의 안전불감증의 민낯을 또 한 번 드러냈습니다. 과거 대형 화재에서 지적됐던 문제점들이 고스란히 되풀이 된 것입니다. 해당 건물은 스프링클러가 없어 피해를 키웠습니다. 비상벨과 비상탈출구, 탈출용 완강기는 설치됐지만 무용지물이었습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그 이유가 뭔지, 화재감지기는 작동됐는지 등을 철저히 밝혀내야 합니다.

고시원은 일반적으로 약 5㎡(1.5평)의 방이 연이어 붙어 있고 복도가 좁은 구조라 화재에 취약합니다. 그래서 초기 진화가 더 중요합니다. 지난 2월과 6월 경기도 파주와 서울 용산 고시원 화재는 10여분 만에 진화돼 사상자가 없었습니다. 스프링클러가 즉시 작동됐기 때문입니다. 지난달 13일 부산과 21일 경기도 고양의 고시원 화재도 스프링클러가 작동해 인명피해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종로 고시원은 스프링클러가 없어 참사를 불러왔습니다. 2008년 10월 방화로 6명이 숨지고 7명이 다친 서울 논현동 고시원 화재도 스프링클러가 없어 큰 사고로 번졌습니다. 소방청의 '최근 5년간 다중이용업소 화재 현황'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다중이용업소 화재는 3천여 건이었습니다. 그 중 8.3%인 252건이 고시원에서 발생했습니다. 화재위험이 그만큼 높다는 얘깁니다. 임대수익을 늘리려고 방을 여러 개로 쪼개는 것도 화재 위험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과 광역시에서 적발된 원룸·고시원 불법 방 쪼개기는 최근 5년간 한 해 평균 천9백여 건에 달했습니다. 그 과정에 환기시설과 대피로가 줄고 내벽에 석고보드가 쓰여 화재위험은 더 커집니다.

고시원 등 다중 생활 시설에 대해 스프링클러 설치를 의무화해야 합니다. 오래된 기존 건물의 소방 시설 개선을 위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자금을 장기 저리로 지원하는 방안도 필요합니다. 피난 시설 기준도 훨씬 강화해야 합니다. 모두 생명과 직결되는 조치들이고 돈과 의지가 수반돼야 할 사안입니다. 그러나 어차피 가야 할 방향이고 그 조치는 빠를수록 좋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뉴스해설] 고시원 화재 대책 서둘러야
    • 입력 2018-11-12 07:44:50
    • 수정2018-11-12 07:57:08
    뉴스광장
[배재성 해설위원]

20여명의 사상자를 낸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고시원 화재는 우리사회의 안전불감증의 민낯을 또 한 번 드러냈습니다. 과거 대형 화재에서 지적됐던 문제점들이 고스란히 되풀이 된 것입니다. 해당 건물은 스프링클러가 없어 피해를 키웠습니다. 비상벨과 비상탈출구, 탈출용 완강기는 설치됐지만 무용지물이었습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그 이유가 뭔지, 화재감지기는 작동됐는지 등을 철저히 밝혀내야 합니다.

고시원은 일반적으로 약 5㎡(1.5평)의 방이 연이어 붙어 있고 복도가 좁은 구조라 화재에 취약합니다. 그래서 초기 진화가 더 중요합니다. 지난 2월과 6월 경기도 파주와 서울 용산 고시원 화재는 10여분 만에 진화돼 사상자가 없었습니다. 스프링클러가 즉시 작동됐기 때문입니다. 지난달 13일 부산과 21일 경기도 고양의 고시원 화재도 스프링클러가 작동해 인명피해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종로 고시원은 스프링클러가 없어 참사를 불러왔습니다. 2008년 10월 방화로 6명이 숨지고 7명이 다친 서울 논현동 고시원 화재도 스프링클러가 없어 큰 사고로 번졌습니다. 소방청의 '최근 5년간 다중이용업소 화재 현황'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다중이용업소 화재는 3천여 건이었습니다. 그 중 8.3%인 252건이 고시원에서 발생했습니다. 화재위험이 그만큼 높다는 얘깁니다. 임대수익을 늘리려고 방을 여러 개로 쪼개는 것도 화재 위험을 높이는 요인입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과 광역시에서 적발된 원룸·고시원 불법 방 쪼개기는 최근 5년간 한 해 평균 천9백여 건에 달했습니다. 그 과정에 환기시설과 대피로가 줄고 내벽에 석고보드가 쓰여 화재위험은 더 커집니다.

고시원 등 다중 생활 시설에 대해 스프링클러 설치를 의무화해야 합니다. 오래된 기존 건물의 소방 시설 개선을 위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자금을 장기 저리로 지원하는 방안도 필요합니다. 피난 시설 기준도 훨씬 강화해야 합니다. 모두 생명과 직결되는 조치들이고 돈과 의지가 수반돼야 할 사안입니다. 그러나 어차피 가야 할 방향이고 그 조치는 빠를수록 좋습니다. 뉴스해설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