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탐사K] ② 교도소 ‘독방 거래’ 추가 확인…교정 당국 몰랐다?
입력 2018.11.13 (21:04) 수정 2018.11.13 (22:18) 뉴스 9
[앵커]
독방 거래는 물론 이감이나 가석방까지도 돈만 내면 가능하게 해준다는 브로커는 다름 아닌 전직 판사출신 김상채 변호사입니다.
이런 뒷거래는 교정 당국의 협조 없이는 아예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런데 김상채 변호사 말고도 또 다른 교도소 독방 거래가 추가로 더 있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세중 기자입니다.
[리포트]
의뢰인으로 가장한 취재진에게 김상채 변호사는 교정 당국의 관련성을 여러 차례 언급했습니다.
["교정본부에 문의를 한단 말이야. 옮겨줄 수 있는지 어쩐지. 가석방을 어떻게 될 건지. 문의를 하면 그쪽에서 가이드라인을 딱 쳐준단 말이야."]
독방 거래에 교도소 측이 개입한 정황은 검찰 내사 과정에서도 드러났습니다.
수감자 이 씨는 변호사 접견 후 교도소 측 면담 때 "이유 없이 사람을 때리고 싶고, 어떨 때는 죽여버리고 싶다"고 쓰라고 교도관이 알려줬다고 털어놨습니다.
교도소에서 수감자가 원한다고 방을 옮겨주는 일은 거의 없다는 게 정설입니다.
[강성준/천주교인권위원회 활동가 : "(수감자의) 청원 같은 거는 거의 쓸모가 없다라고 널리 사실 소문처럼 퍼져 있습니다. 해줄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겠죠."]
취재진은 독방 거래가 이뤄진 2016년 당시 남부구치소장을 지낸 두 사람을 만나 물어봤습니다.
[2016년 상반기 구치소장 : "(독방으로 옮기는 건) 소장이 거의 기억은 못 하죠. 개입을 하거나 지시를 할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하지만, 소장님 결재가 있어야 되지 않습니까?) 결재가 있겠죠."]
두번째 구치소장도 관련성을 부인했지만 당시 구치소 내에서 그런 소문이 퍼져 있었다는 사실은 인정했습니다.
[2016년 하반기 구치소장 : "(로비가 이뤄진다는 소문) 그런 게 있다는 걸 제가 알았어요. 그 당시에 제가 (보안계장한테) 한 번 파악을 해보라고 했어요."]
독방 거래가 과연 김상채 변호사만 할 수 있었던 것일까.
취재진은 비슷한 시기 남부구치소에 출소한 또 다른 수감자 박 모씨를 찾아냈습니다.
박 씨도 수감자들 얘기를 듣고 변호사를 접견했고 5백만 원을 주고 독방으로 옮겼다고 털어놨습니다.
이 변호사는 김상채 변호사와는 다른 사람입니다.
[박OO/2016년 초 남부구치소 출소/음성변조 : "천만 원까지 주고 방을 옮겨야되냐 그랬더니 그러면 자기가 5백 선에서 해결해보겠다. 한 열흘 정도 지난 다음에 (교도관이) 내 수감번호를 부르면서 이름을 부르더니 '짐 싸세요' 그러더라고..."]
박 씨는 교정 비리의 소문이 수감자들 사이에 널리 퍼져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박OO/2016년 초 남부구치소 출소/음성변조 : "(재소자들이 공공연하게 안에서 얘기한다는 거예요?) 다 알죠. 한 달 일찍 나가려면 천만 원, 2천만 원 이렇게 주고 나가야 되는데 돈 있는 사람들이야 물론 그렇게 할 수 있다고 하지만 그 안에 들어가 있는 사람들은 여유가 없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가 없죠."]
장막에 가려진 교정 당국의 비리는 수사가 아니면 밝히기 힘듭니다.
서울 남부지검은 탐사보도부 보도가 나가자 중단됐던 조사를 다시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독방 거래는 물론 이감이나 가석방까지도 돈만 내면 가능하게 해준다는 브로커는 다름 아닌 전직 판사출신 김상채 변호사입니다.
이런 뒷거래는 교정 당국의 협조 없이는 아예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런데 김상채 변호사 말고도 또 다른 교도소 독방 거래가 추가로 더 있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세중 기자입니다.
[리포트]
의뢰인으로 가장한 취재진에게 김상채 변호사는 교정 당국의 관련성을 여러 차례 언급했습니다.
["교정본부에 문의를 한단 말이야. 옮겨줄 수 있는지 어쩐지. 가석방을 어떻게 될 건지. 문의를 하면 그쪽에서 가이드라인을 딱 쳐준단 말이야."]
독방 거래에 교도소 측이 개입한 정황은 검찰 내사 과정에서도 드러났습니다.
수감자 이 씨는 변호사 접견 후 교도소 측 면담 때 "이유 없이 사람을 때리고 싶고, 어떨 때는 죽여버리고 싶다"고 쓰라고 교도관이 알려줬다고 털어놨습니다.
교도소에서 수감자가 원한다고 방을 옮겨주는 일은 거의 없다는 게 정설입니다.
[강성준/천주교인권위원회 활동가 : "(수감자의) 청원 같은 거는 거의 쓸모가 없다라고 널리 사실 소문처럼 퍼져 있습니다. 해줄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겠죠."]
취재진은 독방 거래가 이뤄진 2016년 당시 남부구치소장을 지낸 두 사람을 만나 물어봤습니다.
[2016년 상반기 구치소장 : "(독방으로 옮기는 건) 소장이 거의 기억은 못 하죠. 개입을 하거나 지시를 할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하지만, 소장님 결재가 있어야 되지 않습니까?) 결재가 있겠죠."]
두번째 구치소장도 관련성을 부인했지만 당시 구치소 내에서 그런 소문이 퍼져 있었다는 사실은 인정했습니다.
[2016년 하반기 구치소장 : "(로비가 이뤄진다는 소문) 그런 게 있다는 걸 제가 알았어요. 그 당시에 제가 (보안계장한테) 한 번 파악을 해보라고 했어요."]
독방 거래가 과연 김상채 변호사만 할 수 있었던 것일까.
취재진은 비슷한 시기 남부구치소에 출소한 또 다른 수감자 박 모씨를 찾아냈습니다.
박 씨도 수감자들 얘기를 듣고 변호사를 접견했고 5백만 원을 주고 독방으로 옮겼다고 털어놨습니다.
이 변호사는 김상채 변호사와는 다른 사람입니다.
[박OO/2016년 초 남부구치소 출소/음성변조 : "천만 원까지 주고 방을 옮겨야되냐 그랬더니 그러면 자기가 5백 선에서 해결해보겠다. 한 열흘 정도 지난 다음에 (교도관이) 내 수감번호를 부르면서 이름을 부르더니 '짐 싸세요' 그러더라고..."]
박 씨는 교정 비리의 소문이 수감자들 사이에 널리 퍼져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박OO/2016년 초 남부구치소 출소/음성변조 : "(재소자들이 공공연하게 안에서 얘기한다는 거예요?) 다 알죠. 한 달 일찍 나가려면 천만 원, 2천만 원 이렇게 주고 나가야 되는데 돈 있는 사람들이야 물론 그렇게 할 수 있다고 하지만 그 안에 들어가 있는 사람들은 여유가 없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가 없죠."]
장막에 가려진 교정 당국의 비리는 수사가 아니면 밝히기 힘듭니다.
서울 남부지검은 탐사보도부 보도가 나가자 중단됐던 조사를 다시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 [탐사K] ② 교도소 ‘독방 거래’ 추가 확인…교정 당국 몰랐다?
-
- 입력 2018-11-13 21:08:35
- 수정2018-11-13 22:18:25

[앵커]
독방 거래는 물론 이감이나 가석방까지도 돈만 내면 가능하게 해준다는 브로커는 다름 아닌 전직 판사출신 김상채 변호사입니다.
이런 뒷거래는 교정 당국의 협조 없이는 아예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런데 김상채 변호사 말고도 또 다른 교도소 독방 거래가 추가로 더 있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세중 기자입니다.
[리포트]
의뢰인으로 가장한 취재진에게 김상채 변호사는 교정 당국의 관련성을 여러 차례 언급했습니다.
["교정본부에 문의를 한단 말이야. 옮겨줄 수 있는지 어쩐지. 가석방을 어떻게 될 건지. 문의를 하면 그쪽에서 가이드라인을 딱 쳐준단 말이야."]
독방 거래에 교도소 측이 개입한 정황은 검찰 내사 과정에서도 드러났습니다.
수감자 이 씨는 변호사 접견 후 교도소 측 면담 때 "이유 없이 사람을 때리고 싶고, 어떨 때는 죽여버리고 싶다"고 쓰라고 교도관이 알려줬다고 털어놨습니다.
교도소에서 수감자가 원한다고 방을 옮겨주는 일은 거의 없다는 게 정설입니다.
[강성준/천주교인권위원회 활동가 : "(수감자의) 청원 같은 거는 거의 쓸모가 없다라고 널리 사실 소문처럼 퍼져 있습니다. 해줄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겠죠."]
취재진은 독방 거래가 이뤄진 2016년 당시 남부구치소장을 지낸 두 사람을 만나 물어봤습니다.
[2016년 상반기 구치소장 : "(독방으로 옮기는 건) 소장이 거의 기억은 못 하죠. 개입을 하거나 지시를 할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하지만, 소장님 결재가 있어야 되지 않습니까?) 결재가 있겠죠."]
두번째 구치소장도 관련성을 부인했지만 당시 구치소 내에서 그런 소문이 퍼져 있었다는 사실은 인정했습니다.
[2016년 하반기 구치소장 : "(로비가 이뤄진다는 소문) 그런 게 있다는 걸 제가 알았어요. 그 당시에 제가 (보안계장한테) 한 번 파악을 해보라고 했어요."]
독방 거래가 과연 김상채 변호사만 할 수 있었던 것일까.
취재진은 비슷한 시기 남부구치소에 출소한 또 다른 수감자 박 모씨를 찾아냈습니다.
박 씨도 수감자들 얘기를 듣고 변호사를 접견했고 5백만 원을 주고 독방으로 옮겼다고 털어놨습니다.
이 변호사는 김상채 변호사와는 다른 사람입니다.
[박OO/2016년 초 남부구치소 출소/음성변조 : "천만 원까지 주고 방을 옮겨야되냐 그랬더니 그러면 자기가 5백 선에서 해결해보겠다. 한 열흘 정도 지난 다음에 (교도관이) 내 수감번호를 부르면서 이름을 부르더니 '짐 싸세요' 그러더라고..."]
박 씨는 교정 비리의 소문이 수감자들 사이에 널리 퍼져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박OO/2016년 초 남부구치소 출소/음성변조 : "(재소자들이 공공연하게 안에서 얘기한다는 거예요?) 다 알죠. 한 달 일찍 나가려면 천만 원, 2천만 원 이렇게 주고 나가야 되는데 돈 있는 사람들이야 물론 그렇게 할 수 있다고 하지만 그 안에 들어가 있는 사람들은 여유가 없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가 없죠."]
장막에 가려진 교정 당국의 비리는 수사가 아니면 밝히기 힘듭니다.
서울 남부지검은 탐사보도부 보도가 나가자 중단됐던 조사를 다시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독방 거래는 물론 이감이나 가석방까지도 돈만 내면 가능하게 해준다는 브로커는 다름 아닌 전직 판사출신 김상채 변호사입니다.
이런 뒷거래는 교정 당국의 협조 없이는 아예 불가능한 일입니다.
그런데 김상채 변호사 말고도 또 다른 교도소 독방 거래가 추가로 더 있었던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이세중 기자입니다.
[리포트]
의뢰인으로 가장한 취재진에게 김상채 변호사는 교정 당국의 관련성을 여러 차례 언급했습니다.
["교정본부에 문의를 한단 말이야. 옮겨줄 수 있는지 어쩐지. 가석방을 어떻게 될 건지. 문의를 하면 그쪽에서 가이드라인을 딱 쳐준단 말이야."]
독방 거래에 교도소 측이 개입한 정황은 검찰 내사 과정에서도 드러났습니다.
수감자 이 씨는 변호사 접견 후 교도소 측 면담 때 "이유 없이 사람을 때리고 싶고, 어떨 때는 죽여버리고 싶다"고 쓰라고 교도관이 알려줬다고 털어놨습니다.
교도소에서 수감자가 원한다고 방을 옮겨주는 일은 거의 없다는 게 정설입니다.
[강성준/천주교인권위원회 활동가 : "(수감자의) 청원 같은 거는 거의 쓸모가 없다라고 널리 사실 소문처럼 퍼져 있습니다. 해줄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겠죠."]
취재진은 독방 거래가 이뤄진 2016년 당시 남부구치소장을 지낸 두 사람을 만나 물어봤습니다.
[2016년 상반기 구치소장 : "(독방으로 옮기는 건) 소장이 거의 기억은 못 하죠. 개입을 하거나 지시를 할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하지만, 소장님 결재가 있어야 되지 않습니까?) 결재가 있겠죠."]
두번째 구치소장도 관련성을 부인했지만 당시 구치소 내에서 그런 소문이 퍼져 있었다는 사실은 인정했습니다.
[2016년 하반기 구치소장 : "(로비가 이뤄진다는 소문) 그런 게 있다는 걸 제가 알았어요. 그 당시에 제가 (보안계장한테) 한 번 파악을 해보라고 했어요."]
독방 거래가 과연 김상채 변호사만 할 수 있었던 것일까.
취재진은 비슷한 시기 남부구치소에 출소한 또 다른 수감자 박 모씨를 찾아냈습니다.
박 씨도 수감자들 얘기를 듣고 변호사를 접견했고 5백만 원을 주고 독방으로 옮겼다고 털어놨습니다.
이 변호사는 김상채 변호사와는 다른 사람입니다.
[박OO/2016년 초 남부구치소 출소/음성변조 : "천만 원까지 주고 방을 옮겨야되냐 그랬더니 그러면 자기가 5백 선에서 해결해보겠다. 한 열흘 정도 지난 다음에 (교도관이) 내 수감번호를 부르면서 이름을 부르더니 '짐 싸세요' 그러더라고..."]
박 씨는 교정 비리의 소문이 수감자들 사이에 널리 퍼져있었다고 말했습니다.
[박OO/2016년 초 남부구치소 출소/음성변조 : "(재소자들이 공공연하게 안에서 얘기한다는 거예요?) 다 알죠. 한 달 일찍 나가려면 천만 원, 2천만 원 이렇게 주고 나가야 되는데 돈 있는 사람들이야 물론 그렇게 할 수 있다고 하지만 그 안에 들어가 있는 사람들은 여유가 없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렇게 할 수가 없죠."]
장막에 가려진 교정 당국의 비리는 수사가 아니면 밝히기 힘듭니다.
서울 남부지검은 탐사보도부 보도가 나가자 중단됐던 조사를 다시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세중 기자 center@kbs.co.kr
이세중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