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중미 캐러밴 선발대 美 국경 도착…‘긴장 고조’
입력 2018.11.15 (06:23) 수정 2018.11.15 (06:31) 뉴스광장 1부
[앵커]
미국 정착을 희망하는 중미 출신 이민자 행렬, 즉 캐러밴 선발대가 힘겨운 여정 끝에 미국 국경에 도착했습니다.
미국은 군 병력을 투입해 철조망을 치고 도로까지 폐쇄하면서 밀입국 차단에 나섰는데요, 국경 지역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로스앤젤레스 최동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경 장벽을 기어오른 중미출신 이민자들이 손을 들고 환호성을 지릅니다.
이 장벽만 넘으면 꿈에도 그리던 미국 땅입니다.
중미 출신 캐러밴 선발대 350명이 미국 샌디에이고와 맞닿은 멕시코 티후아나에 도착했습니다.
[중미 출신 이민자 : "무사히 이곳에 도착하니, 지금까지 힘든 여정이 생각납니다. 이제 미국 정부가 망명을 받아 주기를 바랍니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목숨을 걸고 3천 600Km 힘겨운 길을 달려왔습니다.
하지만 미국 장벽은 높고 입국은 막막하기만 합니다.
미 국경세관단속국은 국경의 일부 차선을 폐쇄했고, 수 일전 급파된 군병력은 국경순찰대와 함께 철조망을 쳐놓고 삼엄한 경계를 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불법 이민자들의 망명 신청은 받지 않겠다고 포고문을 발표했습니다.
매티스 국방장관은 오늘 남부 국경을 방문해 경계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제임스 매티스/미국 국방장관 : "국경의 안전은 국가 안보의 일부입니다. 군인들은 국경 순찰을 돕기 위해 배치됐습니다."]
하지만 이런 국경의 긴장감은 서막에 불과합니다.
5천여 명의 캐러밴 본진이 현지시각 지난 13일 멕시코시티에서 출발해 미국 남부 국경을 향해 북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최동혁입니다.
미국 정착을 희망하는 중미 출신 이민자 행렬, 즉 캐러밴 선발대가 힘겨운 여정 끝에 미국 국경에 도착했습니다.
미국은 군 병력을 투입해 철조망을 치고 도로까지 폐쇄하면서 밀입국 차단에 나섰는데요, 국경 지역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로스앤젤레스 최동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경 장벽을 기어오른 중미출신 이민자들이 손을 들고 환호성을 지릅니다.
이 장벽만 넘으면 꿈에도 그리던 미국 땅입니다.
중미 출신 캐러밴 선발대 350명이 미국 샌디에이고와 맞닿은 멕시코 티후아나에 도착했습니다.
[중미 출신 이민자 : "무사히 이곳에 도착하니, 지금까지 힘든 여정이 생각납니다. 이제 미국 정부가 망명을 받아 주기를 바랍니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목숨을 걸고 3천 600Km 힘겨운 길을 달려왔습니다.
하지만 미국 장벽은 높고 입국은 막막하기만 합니다.
미 국경세관단속국은 국경의 일부 차선을 폐쇄했고, 수 일전 급파된 군병력은 국경순찰대와 함께 철조망을 쳐놓고 삼엄한 경계를 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불법 이민자들의 망명 신청은 받지 않겠다고 포고문을 발표했습니다.
매티스 국방장관은 오늘 남부 국경을 방문해 경계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제임스 매티스/미국 국방장관 : "국경의 안전은 국가 안보의 일부입니다. 군인들은 국경 순찰을 돕기 위해 배치됐습니다."]
하지만 이런 국경의 긴장감은 서막에 불과합니다.
5천여 명의 캐러밴 본진이 현지시각 지난 13일 멕시코시티에서 출발해 미국 남부 국경을 향해 북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최동혁입니다.
- 중미 캐러밴 선발대 美 국경 도착…‘긴장 고조’
-
- 입력 2018-11-15 06:24:59
- 수정2018-11-15 06:31:48

[앵커]
미국 정착을 희망하는 중미 출신 이민자 행렬, 즉 캐러밴 선발대가 힘겨운 여정 끝에 미국 국경에 도착했습니다.
미국은 군 병력을 투입해 철조망을 치고 도로까지 폐쇄하면서 밀입국 차단에 나섰는데요, 국경 지역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로스앤젤레스 최동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경 장벽을 기어오른 중미출신 이민자들이 손을 들고 환호성을 지릅니다.
이 장벽만 넘으면 꿈에도 그리던 미국 땅입니다.
중미 출신 캐러밴 선발대 350명이 미국 샌디에이고와 맞닿은 멕시코 티후아나에 도착했습니다.
[중미 출신 이민자 : "무사히 이곳에 도착하니, 지금까지 힘든 여정이 생각납니다. 이제 미국 정부가 망명을 받아 주기를 바랍니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목숨을 걸고 3천 600Km 힘겨운 길을 달려왔습니다.
하지만 미국 장벽은 높고 입국은 막막하기만 합니다.
미 국경세관단속국은 국경의 일부 차선을 폐쇄했고, 수 일전 급파된 군병력은 국경순찰대와 함께 철조망을 쳐놓고 삼엄한 경계를 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불법 이민자들의 망명 신청은 받지 않겠다고 포고문을 발표했습니다.
매티스 국방장관은 오늘 남부 국경을 방문해 경계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제임스 매티스/미국 국방장관 : "국경의 안전은 국가 안보의 일부입니다. 군인들은 국경 순찰을 돕기 위해 배치됐습니다."]
하지만 이런 국경의 긴장감은 서막에 불과합니다.
5천여 명의 캐러밴 본진이 현지시각 지난 13일 멕시코시티에서 출발해 미국 남부 국경을 향해 북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최동혁입니다.
미국 정착을 희망하는 중미 출신 이민자 행렬, 즉 캐러밴 선발대가 힘겨운 여정 끝에 미국 국경에 도착했습니다.
미국은 군 병력을 투입해 철조망을 치고 도로까지 폐쇄하면서 밀입국 차단에 나섰는데요, 국경 지역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로스앤젤레스 최동혁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국경 장벽을 기어오른 중미출신 이민자들이 손을 들고 환호성을 지릅니다.
이 장벽만 넘으면 꿈에도 그리던 미국 땅입니다.
중미 출신 캐러밴 선발대 350명이 미국 샌디에이고와 맞닿은 멕시코 티후아나에 도착했습니다.
[중미 출신 이민자 : "무사히 이곳에 도착하니, 지금까지 힘든 여정이 생각납니다. 이제 미국 정부가 망명을 받아 주기를 바랍니다."]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며 목숨을 걸고 3천 600Km 힘겨운 길을 달려왔습니다.
하지만 미국 장벽은 높고 입국은 막막하기만 합니다.
미 국경세관단속국은 국경의 일부 차선을 폐쇄했고, 수 일전 급파된 군병력은 국경순찰대와 함께 철조망을 쳐놓고 삼엄한 경계를 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불법 이민자들의 망명 신청은 받지 않겠다고 포고문을 발표했습니다.
매티스 국방장관은 오늘 남부 국경을 방문해 경계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제임스 매티스/미국 국방장관 : "국경의 안전은 국가 안보의 일부입니다. 군인들은 국경 순찰을 돕기 위해 배치됐습니다."]
하지만 이런 국경의 긴장감은 서막에 불과합니다.
5천여 명의 캐러밴 본진이 현지시각 지난 13일 멕시코시티에서 출발해 미국 남부 국경을 향해 북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로스앤젤레스에서 KBS 뉴스 최동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최동혁 기자 vivadong@kbs.co.kr
최동혁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