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②> 산촌생태마을, 의지도 관리 감독도 부족

입력 2018.11.15 (21:51) 수정 2018.11.15 (23:1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방금 보신 것처럼
산촌생태마을 하나를 짓는데 든 돈이
평균 14억 원에 달합니다.
그런데, 연소득은
보통 3천만 원 정도에 그치고 있습니다.
심지어 이 마을의 40% 정도는
소득도 방문객도 없습니다.
왜 이렇게 된 걸까요?
계속해서
송승룡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관광객을 위한 숙박시설과
마을 공동 작업장을 갖춘
산촌생태마을입니다.

작업장은 텅 비어 있고,
숙박시설은 문이 잠겨 있습니다.

숙박시설 관리자(음성변조)
젊은 사람이 없고, 시골은 인재가 없잖아. 리더가 없어. 우리 집사람하고 나하고 여태까지 끌고 온 거야.

심지어
관광객은 물론 마을 주민들까지
이 사업을 외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을주민(음성변조)
저는 우리는 그게 없어요. 거기에 대해서 아는 것도 없고.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이 시작된 것은
1995년.

주민 소득 창출이란 미명하에
전국 각지에서
비슷비슷한 사업이 추진됐습니다.

어딜가나 숙박시설과 산나물 저장고,
간단한 체험 시설이 주를 이뤘습니다.

마을주민(음성변조)
특색이 없이 전국 단위로 산촌생태마을이 똑같아 버린 거지. 비슷한 시설만 한 거지 이렇게요. 어쩌다 한두개는 살았겠지만 거의 다 죽었지.

제도적인 뒷받침도
제대로 안됐습니다.

마을주민(음성변조)
(산촌시설은) 여관이나 펜션처럼 (영업시설) 지정이 안 됐기 때문에 홍보도 못해. 숙박을 해서는 돈을 벌 수가 없어.

관리 감독은 소홀했습니다.

중앙 정부는 멀다고 외면했고,
지방자치단체는
법상으로 보조금 환수가 가능한 기간인
5년 동안에만 신경을 썼습니다.

그나마도 불법 행위 감시였고,
마을별 방문객 수나 수익 집계는
지난해에야 시작됐습니다.

관련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음성변조)
그런 (관리감독) 조항을 두질 않았어요. 그러니까 누구하나 책임을 물을수가 없잖아요. 마을 전체에 물을 수도 없는거고.

애초부터 사업의 발상 자체가
말이 안되는 것이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관련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음성변조)
공동시설을 만들어서 공동의 이익을 창출해서 그 마을에 환원한다는 생각이 좀 잘못되지 않았나? 내 것이 아니니까, 여러사람이 소유하다 보니까. 애착도 적고.

돈이 안되니 외면받고,
외면받으니 먼지만 더 쌓여가는
산촌생태마을.
과연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을지
미래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KBS뉴스 송승룡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②> 산촌생태마을, 의지도 관리 감독도 부족
    • 입력 2018-11-15 21:51:07
    • 수정2018-11-15 23:13:45
    뉴스9(원주)
[앵커멘트] 방금 보신 것처럼 산촌생태마을 하나를 짓는데 든 돈이 평균 14억 원에 달합니다. 그런데, 연소득은 보통 3천만 원 정도에 그치고 있습니다. 심지어 이 마을의 40% 정도는 소득도 방문객도 없습니다. 왜 이렇게 된 걸까요? 계속해서 송승룡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관광객을 위한 숙박시설과 마을 공동 작업장을 갖춘 산촌생태마을입니다. 작업장은 텅 비어 있고, 숙박시설은 문이 잠겨 있습니다. 숙박시설 관리자(음성변조) 젊은 사람이 없고, 시골은 인재가 없잖아. 리더가 없어. 우리 집사람하고 나하고 여태까지 끌고 온 거야. 심지어 관광객은 물론 마을 주민들까지 이 사업을 외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을주민(음성변조) 저는 우리는 그게 없어요. 거기에 대해서 아는 것도 없고.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이 시작된 것은 1995년. 주민 소득 창출이란 미명하에 전국 각지에서 비슷비슷한 사업이 추진됐습니다. 어딜가나 숙박시설과 산나물 저장고, 간단한 체험 시설이 주를 이뤘습니다. 마을주민(음성변조) 특색이 없이 전국 단위로 산촌생태마을이 똑같아 버린 거지. 비슷한 시설만 한 거지 이렇게요. 어쩌다 한두개는 살았겠지만 거의 다 죽었지. 제도적인 뒷받침도 제대로 안됐습니다. 마을주민(음성변조) (산촌시설은) 여관이나 펜션처럼 (영업시설) 지정이 안 됐기 때문에 홍보도 못해. 숙박을 해서는 돈을 벌 수가 없어. 관리 감독은 소홀했습니다. 중앙 정부는 멀다고 외면했고, 지방자치단체는 법상으로 보조금 환수가 가능한 기간인 5년 동안에만 신경을 썼습니다. 그나마도 불법 행위 감시였고, 마을별 방문객 수나 수익 집계는 지난해에야 시작됐습니다. 관련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음성변조) 그런 (관리감독) 조항을 두질 않았어요. 그러니까 누구하나 책임을 물을수가 없잖아요. 마을 전체에 물을 수도 없는거고. 애초부터 사업의 발상 자체가 말이 안되는 것이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관련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음성변조) 공동시설을 만들어서 공동의 이익을 창출해서 그 마을에 환원한다는 생각이 좀 잘못되지 않았나? 내 것이 아니니까, 여러사람이 소유하다 보니까. 애착도 적고. 돈이 안되니 외면받고, 외면받으니 먼지만 더 쌓여가는 산촌생태마을. 과연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을지 미래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KBS뉴스 송승룡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원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