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지난 지금도 돌아갈 집 없는 이재민들

입력 2018.11.15 (23: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포항에서
규모 5.4의 강진이 난 지
오늘로 1년이 됐습니다.
살던 집이 부서져
컨테이너와 대피소 등으로
거처를 옮긴 주민들이
5백 가구가 넘었는데요.
1년이 지난 지금,
이재민들은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요.

정혜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비좁고 허술한 컨테이너들,

1년 전 지진으로
집을 잃은 주민들이 지내고 있는
임시 시설입니다.

[이펙트1]"이렇게 해가지고 밥이라도 제대로 해 먹을 수 있겠어요?"

부서진 집이 철거되자
김주태 씨는
최근 하던 일을 그만두고
샌드위치 패널로 집을 짓고 있습니다.

화재에 취약하지만
정부 지원금 9백만 원에
대출금을 보태도
더 나은 집을 짓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김주태/지진 피해 주민[인터뷰]
"지진 때문에 다른 일이 손에도 안 잡혀요. 일이 손에 잡히겠어요?
자나깨나 집 걱정인데..."

피해 주민 대부분은
새 집을 지을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복연/지진 피해 주민[인터뷰]
"우리 아들, 며느리는 다 같이 못 살아서
흩어졌죠. 대안은 없어요. 어떡해야 할지...날씨는 추워지지요."

살던 아파트 건물이 기울어
인근 임대 아파트로 이주했지만,

곳곳이 갈라지고 부서져
불안하긴 마찬가집니다.

그나마 임대 기간이 2년이다보니
당장 1년 뒤 어디서 살 지 걱정입니다.

지진 피해 주민[인터뷰]
"1년 후에 우리가 땅바닥으로 나가서 앉을 순 없잖아요. 다시 또 체육관으로 간다든지 ..."

아직 집을 수리하지 못한
이재민 백여 명은
돌아갈 기약도 없이
대피소에서
두번째 겨울을 나야 할 처지에 놓였습니다.

지진 피해 주민[인터뷰]
"(여기 와서 )거의 1년 동안 이렇게 지내다보니까 우리의 삶이라는 거 자체를 망각하고 살아요. 체념을 하고 산다, 그럴까."

KBS뉴스 정혜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년 지난 지금도 돌아갈 집 없는 이재민들
    • 입력 2018-11-15 23:34:25
    뉴스9(포항)
[앵커멘트] 포항에서 규모 5.4의 강진이 난 지 오늘로 1년이 됐습니다. 살던 집이 부서져 컨테이너와 대피소 등으로 거처를 옮긴 주민들이 5백 가구가 넘었는데요. 1년이 지난 지금, 이재민들은 어떻게 지내고 있을까요. 정혜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비좁고 허술한 컨테이너들, 1년 전 지진으로 집을 잃은 주민들이 지내고 있는 임시 시설입니다. [이펙트1]"이렇게 해가지고 밥이라도 제대로 해 먹을 수 있겠어요?" 부서진 집이 철거되자 김주태 씨는 최근 하던 일을 그만두고 샌드위치 패널로 집을 짓고 있습니다. 화재에 취약하지만 정부 지원금 9백만 원에 대출금을 보태도 더 나은 집을 짓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김주태/지진 피해 주민[인터뷰] "지진 때문에 다른 일이 손에도 안 잡혀요. 일이 손에 잡히겠어요? 자나깨나 집 걱정인데..." 피해 주민 대부분은 새 집을 지을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복연/지진 피해 주민[인터뷰] "우리 아들, 며느리는 다 같이 못 살아서 흩어졌죠. 대안은 없어요. 어떡해야 할지...날씨는 추워지지요." 살던 아파트 건물이 기울어 인근 임대 아파트로 이주했지만, 곳곳이 갈라지고 부서져 불안하긴 마찬가집니다. 그나마 임대 기간이 2년이다보니 당장 1년 뒤 어디서 살 지 걱정입니다. 지진 피해 주민[인터뷰] "1년 후에 우리가 땅바닥으로 나가서 앉을 순 없잖아요. 다시 또 체육관으로 간다든지 ..." 아직 집을 수리하지 못한 이재민 백여 명은 돌아갈 기약도 없이 대피소에서 두번째 겨울을 나야 할 처지에 놓였습니다. 지진 피해 주민[인터뷰] "(여기 와서 )거의 1년 동안 이렇게 지내다보니까 우리의 삶이라는 거 자체를 망각하고 살아요. 체념을 하고 산다, 그럴까." KBS뉴스 정혜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포항-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