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가 일자리 만들면 정부가 지원…지역 자율성 강화
입력 2018.12.14 (15:00)
수정 2018.12.14 (15: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늘(14일) 열린 일자리위원회 제9차 회의에서 지역이 주도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하면 중앙정부는 이를 뒷받침하는 방식의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이 올해 1만 명에서 내년 2만 6천 명으로 확대됩니다. 해당 사업은 올해가 추경을 통한 시범 단계였다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
사업 기간과 범위는 각 지역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합니다. 원래는 창업 지원에 한정됐지만, 내년엔 지자체 선택에 따라 면접 지원, 교육훈련 등 취업 지원까지 가능합니다.
지역기획형 일자리사업은 새로 생깁니다.
50~60대 신중년의 경험을 살리는 2천500명 규모의 신중년 경력 활용 지역서비스 일자리사업이 대표적입니다. 참여 조건, 활동 내용 등 세부사항은 지자체가 직접 설계하고 중앙정부는 최저임금과 같은 최소 기준만 제시합니다.
기존에 운영하던 지역 일자리사업의 자율성은 더욱 확대합니다.
노인 일자리사업은 기초연금 수급권자 대상이라는 원칙은 유지하되 참가자가 부족하면 노령 저소득층으로 확대할 수 있게 하는 등 지자체에 재량권을 주기로 했습니다.
산림재해 일자리 등은 지금은 3차 공고를 낼 때부터 기존 참가자의 반복 참가를 허용하지만, 앞으로는 1차 공고에서 미달이 났을 경우 2차 공고부터 반복 참가할 수 있게 됩니다.
1만 명 규모로 운영하는 산불예방진화대는 현재 근로기간이 봄 70%, 가을 30% 원칙이나 앞으로 각 지역 실정에 맞게 제약 없이 기간을 운영하도록 변경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를 위해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이 올해 1만 명에서 내년 2만 6천 명으로 확대됩니다. 해당 사업은 올해가 추경을 통한 시범 단계였다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
사업 기간과 범위는 각 지역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합니다. 원래는 창업 지원에 한정됐지만, 내년엔 지자체 선택에 따라 면접 지원, 교육훈련 등 취업 지원까지 가능합니다.
지역기획형 일자리사업은 새로 생깁니다.
50~60대 신중년의 경험을 살리는 2천500명 규모의 신중년 경력 활용 지역서비스 일자리사업이 대표적입니다. 참여 조건, 활동 내용 등 세부사항은 지자체가 직접 설계하고 중앙정부는 최저임금과 같은 최소 기준만 제시합니다.
기존에 운영하던 지역 일자리사업의 자율성은 더욱 확대합니다.
노인 일자리사업은 기초연금 수급권자 대상이라는 원칙은 유지하되 참가자가 부족하면 노령 저소득층으로 확대할 수 있게 하는 등 지자체에 재량권을 주기로 했습니다.
산림재해 일자리 등은 지금은 3차 공고를 낼 때부터 기존 참가자의 반복 참가를 허용하지만, 앞으로는 1차 공고에서 미달이 났을 경우 2차 공고부터 반복 참가할 수 있게 됩니다.
1만 명 규모로 운영하는 산불예방진화대는 현재 근로기간이 봄 70%, 가을 30% 원칙이나 앞으로 각 지역 실정에 맞게 제약 없이 기간을 운영하도록 변경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자체가 일자리 만들면 정부가 지원…지역 자율성 강화
-
- 입력 2018-12-14 15:00:21
- 수정2018-12-14 15:04:24

오늘(14일) 열린 일자리위원회 제9차 회의에서 지역이 주도적으로 일자리를 창출하면 중앙정부는 이를 뒷받침하는 방식의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이 올해 1만 명에서 내년 2만 6천 명으로 확대됩니다. 해당 사업은 올해가 추경을 통한 시범 단계였다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
사업 기간과 범위는 각 지역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합니다. 원래는 창업 지원에 한정됐지만, 내년엔 지자체 선택에 따라 면접 지원, 교육훈련 등 취업 지원까지 가능합니다.
지역기획형 일자리사업은 새로 생깁니다.
50~60대 신중년의 경험을 살리는 2천500명 규모의 신중년 경력 활용 지역서비스 일자리사업이 대표적입니다. 참여 조건, 활동 내용 등 세부사항은 지자체가 직접 설계하고 중앙정부는 최저임금과 같은 최소 기준만 제시합니다.
기존에 운영하던 지역 일자리사업의 자율성은 더욱 확대합니다.
노인 일자리사업은 기초연금 수급권자 대상이라는 원칙은 유지하되 참가자가 부족하면 노령 저소득층으로 확대할 수 있게 하는 등 지자체에 재량권을 주기로 했습니다.
산림재해 일자리 등은 지금은 3차 공고를 낼 때부터 기존 참가자의 반복 참가를 허용하지만, 앞으로는 1차 공고에서 미달이 났을 경우 2차 공고부터 반복 참가할 수 있게 됩니다.
1만 명 규모로 운영하는 산불예방진화대는 현재 근로기간이 봄 70%, 가을 30% 원칙이나 앞으로 각 지역 실정에 맞게 제약 없이 기간을 운영하도록 변경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를 위해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 사업이 올해 1만 명에서 내년 2만 6천 명으로 확대됩니다. 해당 사업은 올해가 추경을 통한 시범 단계였다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됩니다.
사업 기간과 범위는 각 지역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합니다. 원래는 창업 지원에 한정됐지만, 내년엔 지자체 선택에 따라 면접 지원, 교육훈련 등 취업 지원까지 가능합니다.
지역기획형 일자리사업은 새로 생깁니다.
50~60대 신중년의 경험을 살리는 2천500명 규모의 신중년 경력 활용 지역서비스 일자리사업이 대표적입니다. 참여 조건, 활동 내용 등 세부사항은 지자체가 직접 설계하고 중앙정부는 최저임금과 같은 최소 기준만 제시합니다.
기존에 운영하던 지역 일자리사업의 자율성은 더욱 확대합니다.
노인 일자리사업은 기초연금 수급권자 대상이라는 원칙은 유지하되 참가자가 부족하면 노령 저소득층으로 확대할 수 있게 하는 등 지자체에 재량권을 주기로 했습니다.
산림재해 일자리 등은 지금은 3차 공고를 낼 때부터 기존 참가자의 반복 참가를 허용하지만, 앞으로는 1차 공고에서 미달이 났을 경우 2차 공고부터 반복 참가할 수 있게 됩니다.
1만 명 규모로 운영하는 산불예방진화대는 현재 근로기간이 봄 70%, 가을 30% 원칙이나 앞으로 각 지역 실정에 맞게 제약 없이 기간을 운영하도록 변경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승철 기자 bullseye@kbs.co.kr
이승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