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예멘인 2명 난민 최종 인정·50명 인도적 체류 추가
입력 2018.12.15 (06:20) 수정 2018.12.15 (08:03) 뉴스광장 1부
[앵커]
제주에 머물고 있던 예멘인 480여 명 중 2명이 최종 난민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들은 앞으로 우리 국민과 같은 수준의 사회보장을 받게 되고 가족도 초청할 수 있습니다.
강나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초 내전을 피해 제주에 온 예멘인이 동료와 기쁨의 포옹을 나눕니다.
난민 인정을 받아 3년 동안 국내 어디서든 합법적으로 머물 수 있게 됐습니다.
[난민 인정 예멘인/음성변조 : "처음 제주에 왔을 때와 비슷한 감정을 느낍니다. 난민 인정을 해 준 한국에 고맙습니다."]
법무부 심사에서 최종 난민 인정을 받은 예멘인은 2명, 기초생활수급자에 준하는 복지혜택을 받고, 가족도 초청하면 난민 인정을 받게 됩니다.
[난민 인정 예멘인/음성변조 : "가족들이 예멘에서 전쟁으로 인해 힘들게 살고 있기 때문에 오게 하고 싶습니다."]
난민 자격을 받은 2명은 모두 언론인 출신입니다.
현지 반군에 비판적인 기사를 써오는 등 추방될 경우 신변에 위협이 있을 수 있다는 점 등이 고려됐습니다.
[김도균/법무부 제주출입국외국인청장 : "후티 반군에 비판적인 기사를 작성하여 납치, 살해 협박을 당했으며 향후에도 박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두 명의 난민 인정자 외에 전체의 85%인 412명이 1년간 체류 허가를 받았습니다.
제3국 정착이 가능하거나 범죄 연루 사실이 있는 56명은 인정을 받지 못했습니다.
정부의 최종 결정을 놓고 인정된 난민 수가 적다는 의견과 난민을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반론이 맞서는 등 찬반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래입니다.
제주에 머물고 있던 예멘인 480여 명 중 2명이 최종 난민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들은 앞으로 우리 국민과 같은 수준의 사회보장을 받게 되고 가족도 초청할 수 있습니다.
강나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초 내전을 피해 제주에 온 예멘인이 동료와 기쁨의 포옹을 나눕니다.
난민 인정을 받아 3년 동안 국내 어디서든 합법적으로 머물 수 있게 됐습니다.
[난민 인정 예멘인/음성변조 : "처음 제주에 왔을 때와 비슷한 감정을 느낍니다. 난민 인정을 해 준 한국에 고맙습니다."]
법무부 심사에서 최종 난민 인정을 받은 예멘인은 2명, 기초생활수급자에 준하는 복지혜택을 받고, 가족도 초청하면 난민 인정을 받게 됩니다.
[난민 인정 예멘인/음성변조 : "가족들이 예멘에서 전쟁으로 인해 힘들게 살고 있기 때문에 오게 하고 싶습니다."]
난민 자격을 받은 2명은 모두 언론인 출신입니다.
현지 반군에 비판적인 기사를 써오는 등 추방될 경우 신변에 위협이 있을 수 있다는 점 등이 고려됐습니다.
[김도균/법무부 제주출입국외국인청장 : "후티 반군에 비판적인 기사를 작성하여 납치, 살해 협박을 당했으며 향후에도 박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두 명의 난민 인정자 외에 전체의 85%인 412명이 1년간 체류 허가를 받았습니다.
제3국 정착이 가능하거나 범죄 연루 사실이 있는 56명은 인정을 받지 못했습니다.
정부의 최종 결정을 놓고 인정된 난민 수가 적다는 의견과 난민을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반론이 맞서는 등 찬반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래입니다.
- 예멘인 2명 난민 최종 인정·50명 인도적 체류 추가
-
- 입력 2018-12-15 06:22:36
- 수정2018-12-15 08:03:39

[앵커]
제주에 머물고 있던 예멘인 480여 명 중 2명이 최종 난민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들은 앞으로 우리 국민과 같은 수준의 사회보장을 받게 되고 가족도 초청할 수 있습니다.
강나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초 내전을 피해 제주에 온 예멘인이 동료와 기쁨의 포옹을 나눕니다.
난민 인정을 받아 3년 동안 국내 어디서든 합법적으로 머물 수 있게 됐습니다.
[난민 인정 예멘인/음성변조 : "처음 제주에 왔을 때와 비슷한 감정을 느낍니다. 난민 인정을 해 준 한국에 고맙습니다."]
법무부 심사에서 최종 난민 인정을 받은 예멘인은 2명, 기초생활수급자에 준하는 복지혜택을 받고, 가족도 초청하면 난민 인정을 받게 됩니다.
[난민 인정 예멘인/음성변조 : "가족들이 예멘에서 전쟁으로 인해 힘들게 살고 있기 때문에 오게 하고 싶습니다."]
난민 자격을 받은 2명은 모두 언론인 출신입니다.
현지 반군에 비판적인 기사를 써오는 등 추방될 경우 신변에 위협이 있을 수 있다는 점 등이 고려됐습니다.
[김도균/법무부 제주출입국외국인청장 : "후티 반군에 비판적인 기사를 작성하여 납치, 살해 협박을 당했으며 향후에도 박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두 명의 난민 인정자 외에 전체의 85%인 412명이 1년간 체류 허가를 받았습니다.
제3국 정착이 가능하거나 범죄 연루 사실이 있는 56명은 인정을 받지 못했습니다.
정부의 최종 결정을 놓고 인정된 난민 수가 적다는 의견과 난민을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반론이 맞서는 등 찬반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래입니다.
제주에 머물고 있던 예멘인 480여 명 중 2명이 최종 난민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들은 앞으로 우리 국민과 같은 수준의 사회보장을 받게 되고 가족도 초청할 수 있습니다.
강나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올해 초 내전을 피해 제주에 온 예멘인이 동료와 기쁨의 포옹을 나눕니다.
난민 인정을 받아 3년 동안 국내 어디서든 합법적으로 머물 수 있게 됐습니다.
[난민 인정 예멘인/음성변조 : "처음 제주에 왔을 때와 비슷한 감정을 느낍니다. 난민 인정을 해 준 한국에 고맙습니다."]
법무부 심사에서 최종 난민 인정을 받은 예멘인은 2명, 기초생활수급자에 준하는 복지혜택을 받고, 가족도 초청하면 난민 인정을 받게 됩니다.
[난민 인정 예멘인/음성변조 : "가족들이 예멘에서 전쟁으로 인해 힘들게 살고 있기 때문에 오게 하고 싶습니다."]
난민 자격을 받은 2명은 모두 언론인 출신입니다.
현지 반군에 비판적인 기사를 써오는 등 추방될 경우 신변에 위협이 있을 수 있다는 점 등이 고려됐습니다.
[김도균/법무부 제주출입국외국인청장 : "후티 반군에 비판적인 기사를 작성하여 납치, 살해 협박을 당했으며 향후에도 박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두 명의 난민 인정자 외에 전체의 85%인 412명이 1년간 체류 허가를 받았습니다.
제3국 정착이 가능하거나 범죄 연루 사실이 있는 56명은 인정을 받지 못했습니다.
정부의 최종 결정을 놓고 인정된 난민 수가 적다는 의견과 난민을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반론이 맞서는 등 찬반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강나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강나래 기자 narae@kbs.co.kr
강나래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