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수형인 명부 전수조사…“독립운동가 5,323명 확인”

입력 2019.01.18 (12:26) 수정 2019.01.18 (13: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일제강점기 당시 수형자 명부를 전수조사해 일제로부터 형벌을 받은 5천여 명의 독립운동가들을 새롭게 확인했습니다.

이 가운데 절반 정도는 포상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보훈처는 이번 자료를 토대로 올해 안에 포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새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충남 아산 지역의 일제강점기 당시 수형인 명부입니다.

3·1 만세 운동이 있었던 '대정 8년', 즉 1919년에 오 씨 성을 가진 사람에게 보안법 위반으로 태형 60대를 가했다고 나와 있습니다.

당시 이 마을에서만 2백명 가까운 주민들이 한꺼번에 만세운동에 나섰다가 일제 헌병대의 즉결처분인 태형을 당했습니다.

국가보훈처가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계기로 전국 천6백여 개 읍면 문서고에 잠들어 있던 일제강점기 수형자 명부를 전수조사했습니다.

보훈처는 이를 통해 모두 5천323명의 독립운동가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단순 벌금에서부터 태형은 물론 심지어는 종신형과 사형까지 모두 독립운동에 참가했다가 일제로부터 가혹한 형벌을 받은 기록이 고스란히 나와 있습니다.

이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2천487명은 아직 독립유공자로 포상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명부에는 형을 받은 사람의 이름과 본적, 주소, 죄명과 형기 등이 모두 기록돼 있어 독립운동 활동을 입증할 수 있는 핵심 기초자료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지 않은채 수형인의 본적지에 산재해 있어 그간 전수조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습니다.

[최정식/국가보훈처 홍보팀장 : "미포상 수형자들에 대한 독립운동 여부 확인과 검토를 통해 3·1 운동 100주년인 올해 독립유공자 포상에 적극 활용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보훈처는 한편 항일 학생운동에 참여한 학교 가운데 11곳의 학적 기록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징계를 받은 396명의 기록도 확인했다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제강점기 수형인 명부 전수조사…“독립운동가 5,323명 확인”
    • 입력 2019-01-18 12:28:03
    • 수정2019-01-18 13:00:35
    뉴스 12
[앵커]

정부가 일제강점기 당시 수형자 명부를 전수조사해 일제로부터 형벌을 받은 5천여 명의 독립운동가들을 새롭게 확인했습니다.

이 가운데 절반 정도는 포상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보훈처는 이번 자료를 토대로 올해 안에 포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새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충남 아산 지역의 일제강점기 당시 수형인 명부입니다.

3·1 만세 운동이 있었던 '대정 8년', 즉 1919년에 오 씨 성을 가진 사람에게 보안법 위반으로 태형 60대를 가했다고 나와 있습니다.

당시 이 마을에서만 2백명 가까운 주민들이 한꺼번에 만세운동에 나섰다가 일제 헌병대의 즉결처분인 태형을 당했습니다.

국가보훈처가 3·1운동과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계기로 전국 천6백여 개 읍면 문서고에 잠들어 있던 일제강점기 수형자 명부를 전수조사했습니다.

보훈처는 이를 통해 모두 5천323명의 독립운동가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단순 벌금에서부터 태형은 물론 심지어는 종신형과 사형까지 모두 독립운동에 참가했다가 일제로부터 가혹한 형벌을 받은 기록이 고스란히 나와 있습니다.

이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2천487명은 아직 독립유공자로 포상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명부에는 형을 받은 사람의 이름과 본적, 주소, 죄명과 형기 등이 모두 기록돼 있어 독립운동 활동을 입증할 수 있는 핵심 기초자료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지 않은채 수형인의 본적지에 산재해 있어 그간 전수조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습니다.

[최정식/국가보훈처 홍보팀장 : "미포상 수형자들에 대한 독립운동 여부 확인과 검토를 통해 3·1 운동 100주년인 올해 독립유공자 포상에 적극 활용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보훈처는 한편 항일 학생운동에 참여한 학교 가운데 11곳의 학적 기록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징계를 받은 396명의 기록도 확인했다고 덧붙였습니다.

KBS 뉴스 정새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