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이번에도 김영철 방미에 침묵…정상회담 합의도 언급 없어
입력 2019.01.19 (16:36)
수정 2019.01.19 (16: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조선중앙방송 등 공식 매체들은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의 두 번째 미국 방문뿐 아니라 다음 달 말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합의에 대해서 계속 침묵하고 있습니다.
북한 매체들은 김영철 부위원장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지난 17일부터 2박 3일 일정으로 미국 정치·외교의 심장부인 워싱턴을 직항편으로 방문했지만 이를 보도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 김 부위원장이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과 고위급회담을 한 데 이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2차 북미정상회담을 2월 말쯤 갖기로 합의한 데 대해서도 소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은 앞서 지난해 5월 말에서 6월 초 김영철 부위원장의 첫 번째 미국 방문 때에도 방미 사실을 전혀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북한의 태도는 김정은 체제 들어 북·중 정상회담이나 남북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행보를 비교적 신속하게 보도해온 것과는 비교됩니다.
북한이 그만큼 체제 운명이 걸린 북미 '핵 담판'에 신중함을 기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북한 매체들은 김영철 부위원장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지난 17일부터 2박 3일 일정으로 미국 정치·외교의 심장부인 워싱턴을 직항편으로 방문했지만 이를 보도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 김 부위원장이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과 고위급회담을 한 데 이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2차 북미정상회담을 2월 말쯤 갖기로 합의한 데 대해서도 소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은 앞서 지난해 5월 말에서 6월 초 김영철 부위원장의 첫 번째 미국 방문 때에도 방미 사실을 전혀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북한의 태도는 김정은 체제 들어 북·중 정상회담이나 남북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행보를 비교적 신속하게 보도해온 것과는 비교됩니다.
북한이 그만큼 체제 운명이 걸린 북미 '핵 담판'에 신중함을 기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北, 이번에도 김영철 방미에 침묵…정상회담 합의도 언급 없어
-
- 입력 2019-01-19 16:36:03
- 수정2019-01-19 16:52:18

북한 조선중앙통신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조선중앙방송 등 공식 매체들은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의 두 번째 미국 방문뿐 아니라 다음 달 말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 합의에 대해서 계속 침묵하고 있습니다.
북한 매체들은 김영철 부위원장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지난 17일부터 2박 3일 일정으로 미국 정치·외교의 심장부인 워싱턴을 직항편으로 방문했지만 이를 보도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 김 부위원장이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과 고위급회담을 한 데 이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2차 북미정상회담을 2월 말쯤 갖기로 합의한 데 대해서도 소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은 앞서 지난해 5월 말에서 6월 초 김영철 부위원장의 첫 번째 미국 방문 때에도 방미 사실을 전혀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북한의 태도는 김정은 체제 들어 북·중 정상회담이나 남북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행보를 비교적 신속하게 보도해온 것과는 비교됩니다.
북한이 그만큼 체제 운명이 걸린 북미 '핵 담판'에 신중함을 기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북한 매체들은 김영철 부위원장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지난 17일부터 2박 3일 일정으로 미국 정치·외교의 심장부인 워싱턴을 직항편으로 방문했지만 이를 보도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 김 부위원장이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과 고위급회담을 한 데 이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2차 북미정상회담을 2월 말쯤 갖기로 합의한 데 대해서도 소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은 앞서 지난해 5월 말에서 6월 초 김영철 부위원장의 첫 번째 미국 방문 때에도 방미 사실을 전혀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북한의 태도는 김정은 체제 들어 북·중 정상회담이나 남북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행보를 비교적 신속하게 보도해온 것과는 비교됩니다.
북한이 그만큼 체제 운명이 걸린 북미 '핵 담판'에 신중함을 기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
-
김경진 기자 kjkim@kbs.co.kr
김경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