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온실가스 배출권 첫 경매…톤당 2만 5500원에 낙찰
입력 2019.01.23 (16:58) 수정 2019.01.23 (16:59) 사회
온실가스 배출권 경매가 오늘(23일) 처음으로 시행됐습니다.
환경부는 유상할당 업종으로 분류된 126개 기업을 대상으로 오늘 오후 1시부터 2시까지 배출권 경매를 연 결과, 4개 업체가 모두 55만 톤에 해당하는 배출권을 낙찰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경매에는 7개 업체가 참여해 최저 2만 3100원에서 최고 2만 7500원을 제시했습니다.
낙찰가는 톤당 2만 5,500원으로, 모든 낙찰업체에 동일하게 적용됐습니다.
이번 경매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행되는 것으로 기업들은 온실가스 배출권 허용량의 3%를 경매를 통해 돈을 주고 할당받아야 합니다.
배출권 경매는 오늘을 시작으로 매월 열립니다.
환경부는 올해 모두 795만 톤의 배출권을 경매를 통해 공급할 예정입니다.
환경부 관계자는 "매월 열리는 경매가 배출권 거래시장 유동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경매 수입은 온실가스 감축설비 지원사업과 온실가스 감축기술 연구개발 등에 재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환경부는 유상할당 업종으로 분류된 126개 기업을 대상으로 오늘 오후 1시부터 2시까지 배출권 경매를 연 결과, 4개 업체가 모두 55만 톤에 해당하는 배출권을 낙찰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경매에는 7개 업체가 참여해 최저 2만 3100원에서 최고 2만 7500원을 제시했습니다.
낙찰가는 톤당 2만 5,500원으로, 모든 낙찰업체에 동일하게 적용됐습니다.
이번 경매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행되는 것으로 기업들은 온실가스 배출권 허용량의 3%를 경매를 통해 돈을 주고 할당받아야 합니다.
배출권 경매는 오늘을 시작으로 매월 열립니다.
환경부는 올해 모두 795만 톤의 배출권을 경매를 통해 공급할 예정입니다.
환경부 관계자는 "매월 열리는 경매가 배출권 거래시장 유동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경매 수입은 온실가스 감축설비 지원사업과 온실가스 감축기술 연구개발 등에 재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온실가스 배출권 첫 경매…톤당 2만 5500원에 낙찰
-
- 입력 2019-01-23 16:58:26
- 수정2019-01-23 16:59:39

온실가스 배출권 경매가 오늘(23일) 처음으로 시행됐습니다.
환경부는 유상할당 업종으로 분류된 126개 기업을 대상으로 오늘 오후 1시부터 2시까지 배출권 경매를 연 결과, 4개 업체가 모두 55만 톤에 해당하는 배출권을 낙찰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경매에는 7개 업체가 참여해 최저 2만 3100원에서 최고 2만 7500원을 제시했습니다.
낙찰가는 톤당 2만 5,500원으로, 모든 낙찰업체에 동일하게 적용됐습니다.
이번 경매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행되는 것으로 기업들은 온실가스 배출권 허용량의 3%를 경매를 통해 돈을 주고 할당받아야 합니다.
배출권 경매는 오늘을 시작으로 매월 열립니다.
환경부는 올해 모두 795만 톤의 배출권을 경매를 통해 공급할 예정입니다.
환경부 관계자는 "매월 열리는 경매가 배출권 거래시장 유동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경매 수입은 온실가스 감축설비 지원사업과 온실가스 감축기술 연구개발 등에 재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환경부는 유상할당 업종으로 분류된 126개 기업을 대상으로 오늘 오후 1시부터 2시까지 배출권 경매를 연 결과, 4개 업체가 모두 55만 톤에 해당하는 배출권을 낙찰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경매에는 7개 업체가 참여해 최저 2만 3100원에서 최고 2만 7500원을 제시했습니다.
낙찰가는 톤당 2만 5,500원으로, 모든 낙찰업체에 동일하게 적용됐습니다.
이번 경매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시행되는 것으로 기업들은 온실가스 배출권 허용량의 3%를 경매를 통해 돈을 주고 할당받아야 합니다.
배출권 경매는 오늘을 시작으로 매월 열립니다.
환경부는 올해 모두 795만 톤의 배출권을 경매를 통해 공급할 예정입니다.
환경부 관계자는 "매월 열리는 경매가 배출권 거래시장 유동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경매 수입은 온실가스 감축설비 지원사업과 온실가스 감축기술 연구개발 등에 재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 기자 정보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