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이 노조 불법도청”…자동차 부품 공장서 도청 장치 발견
입력 2019.01.29 (17:32)
수정 2019.01.29 (17: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 경산의 한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에서 사측 등이 노조를 불법 도청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대구지부는 오늘(29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 업체의 또 다른 노조인 기업노조 관계자와 회사 중간 관리자가 결탁해 노조 총회 등을 불법 도청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이 업체 노조는 지난해 12월 불법 도청 제보를 받고 노조 교육장에 있는 화이트보드 지우개 안에서 도청장치를 발견했습니다.
노조는 2017년 1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불법 도청이 이뤄졌다며, 증거물인 도청장치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노조는 "불법 도청은 사적인 만남 자리에서까지 이어졌다"며 "경산경찰서의 수사를 통해 기업노조 간부의 소행으로 드러났다"고 밝혔습니다.
노조는 또 "녹취록을 입수하는 과정에서 사측의 중간 관리자가 (불법 도청에) 깊숙이 개입한 게 확인됐다"며 "노조 활동을 무력화시키고 노조를 말살하기 위해 회사와 어용노조가 공모하고 체계적으로 실행한 집단적 범죄행위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업체의 노조는 최근 한국노총에서 민주노총으로 소속을 바꿨으며, 불법 도청은 한국노총 시절에 이뤄졌다는 게 노조의 주장입니다.
노조는 수사를 담당한 경산경찰서가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한 걸로 알고 있다며, 대구지검에 추가 고소장과 증거를 제출했습니다.
노조는 "군부독재 시절에나 있을법한 이런 불법행위가 노동존중시대를 표방한 현재에도 버젓이 활개 치고 있음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불법 도청을 기획하고 실행한 모든 책임자를 반드시 구속수사해 엄벌에 처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대구지부는 오늘(29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 업체의 또 다른 노조인 기업노조 관계자와 회사 중간 관리자가 결탁해 노조 총회 등을 불법 도청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이 업체 노조는 지난해 12월 불법 도청 제보를 받고 노조 교육장에 있는 화이트보드 지우개 안에서 도청장치를 발견했습니다.
노조는 2017년 1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불법 도청이 이뤄졌다며, 증거물인 도청장치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노조는 "불법 도청은 사적인 만남 자리에서까지 이어졌다"며 "경산경찰서의 수사를 통해 기업노조 간부의 소행으로 드러났다"고 밝혔습니다.
노조는 또 "녹취록을 입수하는 과정에서 사측의 중간 관리자가 (불법 도청에) 깊숙이 개입한 게 확인됐다"며 "노조 활동을 무력화시키고 노조를 말살하기 위해 회사와 어용노조가 공모하고 체계적으로 실행한 집단적 범죄행위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업체의 노조는 최근 한국노총에서 민주노총으로 소속을 바꿨으며, 불법 도청은 한국노총 시절에 이뤄졌다는 게 노조의 주장입니다.
노조는 수사를 담당한 경산경찰서가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한 걸로 알고 있다며, 대구지검에 추가 고소장과 증거를 제출했습니다.
노조는 "군부독재 시절에나 있을법한 이런 불법행위가 노동존중시대를 표방한 현재에도 버젓이 활개 치고 있음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불법 도청을 기획하고 실행한 모든 책임자를 반드시 구속수사해 엄벌에 처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측이 노조 불법도청”…자동차 부품 공장서 도청 장치 발견
-
- 입력 2019-01-29 17:32:49
- 수정2019-01-29 17:46:11

경북 경산의 한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에서 사측 등이 노조를 불법 도청했다는 의혹이 제기됐습니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대구지부는 오늘(29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 업체의 또 다른 노조인 기업노조 관계자와 회사 중간 관리자가 결탁해 노조 총회 등을 불법 도청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이 업체 노조는 지난해 12월 불법 도청 제보를 받고 노조 교육장에 있는 화이트보드 지우개 안에서 도청장치를 발견했습니다.
노조는 2017년 1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불법 도청이 이뤄졌다며, 증거물인 도청장치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노조는 "불법 도청은 사적인 만남 자리에서까지 이어졌다"며 "경산경찰서의 수사를 통해 기업노조 간부의 소행으로 드러났다"고 밝혔습니다.
노조는 또 "녹취록을 입수하는 과정에서 사측의 중간 관리자가 (불법 도청에) 깊숙이 개입한 게 확인됐다"며 "노조 활동을 무력화시키고 노조를 말살하기 위해 회사와 어용노조가 공모하고 체계적으로 실행한 집단적 범죄행위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업체의 노조는 최근 한국노총에서 민주노총으로 소속을 바꿨으며, 불법 도청은 한국노총 시절에 이뤄졌다는 게 노조의 주장입니다.
노조는 수사를 담당한 경산경찰서가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한 걸로 알고 있다며, 대구지검에 추가 고소장과 증거를 제출했습니다.
노조는 "군부독재 시절에나 있을법한 이런 불법행위가 노동존중시대를 표방한 현재에도 버젓이 활개 치고 있음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불법 도청을 기획하고 실행한 모든 책임자를 반드시 구속수사해 엄벌에 처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민주노총 금속노조 대구지부는 오늘(29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 업체의 또 다른 노조인 기업노조 관계자와 회사 중간 관리자가 결탁해 노조 총회 등을 불법 도청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금속노조에 따르면 이 업체 노조는 지난해 12월 불법 도청 제보를 받고 노조 교육장에 있는 화이트보드 지우개 안에서 도청장치를 발견했습니다.
노조는 2017년 1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불법 도청이 이뤄졌다며, 증거물인 도청장치 사진을 공개했습니다.
노조는 "불법 도청은 사적인 만남 자리에서까지 이어졌다"며 "경산경찰서의 수사를 통해 기업노조 간부의 소행으로 드러났다"고 밝혔습니다.
노조는 또 "녹취록을 입수하는 과정에서 사측의 중간 관리자가 (불법 도청에) 깊숙이 개입한 게 확인됐다"며 "노조 활동을 무력화시키고 노조를 말살하기 위해 회사와 어용노조가 공모하고 체계적으로 실행한 집단적 범죄행위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업체의 노조는 최근 한국노총에서 민주노총으로 소속을 바꿨으며, 불법 도청은 한국노총 시절에 이뤄졌다는 게 노조의 주장입니다.
노조는 수사를 담당한 경산경찰서가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한 걸로 알고 있다며, 대구지검에 추가 고소장과 증거를 제출했습니다.
노조는 "군부독재 시절에나 있을법한 이런 불법행위가 노동존중시대를 표방한 현재에도 버젓이 활개 치고 있음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불법 도청을 기획하고 실행한 모든 책임자를 반드시 구속수사해 엄벌에 처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
-
오현태 기자 highfive@kbs.co.kr
오현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