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남북공동유해발굴 지역서 지난해 11월 발굴된 ‘완전유해’는 중국군
입력 2019.01.29 (20:39) 수정 2019.01.29 (20:45) 정치
남북 공동유해발굴 지역인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 화살머리고지에서 도로개설 작업 중 발굴된 '완전유해' 1구는 중국군 유해로 확인됐습니다.
정부 소식통은 오늘(29일) "지난해 11월 DMZ 내 남북 공동유해발굴지역에서 발굴된 13구의 6·25 전쟁 전사자 유해 중 1구는 중국군 유해로 확인됐다"며 "머리부터 다리까지 온전한 형태로 발굴된 완전유해가 중국군 유해로 확인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9·19 남북군사합의서'에 따라 진행된 남북 공동유해발굴 사업 중 외국군 유해가 발굴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군 당국은 오는 4월 초 이 유해를 포함해 지난해 우리 측이 발굴한 중국군 유해를 중국 측에 인도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정부 소식통은 오늘(29일) "지난해 11월 DMZ 내 남북 공동유해발굴지역에서 발굴된 13구의 6·25 전쟁 전사자 유해 중 1구는 중국군 유해로 확인됐다"며 "머리부터 다리까지 온전한 형태로 발굴된 완전유해가 중국군 유해로 확인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9·19 남북군사합의서'에 따라 진행된 남북 공동유해발굴 사업 중 외국군 유해가 발굴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군 당국은 오는 4월 초 이 유해를 포함해 지난해 우리 측이 발굴한 중국군 유해를 중국 측에 인도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남북공동유해발굴 지역서 지난해 11월 발굴된 ‘완전유해’는 중국군
-
- 입력 2019-01-29 20:39:05
- 수정2019-01-29 20:45:58

남북 공동유해발굴 지역인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 화살머리고지에서 도로개설 작업 중 발굴된 '완전유해' 1구는 중국군 유해로 확인됐습니다.
정부 소식통은 오늘(29일) "지난해 11월 DMZ 내 남북 공동유해발굴지역에서 발굴된 13구의 6·25 전쟁 전사자 유해 중 1구는 중국군 유해로 확인됐다"며 "머리부터 다리까지 온전한 형태로 발굴된 완전유해가 중국군 유해로 확인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9·19 남북군사합의서'에 따라 진행된 남북 공동유해발굴 사업 중 외국군 유해가 발굴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군 당국은 오는 4월 초 이 유해를 포함해 지난해 우리 측이 발굴한 중국군 유해를 중국 측에 인도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정부 소식통은 오늘(29일) "지난해 11월 DMZ 내 남북 공동유해발굴지역에서 발굴된 13구의 6·25 전쟁 전사자 유해 중 1구는 중국군 유해로 확인됐다"며 "머리부터 다리까지 온전한 형태로 발굴된 완전유해가 중국군 유해로 확인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9·19 남북군사합의서'에 따라 진행된 남북 공동유해발굴 사업 중 외국군 유해가 발굴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군 당국은 오는 4월 초 이 유해를 포함해 지난해 우리 측이 발굴한 중국군 유해를 중국 측에 인도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기자 정보
-
-
박석호 기자 parkseokho@kbs.co.kr
박석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