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간 3번째 강제 이주...공공사업에 밀려난 주민들

입력 2019.02.08 (23: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공공 사업에 떠밀려
40여 년을 살던 정든 마을을
강제로 떠나야 하는
주민들이 있습니다.
이번이
벌써 3번째라고 하는데,
아직 이주할 곳조차
찾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어찌 된 사연인지
이규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진입로 곳곳에
내걸린 현수막들...

거리엔
인적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마을 전체가
경제자유구역 청주에어로폴리스
2지구 사업 부지에 포함돼
강제 이주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서른 두 가구가 모여 사는
마을 주민 대부분은
70~80대 노인들...

40년을 살아온
정든 터전을
떠나는 것도 막막한데,
아직 이주할 곳마저
마련돼 있지 않습니다.

연기화(87세/청주시 내수읍)[인터뷰]
"곳 죽을 날이 다가오는 나이인데 갈 곳도 없는 상황에서 막막하고 어디를 가라는건지..."

문제는
이번이 벌써 3번째
강제 이주라는 겁니다.

40여 년 전
17전투비행단과
청주공항을 조성하며
두 차례나 떠밀려 쫓겨났던 주민들

이번만큼은
이주 부지를 마련해준다는
자치단체의 약속을 믿었지만
착공을 앞두고 이주 계획은
무산됐습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은
주민들이 원하는
시유지 부지를 검토했지만
현행법상 불가능하다며
주민 의견을 반영해
지원 방법을 찾겠다는 입장.

2년 6개월을
믿고 기다려왔던 주민들은
답답한 심정을 토로합니다.

[인터뷰]
최선병/이주 반대 주민대책위 부위원장
"2년 6개월을 믿고 기다려왔는데 다 거짓말이었고 이후에도 아무 대책이 없어요. 살 곳을 마련해면 옮기겠다는 거예요..."

이주 계획도
현실적인 보상 방법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

공공 사업에 떠밀려
삶의 터전에서 쫓겨날
주민들의 한숨만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NEWS 이규명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0년간 3번째 강제 이주...공공사업에 밀려난 주민들
    • 입력 2019-02-08 23:40:58
    뉴스9(청주)
[앵커멘트] 공공 사업에 떠밀려 40여 년을 살던 정든 마을을 강제로 떠나야 하는 주민들이 있습니다. 이번이 벌써 3번째라고 하는데, 아직 이주할 곳조차 찾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어찌 된 사연인지 이규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진입로 곳곳에 내걸린 현수막들... 거리엔 인적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마을 전체가 경제자유구역 청주에어로폴리스 2지구 사업 부지에 포함돼 강제 이주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서른 두 가구가 모여 사는 마을 주민 대부분은 70~80대 노인들... 40년을 살아온 정든 터전을 떠나는 것도 막막한데, 아직 이주할 곳마저 마련돼 있지 않습니다. 연기화(87세/청주시 내수읍)[인터뷰] "곳 죽을 날이 다가오는 나이인데 갈 곳도 없는 상황에서 막막하고 어디를 가라는건지..." 문제는 이번이 벌써 3번째 강제 이주라는 겁니다. 40여 년 전 17전투비행단과 청주공항을 조성하며 두 차례나 떠밀려 쫓겨났던 주민들 이번만큼은 이주 부지를 마련해준다는 자치단체의 약속을 믿었지만 착공을 앞두고 이주 계획은 무산됐습니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은 주민들이 원하는 시유지 부지를 검토했지만 현행법상 불가능하다며 주민 의견을 반영해 지원 방법을 찾겠다는 입장. 2년 6개월을 믿고 기다려왔던 주민들은 답답한 심정을 토로합니다. [인터뷰] 최선병/이주 반대 주민대책위 부위원장 "2년 6개월을 믿고 기다려왔는데 다 거짓말이었고 이후에도 아무 대책이 없어요. 살 곳을 마련해면 옮기겠다는 거예요..." 이주 계획도 현실적인 보상 방법도 마련되지 않은 상황... 공공 사업에 떠밀려 삶의 터전에서 쫓겨날 주민들의 한숨만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NEWS 이규명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