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에너지 제로’ 주택 살아보니…장단점은?

입력 2019.02.11 (08: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대한 태양광 패널 지붕으로 외관부터 눈길을 끄는 건물들.

재작년 준공한 '에너지 제로' 주택 단지입니다.

실내온도 25도를 유지하면서도 지난달 난방비는 0원,

찬 바람을 꽁꽁 막고도 알아서 공기를 순환합니다.

["창문 앞에서 자도 틈새 바람이라는 게 없어서."]

자체 생성한 에너지를 얼마나 썼는지 한눈에 보여주는 시스템도 갖췄습니다.

[유미희/'에너지 제로 주택' 주민 : "보온병 원리로 돼 있어서 현관문도 자랑하고 싶고요. 산 속에서 살 때보다 더 만족스럽다."]

하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태양 빛을 활용하려면 낮 동안엔 블라인드 올리기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지열을 활용한 온수의 최고 온도가 43도에 그치다 보니, 온돌방 같은 뜨끈한 방바닥이나 김 날 정도의 뜨거운 물을 원하는 사람들에겐 이런 점은 아쉽기도 합니다.

[유미희/'에너지 제로 주택' 주민 : "온수가 아주 뜨겁지가 않아요. 기름기 있는 그릇 닦는다고 할 때, 온수만 조금 더 개선된다면 98점 주고 싶어요."]

해마다 반복되는 폭염과 혹한에 냉난방 비용이 급증하면서, 이제는 집을 짓는 단계부터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 고려되는 추세입니다.

[이명주/명지대학교 건축과 교수 : "최소한의 사는 데 필요한 에너지원은 청정에너지로 사용하고, 그 이상의 양을 사용했을 때는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는 취지가 있습니다."]

대중화를 위해선 민간 건설사의 참여가 필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공사비와 긴 공정 기간은 걸림돌로 꼽힙니다.

[김준/국토부 녹색건축과 사무관 : "2025년에 민간으로 확대할 때 민간에서 이런 '제로 에너지' 건축에 대한 공사비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금융 기술 지원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습니다."]

국토부는 우선 에너지 관리가 상대적으로 쉬운 3,000㎡ 이하 소규모 건물부터 인증 의무화를 추진하고 그 범위를 차츰 넓혀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나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막뉴스] ‘에너지 제로’ 주택 살아보니…장단점은?
    • 입력 2019-02-11 08:08:23
    자막뉴스
거대한 태양광 패널 지붕으로 외관부터 눈길을 끄는 건물들.

재작년 준공한 '에너지 제로' 주택 단지입니다.

실내온도 25도를 유지하면서도 지난달 난방비는 0원,

찬 바람을 꽁꽁 막고도 알아서 공기를 순환합니다.

["창문 앞에서 자도 틈새 바람이라는 게 없어서."]

자체 생성한 에너지를 얼마나 썼는지 한눈에 보여주는 시스템도 갖췄습니다.

[유미희/'에너지 제로 주택' 주민 : "보온병 원리로 돼 있어서 현관문도 자랑하고 싶고요. 산 속에서 살 때보다 더 만족스럽다."]

하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태양 빛을 활용하려면 낮 동안엔 블라인드 올리기를 잊지 말아야 합니다.

지열을 활용한 온수의 최고 온도가 43도에 그치다 보니, 온돌방 같은 뜨끈한 방바닥이나 김 날 정도의 뜨거운 물을 원하는 사람들에겐 이런 점은 아쉽기도 합니다.

[유미희/'에너지 제로 주택' 주민 : "온수가 아주 뜨겁지가 않아요. 기름기 있는 그릇 닦는다고 할 때, 온수만 조금 더 개선된다면 98점 주고 싶어요."]

해마다 반복되는 폭염과 혹한에 냉난방 비용이 급증하면서, 이제는 집을 짓는 단계부터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 고려되는 추세입니다.

[이명주/명지대학교 건축과 교수 : "최소한의 사는 데 필요한 에너지원은 청정에너지로 사용하고, 그 이상의 양을 사용했을 때는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는 취지가 있습니다."]

대중화를 위해선 민간 건설사의 참여가 필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공사비와 긴 공정 기간은 걸림돌로 꼽힙니다.

[김준/국토부 녹색건축과 사무관 : "2025년에 민간으로 확대할 때 민간에서 이런 '제로 에너지' 건축에 대한 공사비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금융 기술 지원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습니다."]

국토부는 우선 에너지 관리가 상대적으로 쉬운 3,000㎡ 이하 소규모 건물부터 인증 의무화를 추진하고 그 범위를 차츰 넓혀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나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