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란 이동 두꺼비...로드킬에 해마다 떼죽음, 대책은?
입력 2019.02.19 (21:47)
수정 2019.02.20 (00: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이렇게 봄이
성큼 다가오면서
두꺼비도 겨울잠에서
깨어났습니다.
광양에는
대규모 두꺼비 산란지가 있는데,
해마다 겨울잠에서 깨어난
두꺼비들이 로드킬로
떼죽음하고 있습니다.
윤주성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겨울잠에서 깬 두꺼비가
밖으로 나왔습니다.
(두꺼비 울음 소리..)
짝짓기를 하고 근처 저수지에서
산란하기 위해서인데
편도 1차로 도로가 큰 장애물입니다.
광양시는
로드킬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주민 3명을
한시적으로 고용해
두꺼비들을 길 건너 쪽으로
옮겨주고 있습니다.
<최복임 광양시 진상면 비촌마을>
작년에는 저기(저수지)에 새끼를 낳으면
이(산)쪽으로 잡아올렸고 이 두꺼비들은
저기(저수지) 가서 새끼 낳으라고 잡아서 내려줘...
하지만 주민 3명이
24시간 도로를 지킬 수는 없는 일,
임시방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두꺼비 이동을 알리는
도로 표지판도 없고,
생태 통로는 한 곳에 불과합니다.
<박수완 광양만녹색연합 사무국장>
차량이 서행할 수 있는 안전장치라든가
이런 것들이 아직도 현장에 보이지 않는다라는 거죠.
해마다 2월 중순부터
5월까지 이어지는 두꺼비들의 사투.
새 생명을 얻기 위한 이동이
인간에 가로막히고 있습니다.
<박수완 광양만녹색연합 사무국장>
얼마남지 않은 (두꺼비) 산란지이고 서식이지이다 보니까
꼭 이 곳을 보호하고 지켜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
광양시는 로드킬을 줄이기 위해
도로 경고 표지판과
과속 방지턱 설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뉴스 윤주성입니다.
이렇게 봄이
성큼 다가오면서
두꺼비도 겨울잠에서
깨어났습니다.
광양에는
대규모 두꺼비 산란지가 있는데,
해마다 겨울잠에서 깨어난
두꺼비들이 로드킬로
떼죽음하고 있습니다.
윤주성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겨울잠에서 깬 두꺼비가
밖으로 나왔습니다.
(두꺼비 울음 소리..)
짝짓기를 하고 근처 저수지에서
산란하기 위해서인데
편도 1차로 도로가 큰 장애물입니다.
광양시는
로드킬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주민 3명을
한시적으로 고용해
두꺼비들을 길 건너 쪽으로
옮겨주고 있습니다.
<최복임 광양시 진상면 비촌마을>
작년에는 저기(저수지)에 새끼를 낳으면
이(산)쪽으로 잡아올렸고 이 두꺼비들은
저기(저수지) 가서 새끼 낳으라고 잡아서 내려줘...
하지만 주민 3명이
24시간 도로를 지킬 수는 없는 일,
임시방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두꺼비 이동을 알리는
도로 표지판도 없고,
생태 통로는 한 곳에 불과합니다.
<박수완 광양만녹색연합 사무국장>
차량이 서행할 수 있는 안전장치라든가
이런 것들이 아직도 현장에 보이지 않는다라는 거죠.
해마다 2월 중순부터
5월까지 이어지는 두꺼비들의 사투.
새 생명을 얻기 위한 이동이
인간에 가로막히고 있습니다.
<박수완 광양만녹색연합 사무국장>
얼마남지 않은 (두꺼비) 산란지이고 서식이지이다 보니까
꼭 이 곳을 보호하고 지켜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
광양시는 로드킬을 줄이기 위해
도로 경고 표지판과
과속 방지턱 설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뉴스 윤주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란 이동 두꺼비...로드킬에 해마다 떼죽음, 대책은?
-
- 입력 2019-02-19 21:47:51
- 수정2019-02-20 00:51:34

[앵커멘트]
이렇게 봄이
성큼 다가오면서
두꺼비도 겨울잠에서
깨어났습니다.
광양에는
대규모 두꺼비 산란지가 있는데,
해마다 겨울잠에서 깨어난
두꺼비들이 로드킬로
떼죽음하고 있습니다.
윤주성 기자가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겨울잠에서 깬 두꺼비가
밖으로 나왔습니다.
(두꺼비 울음 소리..)
짝짓기를 하고 근처 저수지에서
산란하기 위해서인데
편도 1차로 도로가 큰 장애물입니다.
광양시는
로드킬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주민 3명을
한시적으로 고용해
두꺼비들을 길 건너 쪽으로
옮겨주고 있습니다.
<최복임 광양시 진상면 비촌마을>
작년에는 저기(저수지)에 새끼를 낳으면
이(산)쪽으로 잡아올렸고 이 두꺼비들은
저기(저수지) 가서 새끼 낳으라고 잡아서 내려줘...
하지만 주민 3명이
24시간 도로를 지킬 수는 없는 일,
임시방편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두꺼비 이동을 알리는
도로 표지판도 없고,
생태 통로는 한 곳에 불과합니다.
<박수완 광양만녹색연합 사무국장>
차량이 서행할 수 있는 안전장치라든가
이런 것들이 아직도 현장에 보이지 않는다라는 거죠.
해마다 2월 중순부터
5월까지 이어지는 두꺼비들의 사투.
새 생명을 얻기 위한 이동이
인간에 가로막히고 있습니다.
<박수완 광양만녹색연합 사무국장>
얼마남지 않은 (두꺼비) 산란지이고 서식이지이다 보니까
꼭 이 곳을 보호하고 지켜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
광양시는 로드킬을 줄이기 위해
도로 경고 표지판과
과속 방지턱 설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뉴스 윤주성입니다.
-
-
윤주성 기자 yjs@kbs.co.kr
윤주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