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9년 10월 26일, 하얼빈 역을 뒤흔든 세 발의 총성.
조국을 위해 총을 든 31살 청년 안중근의 정신은 생전에 남긴 글귀에 오롯이 살아 있습니다.
["이익을 보아도 정의를 먼저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주어라!"]
["대한독립 만세! 만세!"]
100년 전 3월 1일, 들불처럼 일어난 만세 함성.
그 뜨거웠던 외침이 사람을 닮은 글자 속에 살아 숨 쉽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단재 신채호 선생의 일갈은 신문지 16장을 이어붙인 장대한 작품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쓰다 버리고 또 다시 쓰길 몇 번이나 되풀이했을까.
글씨 예술가 강병인 씨는 그렇게 독립투사들이 남긴 말과 글에 새 생명을 불어 넣었습니다.
[강병인/멋글씨 예술가 : "죽음까지도 불사하지 않습니까? 그냥 글씨를 읽는 것이 아니라 그 글씨 속에서 열사들의 육성이 들렸으면 하는 바람도 있었거든요."]
현대적인 멋이 깃든 글씨 예술로 되살아난 독립투사들의 목소리.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그 숭고했던 정신을 돌아보게 합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조국을 위해 총을 든 31살 청년 안중근의 정신은 생전에 남긴 글귀에 오롯이 살아 있습니다.
["이익을 보아도 정의를 먼저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주어라!"]
["대한독립 만세! 만세!"]
100년 전 3월 1일, 들불처럼 일어난 만세 함성.
그 뜨거웠던 외침이 사람을 닮은 글자 속에 살아 숨 쉽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단재 신채호 선생의 일갈은 신문지 16장을 이어붙인 장대한 작품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쓰다 버리고 또 다시 쓰길 몇 번이나 되풀이했을까.
글씨 예술가 강병인 씨는 그렇게 독립투사들이 남긴 말과 글에 새 생명을 불어 넣었습니다.
[강병인/멋글씨 예술가 : "죽음까지도 불사하지 않습니까? 그냥 글씨를 읽는 것이 아니라 그 글씨 속에서 열사들의 육성이 들렸으면 하는 바람도 있었거든요."]
현대적인 멋이 깃든 글씨 예술로 되살아난 독립투사들의 목소리.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그 숭고했던 정신을 돌아보게 합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막뉴스] ‘멋 글씨’로 되살아난 독립투사들의 말·말·말
-
- 입력 2019-03-11 22:03:54

1909년 10월 26일, 하얼빈 역을 뒤흔든 세 발의 총성.
조국을 위해 총을 든 31살 청년 안중근의 정신은 생전에 남긴 글귀에 오롯이 살아 있습니다.
["이익을 보아도 정의를 먼저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주어라!"]
["대한독립 만세! 만세!"]
100년 전 3월 1일, 들불처럼 일어난 만세 함성.
그 뜨거웠던 외침이 사람을 닮은 글자 속에 살아 숨 쉽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단재 신채호 선생의 일갈은 신문지 16장을 이어붙인 장대한 작품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쓰다 버리고 또 다시 쓰길 몇 번이나 되풀이했을까.
글씨 예술가 강병인 씨는 그렇게 독립투사들이 남긴 말과 글에 새 생명을 불어 넣었습니다.
[강병인/멋글씨 예술가 : "죽음까지도 불사하지 않습니까? 그냥 글씨를 읽는 것이 아니라 그 글씨 속에서 열사들의 육성이 들렸으면 하는 바람도 있었거든요."]
현대적인 멋이 깃든 글씨 예술로 되살아난 독립투사들의 목소리.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그 숭고했던 정신을 돌아보게 합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조국을 위해 총을 든 31살 청년 안중근의 정신은 생전에 남긴 글귀에 오롯이 살아 있습니다.
["이익을 보아도 정의를 먼저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주어라!"]
["대한독립 만세! 만세!"]
100년 전 3월 1일, 들불처럼 일어난 만세 함성.
그 뜨거웠던 외침이 사람을 닮은 글자 속에 살아 숨 쉽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단재 신채호 선생의 일갈은 신문지 16장을 이어붙인 장대한 작품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쓰다 버리고 또 다시 쓰길 몇 번이나 되풀이했을까.
글씨 예술가 강병인 씨는 그렇게 독립투사들이 남긴 말과 글에 새 생명을 불어 넣었습니다.
[강병인/멋글씨 예술가 : "죽음까지도 불사하지 않습니까? 그냥 글씨를 읽는 것이 아니라 그 글씨 속에서 열사들의 육성이 들렸으면 하는 바람도 있었거든요."]
현대적인 멋이 깃든 글씨 예술로 되살아난 독립투사들의 목소리.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그 숭고했던 정신을 돌아보게 합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