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당 “공직선거법 개정안 초안 합의”…한국당 “총력 저지”
입력 2019.03.18 (08:04)
수정 2019.03.18 (08: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민주당과 야3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반영한 공직선거법 개정안 초안을 마련했습니다.
비례대표 추천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선거연령을 낮추는 방안을 담았는데, 한국당의 강한 반발이 예상됩니다.
최창봉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7시간에 걸친 회의 끝에, 여야4당이 공직선거법 개정안 초안을 마련했습니다.
지난 15일 큰 틀에서의 합의에 이어 세부 쟁점도 합의를 이룬 겁니다.
여야4당은 국회의원 숫자는 300명으로 유지하되 지역구 225석과 비례대표 75석으로 나누기로 했습니다.
전체 의석수를 정당득표율로 나눈 뒤, 지역구 의석을 뺀 숫자의 절반을 먼저 비례대표로 가져가는 방식입니다.
정당별 배분이 끝난 뒤 남은 비례대표 의석은 다시 정당득표율을 반영해 추가로 배분합니다.
지역별 편차를 줄이는 방안도 담았습니다.
[심상정/정의당 의원 : "정당의 지지율에 비해서 지역구 의석 수가 상대적 적은 권역에 비례대표 의석이 더 많이 배분되도록 하는 그런 방식입니다."]
비례대표 공천 절차를 당헌·당규에 정하고 공천 심사와 당원투표 과정을 선관위에 보고하는 방식으로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도 담겼습니다.
지역구 선거에서 아깝게 떨어진 사람을 비례대표로 당선시킬 수 있게 했고,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선거 연령도 만 18세로 낮추기로 합의했습니다.
여야 4당은 합의안을 오늘 각 당별로 보고하고, 조만간 의원총회 등을 통해 추인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한국당은 강력 반발했습니다.
선거법과 사법개혁법안을 '4대 악법'으로 규정하고 여야 4당의 패스트트랙 지정을 야합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나경원/자유한국당 원내대표 : "일부 야당을 현혹시켜서 이 정권과 여당이 결국 하겠다는 것은 공수처 설치와 검경수사권 조정이며 이것은 좌파 독재 장기 집권 플랜입니다."]
한국당은 오늘도 국회의원과 전국 당협위원장이 함께 참여하는 연석회의를 열어 총력 저지에 나설 계획입니다.
KBS 뉴스 최창봉입니다.
민주당과 야3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반영한 공직선거법 개정안 초안을 마련했습니다.
비례대표 추천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선거연령을 낮추는 방안을 담았는데, 한국당의 강한 반발이 예상됩니다.
최창봉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7시간에 걸친 회의 끝에, 여야4당이 공직선거법 개정안 초안을 마련했습니다.
지난 15일 큰 틀에서의 합의에 이어 세부 쟁점도 합의를 이룬 겁니다.
여야4당은 국회의원 숫자는 300명으로 유지하되 지역구 225석과 비례대표 75석으로 나누기로 했습니다.
전체 의석수를 정당득표율로 나눈 뒤, 지역구 의석을 뺀 숫자의 절반을 먼저 비례대표로 가져가는 방식입니다.
정당별 배분이 끝난 뒤 남은 비례대표 의석은 다시 정당득표율을 반영해 추가로 배분합니다.
지역별 편차를 줄이는 방안도 담았습니다.
[심상정/정의당 의원 : "정당의 지지율에 비해서 지역구 의석 수가 상대적 적은 권역에 비례대표 의석이 더 많이 배분되도록 하는 그런 방식입니다."]
비례대표 공천 절차를 당헌·당규에 정하고 공천 심사와 당원투표 과정을 선관위에 보고하는 방식으로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도 담겼습니다.
지역구 선거에서 아깝게 떨어진 사람을 비례대표로 당선시킬 수 있게 했고,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선거 연령도 만 18세로 낮추기로 합의했습니다.
여야 4당은 합의안을 오늘 각 당별로 보고하고, 조만간 의원총회 등을 통해 추인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한국당은 강력 반발했습니다.
선거법과 사법개혁법안을 '4대 악법'으로 규정하고 여야 4당의 패스트트랙 지정을 야합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나경원/자유한국당 원내대표 : "일부 야당을 현혹시켜서 이 정권과 여당이 결국 하겠다는 것은 공수처 설치와 검경수사권 조정이며 이것은 좌파 독재 장기 집권 플랜입니다."]
한국당은 오늘도 국회의원과 전국 당협위원장이 함께 참여하는 연석회의를 열어 총력 저지에 나설 계획입니다.
KBS 뉴스 최창봉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야 4당 “공직선거법 개정안 초안 합의”…한국당 “총력 저지”
-
- 입력 2019-03-18 08:07:46
- 수정2019-03-18 08:10:59

[앵커]
민주당과 야3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반영한 공직선거법 개정안 초안을 마련했습니다.
비례대표 추천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선거연령을 낮추는 방안을 담았는데, 한국당의 강한 반발이 예상됩니다.
최창봉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7시간에 걸친 회의 끝에, 여야4당이 공직선거법 개정안 초안을 마련했습니다.
지난 15일 큰 틀에서의 합의에 이어 세부 쟁점도 합의를 이룬 겁니다.
여야4당은 국회의원 숫자는 300명으로 유지하되 지역구 225석과 비례대표 75석으로 나누기로 했습니다.
전체 의석수를 정당득표율로 나눈 뒤, 지역구 의석을 뺀 숫자의 절반을 먼저 비례대표로 가져가는 방식입니다.
정당별 배분이 끝난 뒤 남은 비례대표 의석은 다시 정당득표율을 반영해 추가로 배분합니다.
지역별 편차를 줄이는 방안도 담았습니다.
[심상정/정의당 의원 : "정당의 지지율에 비해서 지역구 의석 수가 상대적 적은 권역에 비례대표 의석이 더 많이 배분되도록 하는 그런 방식입니다."]
비례대표 공천 절차를 당헌·당규에 정하고 공천 심사와 당원투표 과정을 선관위에 보고하는 방식으로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도 담겼습니다.
지역구 선거에서 아깝게 떨어진 사람을 비례대표로 당선시킬 수 있게 했고,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선거 연령도 만 18세로 낮추기로 합의했습니다.
여야 4당은 합의안을 오늘 각 당별로 보고하고, 조만간 의원총회 등을 통해 추인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한국당은 강력 반발했습니다.
선거법과 사법개혁법안을 '4대 악법'으로 규정하고 여야 4당의 패스트트랙 지정을 야합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나경원/자유한국당 원내대표 : "일부 야당을 현혹시켜서 이 정권과 여당이 결국 하겠다는 것은 공수처 설치와 검경수사권 조정이며 이것은 좌파 독재 장기 집권 플랜입니다."]
한국당은 오늘도 국회의원과 전국 당협위원장이 함께 참여하는 연석회의를 열어 총력 저지에 나설 계획입니다.
KBS 뉴스 최창봉입니다.
민주당과 야3당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반영한 공직선거법 개정안 초안을 마련했습니다.
비례대표 추천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선거연령을 낮추는 방안을 담았는데, 한국당의 강한 반발이 예상됩니다.
최창봉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7시간에 걸친 회의 끝에, 여야4당이 공직선거법 개정안 초안을 마련했습니다.
지난 15일 큰 틀에서의 합의에 이어 세부 쟁점도 합의를 이룬 겁니다.
여야4당은 국회의원 숫자는 300명으로 유지하되 지역구 225석과 비례대표 75석으로 나누기로 했습니다.
전체 의석수를 정당득표율로 나눈 뒤, 지역구 의석을 뺀 숫자의 절반을 먼저 비례대표로 가져가는 방식입니다.
정당별 배분이 끝난 뒤 남은 비례대표 의석은 다시 정당득표율을 반영해 추가로 배분합니다.
지역별 편차를 줄이는 방안도 담았습니다.
[심상정/정의당 의원 : "정당의 지지율에 비해서 지역구 의석 수가 상대적 적은 권역에 비례대표 의석이 더 많이 배분되도록 하는 그런 방식입니다."]
비례대표 공천 절차를 당헌·당규에 정하고 공천 심사와 당원투표 과정을 선관위에 보고하는 방식으로 투명성을 높이는 방안도 담겼습니다.
지역구 선거에서 아깝게 떨어진 사람을 비례대표로 당선시킬 수 있게 했고, 논란이 끊이지 않았던 선거 연령도 만 18세로 낮추기로 합의했습니다.
여야 4당은 합의안을 오늘 각 당별로 보고하고, 조만간 의원총회 등을 통해 추인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한국당은 강력 반발했습니다.
선거법과 사법개혁법안을 '4대 악법'으로 규정하고 여야 4당의 패스트트랙 지정을 야합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나경원/자유한국당 원내대표 : "일부 야당을 현혹시켜서 이 정권과 여당이 결국 하겠다는 것은 공수처 설치와 검경수사권 조정이며 이것은 좌파 독재 장기 집권 플랜입니다."]
한국당은 오늘도 국회의원과 전국 당협위원장이 함께 참여하는 연석회의를 열어 총력 저지에 나설 계획입니다.
KBS 뉴스 최창봉입니다.
-
-
최창봉 기자 ceric@kbs.co.kr
최창봉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